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남북현안법제연구 2 : 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의 해석기준 연구

남북현안법제연구 2 : 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의 해석기준 연구

(통일법제연구 22-18-02)

권은민 (지은이)
한국법제연구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남북현안법제연구 2 : 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의 해석기준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남북현안법제연구 2 : 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의 해석기준 연구 (통일법제연구 22-18-02)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92325866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은 남북 사이의 인적, 물적 교류에 합법성을 부여하고 관련 절차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으로, 구체적 해석 적용에서 비판적 관점이 제기되고 있다. 교류협력법의 적용례 및 판결례를 정리하고 보다 합리적인 해석기준을 마련하고자 수행된 연구서다.

목차

요 약 문 5
Abstract 9
제1장 서 론 / 27
제1절 연구 의의와 기대효과 29
제2절 연구의 목적과 방향 31
제3절 연구방법과 절차 32
제2장 연혁 및 해석기준 총론 / 35
제1절 연혁 37
제2절 해석기준 총론 42
제3장 교류협력법 조항별 해석 / 45
제1절 총칙 47
1. 제1조 : 법의 목적 47
가. 입법취지 및 연혁 47
나. 조문 해설 및 평가 50
2. 제2조 : 정의 52
가. 입법취지 및 연혁 52
나. 조문해설 53
3. 제3조 : 다른 법률과의 관계 54
가. 입법취지 및 연혁 54
나. 조문해설 55
1) 법률의 체계상 지위, 「국가보안법」과 관계 55
2) 교류협력법의 우선적용 기준과 관련한 판례 60
다. 평가 72
제2절 남북교류협력 추진협의회 74
1. 제4조 : 남북교류협력 추진협의회의 설치 74
가. 입법취지 및 연혁 74
나. 조문해설 74
다. 평가(입법과제) 75
2. 제5조 : 협의회의 구성 75
가. 입법취지 및 연혁 76
나. 조문해설 77
3. 제6조 : 협의회의 기능 78
가. 입법취지 및 연혁 78
나. 조문해설 79
다. 사례 79
4. 제7조 : 협의회의 회의와 운영 80
가. 입법취지 및 연혁 80
나. 조문해설 80
다. 평가(입법과제) 81
5. 제8조 : 실무위원회 81
가. 입법취지 및 연혁 81
나. 조문해설 82
제3절 남북한 왕래 82
1. 제9조 : 남북한 방문 82
가. 입법취지 및 연혁 84
나. 조문해설 85
1) 방문승인의 신청(제9조 제1항, 제8항, 제9항) 85
2) 방문승인과 방문증명서의 발급(제9조 제2항 ~ 제6항) 86
3) 방문 승인의 취소(제9조 제7항) 및 벌칙규정(제27조 제2항) 88
4) 재외국민의 방문절차(제9조 제8항, 제9항) 88
다. 사례 89
라. 평가(입법과제 및 제언) 95
2. 제9조의 2 : 남북한 주민 접촉 97
가. 입법취지 및 연혁 98
나. 조문해설 99
1) 사전 접촉 신고(제9조의 2 제1항, 제6항) 99
2) 신고의 수리(제9조의 2 제3항, 제4항) 100
3) 신고 면제(제9조의 2 제2항) 100
다. 사례 101
라. 평가(입법과제 및 제언) 105
3. 제10조(외국 거주 동포의 출입 보장) 106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06
나. 조문해설 106
1) 여행증명서 발급신청 106
2) 여행증명서 발급 승인과 거부 107
다. 사례 109
라. 평가(입법과제 및 제언) 111
4. 제11조 : 남북한 방문에 대한 심사 112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12
나. 「출입국관리법」과의 관계 112
다. 조문해설 113
1) 심사 신청 113
2) 출입심사 114
3) 출입신고서 제출 등의 생략 115
4) 출입심사 승인 115
라. 평가(입법과제 및 제언) 115
5. 제12조 : 남북한 거래의 원칙 116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16
나. 조문해설 117
다. 사례 117
라. 평가(입법과제) 118
제4절 교역 118
1. 제13조 : 반출・반입의 승인 118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19
나. 조문해설 120
1) 제13조 제1항 120
가) 반입・반출의 정의 및 대상 120
나) 승인이 필요한 주요 내용의 변경 122
다) 남북한왕래자의 휴대품 신고 122
라) 강행규정에 해당하는지 여부 122
마) 제3국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북한으로 반출하는 경우에 대한 규제 타당성 여부 123
2) 제13조 제2항 123
3) 제13조 제3항 124
4) 제13조 제4항 124
5) 제13조 제5항 126
다. 사례 127
라. 평가(입법과제) 128
1) 위임입법의 간소화 128
2)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 129
2. 제14조 : 반출・반입 승인대상 물품등의 공고 130
가. 입법취지 130
나. 조문해설 130
1) 승인이 필요한 물품과 금지 물품 130
2) 승인 절차 132
3) 한도 물량 제도 133
다. 사례 133
라. 평가(입법과제) 134
3. 제15조 : 교역에 관한 조정명령 등 134
가. 입법취지 135
나. 조문해설 135
1) 제15조 제1항 및 제2항 135
2) 제15조 제3항 136
3) 제15조 제4항 136
다. 평가(입법과제) 136
제5절 협력사업 137
1. 제17조 : 협력사업의 승인 등 137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38
나. 조문해설 140
1) 협력사업의 승인요건 140
2) 협력사업의 승인절차 141
가) 신청서류 141
나) 관계 행정기관의 협의와 통지 142
3) 협력사업에 대한 조건 및 유효기간 설정 142
4) 협력사업의 정지 및 승인의 취소와 청문절차 143
가) 협력사업의 정지 및 승인의 취소 사유 143
나) 청문절차 144
다. 사례 145
라. 평가(입법과제) 149
1) 교류협력법 취지에 맞는 협력사업 검토 149
