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구기 > 야구
· ISBN : 9791191979145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2-05-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4
야구의 역사 ·············· 12
야구야 놀자│KT 위즈│두산 베어스│삼성 라이온즈│LG 트윈스│키움 히어로즈│SSG 랜더스
│NC 다이노스│롯데 자이언츠│KIA 타이거즈│한화 이글스
이것부터 알아 두자 ·············· 70
야구란 무엇인가│야구 규칙
투수 용어 ·············· 82
선발투수│구원투수│스윙맨│롱릴리프│원 포인트 릴리프│셋업맨│클로저│불펜│홀드와
세이브│퍼펙트게임│노히트노런│완봉승│완투승│이닝이터│배터리│평균자책점│퀄리티 스타트(QS)│WHIP│보크│빈볼│벤치클리어링│스트라이크존│승리투수와 패전투수
투수 구종 파헤치기 ·············· 105
패스트볼│포심 패스트볼│투심 패스트볼│컷 패스트볼│스플릿 핑거 패스트볼│싱킹 패스트볼│커브│슬라이더│스크루볼│체인지업│포크볼│너클볼
타자용어 ·············· 127
리드오프│테이블세터│클린 업 트리오│20-20│30-30│40-40│사이클링 히트│페어볼과
파울볼│정식경기 규정│지명타자│타율(BA)│3할 타율의 예술│장타율(SLG)│순장타율
(ISOP)│출루율(OBP)│OPS(On base Plus Slugging)
야구 중계 보는 방법 ·············· 150
수비 용어 ·············· 159
글러브│포스아웃│태그아웃│수비율
그 외 용어 ·············· 165
트레이드│영구결번│가을야구│불문율│세이버메트릭스│3할 타율│포스트 시즌│홈런과 안타
│아웃│그라운드의 조연│에이스│스위치 히터 & 스위치 피처│무관심도루│
키스톤 콤비 & 키스톤 플레이│외야수의 레저 송구│12초 룰│이해할 수 없는 실수, 본 헤드 플레이(bone head play)│핫코너 3루│좌안, 좌측, 좌월 등│더블헤더│홈런이 되기 쉬운 럭키존│태그업│리터치│볼 데드 상태│쓰리피트라인│볼티모어 찹│백스톱│밴조 히터
│메카닉스│박스 스코어│펑고│홀 오브 페임│골든글러브│골드글러브와 골든글러브의 차이
│하프스윙 & 체크스윙│징크스│멘도사 라인│케네디 스코어│트리플 크라운│히트앤드런│
오버런│런다운│피치아웃│우투우타│좌투좌타│루키
안경현의 타격론 ·············· 208
기본 동작│기본 동작의 오류│그립(배트를 드는 자세)│파워포지션│이동 히팅포인트│
왼팔의 사용(우타자 기준)│배터리샷에서의 차이│왼팔 사용│임팩트│앞쪽 손 팔꿈치의 움직임│임팩트 시 손목│레그킥│회전축과 스윙 아크│변화구│걸어 치는 타자│짧게 잡는 타자
책속에서
한·미·일 야구를 통틀어 한국 프로야구만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응원 문화’다. 한국 프로야구의 응원 문화는 해외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17년 메이저리그가 있는 미국 대표 방송사인 CNN은 사직구장을 홈으로 쓰는 롯데 자이언츠의 응원 문화에 큰 관심을 나타내며 직접 부산을 찾아온 적이 있다.
CNN은 야구에 열광하는 부산 시민들과 사직구장에서 응원하는 관중들의 모습을 영상에 담았고, 해외 야구팬들에겐 다소 생소한 응원 문화에 동영상 조회수는 50만 건에 달했으며, 댓글에는 긍정적인 반응이 줄을 이었다.
야구에서 3할은 타격의 수준을 가늠하는 가이드 라인이다.
일단 타자가 3할을 넘기는 수준의 타격이 가능하게 되면 핀치상황에서 거의 대타로 교체되는 수모는 없다.
그렇다면 왜 3할이 예술이라고 표현되는 것일까?
투수의 공은 홈플레이트까지 도달하는데 약 1초도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타자는 약 1초 안에, 더 정확히는 대략 0.45초 안에 이것을 칠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고 온몸을 움직여 공을 쳐내야 한다.
파워포지션
과거 가장 많이 따라 했던 파워포지션은 장종훈 선수였다. 하지만 파워포지션, 히팅포인트 그리고 자세는 배우지 못했다.
그의 노하우는 배제한 채 경기 때 나오는 자세만으로 배웠던 부작용이라 할 수 있다.
파워포지션은 자신의 힘을 극대화시키는 준비동작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혹자는 이 자세를 활시위를 끝까지 당겼을 때의 동작에 비유한다. 하지만 현대에는 공의 스피드와 구종, 구질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