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외 기업/경영자
· ISBN : 9791191768107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6
I. 다이애나 13
II. 생화학 73
III. 프랑스 115
IV. 대학 147
V. MRL 203
VI. 드라마 267
VII. 스타틴 293
VIII. 이력서 339
IX. 어깨 위의 거인 381
X. 맥티잔 439
XI. 클린턴과 클린턴 499
XII. 오픈 엔디드 531
옮긴이의 글 564
책속에서
많은 환자들이 완전히 마비되어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는데, 의사가 되어 처음 보는 광경이었다. 처음에 나는 환자들이 처한 상황을 보면서 깊은 우울감에 빠졌다. 병을 치료할 수가 없었다. 바이러스가 퍼지면 전신마비를 누그러뜨릴 수 있는 방법도 거의 없었다. 끔찍한 무력감에 시달렸다. 비통한 마음이 극단을 향하고 있을 때, 조너스 소크(Jonas Salk)와 같은 연구자들이 조만간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해 미국 전역에 뿌릴 예정이라는 소식을 접했다. 1954년, 공중 보건 당국은 65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에게 소크 소아마비 백신을 투여했다. 이는 주 정부, 연방 공중 보건 당국, 자선 단체, 대학교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들, 제약기업이 함께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려 힘을 모으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보여준 인상적인 사건이었다. 1955년 봄, 내가 인턴을 끝마쳤을 무렵 소아마비 백신 임상시험 성공은, 보스턴을 비롯한 미국 전역에서 뉴스 1면을 장식했다. 하지만 1955년 가을 소아마비가 퍼지는 것을 막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
돌이켜보면, NIH에서 했던 거의 모든 경험이 너무나도 긍정적이었다. NIH는 유연하고, 혁신적이며, 생산성이 높은 정부 조직이었다. 그리고 분명하게 공익을 우선순위로 두는 곳이었다. 이렇게 성공적일 수 있었던 비결은 얼 스태트먼과 그 외에 다른 동료들처럼 뛰어난 인재를 모을 수 있었던 능력 덕분이다. 우리 가운데 그 누구도 NIH에서 돈을 많이 벌지는 못했지만, 모두가 말도 안 되게 힘든 일정을 소화해냈다. 헌신적으로 프로젝트에 임했는데, 과학적 발견을 가치롭게 여기는 여러 과학자들과 함께 했기 때문이다.
NIH의 추진력은 과학 교육을 연계하는 생산적인 방식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NIH는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모든 자원을 제공하고, 이를 연구자들이 창의적으로 쓸 수 있게끔 조직을 운용할 때 유연함이 있었다. 이런 조건들이 없었다면, 얼 스태트먼과 같은 과학자가 자신의 연구를 위해 이곳을 평생직장으로 여기면서 머물지 않았을 것이다. 뛰어난 젊은 연구원들이 처음에는 군복무를 대신하러 NIH에 들어간 것이 사실이다. 처음에는 나도 그랬다. 하지만 이곳의 환경이 생산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알고 나면, 의무 복무 기간인 2년이 지나서도 NIH에 남고는 했다.
우리는 모두 함께 점심을 먹으면서 연구 이외의 학과 업무를 봤다. 내가 처음 워싱턴 대학교에 왔을 때, 학과 동료들이 커다란 옷장처럼 생긴 좁은 방으로 걸어 들어가더니 그 좁은 공간에 다 같이 모여 매일 점심을 먹는 것을 보았다. 사실상 텅 빈 창고였는데 창문도 없었다. 그래서 우리는 여러 의미에서 가깝게 지낼 수 있었다. 골방에 함께 모여 갈색 종이봉투에 담긴 점심 도시락을 먹는 시간은 과학계와 대학에서 일어나는 여러 일들, 학과에서 개선해야 할 일들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에 더할 나위 없는 최고의 시간이었다. 앞으로 어떤 인재를 뽑을 것인지, 의학계의 다른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발전은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누었다. 또한 (유색인종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노력처럼) 대학이 직면했거나 풀기 위해 씨름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논의했다. 동료들 사이에 만들어진 이런 종류의 협력 관계는 과학에서 중요한 요소다. NIH뿐만 아니라 대학이나 기업 연구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내가 몸담았던, 생산적인 연구를 했던 모든 연구소에서는 점심 식사와 저녁 식사, 농구 시합이나 소풍처럼 비공식적인 사회생활(?)을 구성원들과 함께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