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91715422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2-06-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5
추천사 • 11
01 _ 서론 • 19
02 _ 북아프리카 교회의 교회론 • 45
03 _ 분파로서 도나투스파의 교회론 • 111
04 _ 정통으로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 • 181
05 _ 정통의 계승, 전통의 혁신 • 241
06 _ 결론 : 평가 및 제언 • 275
참고문헌 • 28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머리말
이 책은 필자가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의 연구 결과로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에 2018년 6월 철학 박사학위(Ph.D) 청구 논문으로 제출한 “정통의 계승과 전통의 혁신으로써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Augustine’s ecclesiology as the inheritance of orthodox and the innovation of tradition, and its modern application)을 책으로 출간한 것입니다.
사실 필자가 총신대학교 신학과에 입학한 이후 12년 6개월이라고 하는 긴 학문의 여정 끝에 내놓은 결실이기에 이 논문으로 한국 교회에 기여하고 싶은 마음을 갖고 있었지만, 여러 형편상 책으로 출간하지 못하다가 이번에 세움북스에 의해 세움 클래식 시리즈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은 논문의 형태를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면서도 일반 독자를 위해 가독성을 높이는 교정 작업을 통해 보다 편안하게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나눌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필자는 본 책을 통해 참 교회가 무엇인지 어떤 교회가 초대 교회의 정통을 계승한 참 교회인지에 대하여 논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참 교회에 대한 본질적 개념과 그 정립의 과정을 알아보고 오늘날 한국 교회에 중요한 적용점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명확한 교회론의 원리와 그 기준이 없으면, 각종 이단들이 난립하고 다양한 형태의 실험적 교회의 모습이 등장함으로 인해 교회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교회의 본질적 측면에 대해서 성경에 근거한 조직신학적, 성경신학적 접근 방식의 연구는 많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오늘날 한국 교회와 같이 교회론적인 혼돈이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성경이 가르치고 있는 참 교회의 조직신학적 개념과 성경신학적 개념의 참 교회에 대한 정의가 어떻게 교회 안에서 정통의 역사로 정착되었는지에 관한 연구를 통해 참 교회의 역사적 기준을 세워가는 것이 필요하다 여겨졌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필자는 교회 역사를 살피던 가운데 수많은 이단들과의 투쟁 속에서 참 교회론을 세웠고 적용시켰습니다. 또한 성경적인 초대 교회를 계승하여 정통 교회의 참 교회론을 세웠던 아우구스티누스를 통해 오늘과 같은 한국 교회의 정황 속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과 그 교회론을 세우는 원리를 제시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브라운의 말대로 그는 후기 로마 시대에 라틴 신학의 정통에서 경직된 신학자로서의 모습을 드러내기보다는 북아프리카교회라고 하는 지역 교회를 배경으로 목회했던 교회의 신학자였기 때문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 연구를 통해 참 교회의 기준과 그 적용을 연구하고 제시하여 한국 교회의 많은 목회자와 신학생들이 그 기준을 잃지 않고 참 교회를 세워나가는 많은 유익이 우리에게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