2) 협력사업 변경승인과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 150
2. 제17조의2 : 협력사업의 신고 151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51
나. 조문해설 151
1) 협력사업의 신고 대상자 151
2) 신고의 대상이 되는 협력사업의 요건 152
3) 신고 절차 152
4) 통일부장관의 신고 수리와 조건의 부과 153
다. 평가(입법과제) 153
3. 제18조 : 협력사업에 관한 조정명령 등 154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55
나. 조문해설 156
1) 제18조 제1항 156
2) 제18조 제2항 158
3) 제18조 제3항 158
4) 제18조 제4항 159
다. 사례 159
라. 평가(입법과제) 160
4. 제19조 : 결제 업무의 취급기관 162
가. 입법취지 162
나. 조문해설 162
1) 제19조 제1항 162
2) 제19조 제2항 163
3) 사례 163
제6절 수송, 통신, 검역 164
1. 제20조 : 수송장비의 운행 164
2. 제21조 : 수송장비 등의 출입 관리 164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65
나. 조문해설 166
다. 사례 167
라. 평가(입법과제) 169
3. 제22조 : 통신 역무의 제공 170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70
나. 조문해설 170
다. 평가(입법과제) 170
4. 제23조 검역 등 171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71
나. 조문해설 172
다. 평가(입법과제) 172
제7절 지원, 협조요청, 지도・감독 등 172
1. 제24조 : 남북교류・협력의 지원 172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73
나. 조문해설 173
1) 지원 관련 사항 173
2) 관리・감독 175
다. 사례 175
라. 평가(입법과제) 176
2. 제24조의2 :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지원 178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78
나. 조문해설 179
1) 남북교류 협력사업의 주체로서 지방자치단체 명시 179
2)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 정책협의회 180
3. 제25조 : 협조요청 182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82
나. 조문해설 182
4. 제25조의 2 : 업무의 위탁 183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83
나. 조문해설 184
5. 제25조의 3 : 남북교류・협력의 전자적 처리기반 구축 184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85
나. 조문해설 185
다. 평가(입법과제) 185
6. 제25조의 4 : 지도・감독 등 186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86
나. 조문해설 186
다. 사례 188
라. 평가(입법과제) 188
7. 제26조 : 다른 법률의 준용 190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91
나. 조문해설 191
1) 제26조 제1항 191
2) 제26조 제2항 191
3) 제26조 제3항 192
4) 제26조 제4항 193
다. 사례 193
라. 평가(입법과제) 195
1) 원산지 판단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구 설치 195
2) 다른 법률 준용의 최소화 195
3) 절차의 간소화 196
8. 제26조의 2 : 벌칙 적용 시의 공무원 의제 196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96
나. 조문해설 197
다. 평가(입법 과제) 197
9. 제30조 : 북한주민 의제 198
가. 입법취지 및 연혁 198
나. 조문해설 199
다. 사례 202
라. 평가(입법과제 및 제언) 203
제4장 베트남의 개혁개방과 교류협력 / 205
제1절 베트남 대외경제개방 사례 207
1. 들어가며 207
2. 대외경제개방의 배경 208
3. 미국 시티은행 하노이 지점 설립 허가 209
4. 일본국제협력기구(JICA)를 통한 일본의 공적개발원조(ODA) 210
5. ASEAN 가입 210
6. APEC 가입 211
7. 외국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국제연합협약 가입 212
가. Tyco Vs. Leighton Contractor (2003) 213
나. Toepfer v. Sao Mai (2011) 214
다. Energo-Novus Vs. Vinatex (1998) 215
라. 베트남-북한 교류 현황 215
제2절 평가 216
제3절 유엔 안보리 결의안 제2371, 2375호 이행을 위한 총리 결정문 217
제5장 결 론 / 225
참고문헌 231
부록 241
∙ 부록 1. 현행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243
∙ 부록 2. 입법 연혁 및 개정안 265
∙ 부록 3. 관련 언론보도 295
<표 차례>
<표 1> 교류협력법 주요 개정 내용 38
<표 2> 남북교역액 현황 120
<표 3> 협력사업의 분류 139
<표 4>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주요 내용 165

저자소개

권은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변호사이자 북한학 박사. 20년 이상 북한법을 연구하고 있다. 통일부, 법무부, 법제처, 대법원 등의 북한법연구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로 북한외국인투자법제, 북한부동산제도, 남북한분쟁사례연구, 남북경협과 법제도, 통일한국의 법제도 과목을 강의한다. 기존의 남북한 법제를 현실에 맞게 재정비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북한의 법제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한다. 저서로는 『북한을 보는 새로운 시선』(박영사, 2022), 『평양에서 재판하는 날』(박영사, 2023)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