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2549217
· 쪽수 : 724쪽
· 출판일 : 2023-10-01
책 소개
목차
PMO를 위한 서문
프롤로그
제1부 PMO란 무엇인가?
제1장 왜 PMO를 도입하는가?
1. PMO 출현 배경
2. 공공기관의 PMO 도입 배경
제2장 무엇이 PMO를 움직이는가?
1. 프로젝트란
2. PMO란
3. PMO 발전과 성숙
4. PMO의 조직구성
5. PMO와 정보시스템 감리
6. PMO 도입 및 구성방안
제3장 PMO 도입의 핵심성공요인
1. PMO는 기획 시점부터 시작된다.
2. 대상 사업의 업무환경에 맞는 PMO 조직을 구성한다.
3.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를 촉진할 수 있는 우수사례 발굴
4. 결이 다른 PMO를 선택하라
5. PMO를 넘어서 EPMO를 도입하라
6. PMO 거버넌스를 명확히 하라
7. PMO의 핵심적 기능과 관리 수준의 적정성을 확보하라
8. PMO의 역량 확보
제2부 PMO 도입
제4장 PMO 기획 단계
1. 기획
2. 계획수립
3. 사업자 선정·계약
제5장 PMO 집행 단계
1. PMO 대상 사업 준비
2. PMO 대상 사업 집행단계 - 사업관리 영역
3. PMO 대상 사업종료
제6장 PMO 기술지원 영역
1. 분석단계
2. 설계단계
3. 구현단계
4. 시험·전개 단계
제7장 PMO 대상 사업 사후관리 단계
1. PMO 대상 사업하자 관리
2. PMO 대상 사업 변화관리
3 PMO 대상 사업 성과관리
제8장 PMO 도입을 위한 도구
1. 소프트웨어 소스 Code Inspection
2.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약점 진단
3. 보안 진단(웹취약점 진단)
4. 인프라 보안 진단
5. 테스트
6. DB 칼럼 무결성 진단
7. DB 품질진단
8. 성능진단
9. 웹표준(UI/UX)
10. 웹호환성
11. 웹접근성
12. 개인정보보호
제3부 PMO 응용
제9장 CBD 방법론과 PMO
1. CBD 방법론 개요
2. CBD 개발 프로세스
3. CBD 핵심 산출물
4. CBD 방법론과 PMO의 역할
제10장 IT 거버넌스와 PMO
1. IT 거버넌스 개요
2. IT 거버넌스 체계 수립
3. IT 거버넌스 프로세스 정립
4. 서비스 체계 개선
5. IT 거버넌스와 PMO의 역할
제11장 EA와 PMO
1. 범정부 EA(Enterprise Architecture) 수립체계 개요
2. EA 수행 절차 및 활용
3. GEAP 활용
4. EA와 PMO의 역할
제12장 BPR과 PMO
1. 업무재설계(BPR) 수립 개요
2. 업무재설계(BPR) 방법론
3. BPR 수행 사례
제13장 ISP와 PMO
1.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개요
2. 정보화전략계획(ISP) 방법론
3. 정보화전략계획(ISP) 사례
4. ISP와 PMO의 역할
제14장 ISMP와 PMO
1.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ISMP) 개요
2.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ISMP) 방법론
3.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ISMP) 수행 사례
4. ISMP와 PMO의 역할
제15장 IT 아웃소싱과 PMO
1. IT 아웃소싱 개요
2. IT 아웃소싱 추진 절차
3. IT 아웃소싱과 PMO의 역할
제16장 정보화 사업 성과와 PMO
1. 정보화 사업 성과
2. 성과관리 프로세스
3. 성과평가
4. 정보화 사업 성과평가와 PMO의 역할
제17장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과 PMO
1. 디지털 전환이란?
2. 디지털 전환 추진 방향과 전략
3. 디지털 전환과 PMO 역할
제18장 데이터 거버넌스와 PMO
1. 데이터 거버넌스란
2.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3. 데이터 거버넌스와 PMO의 역할
제19장 정부 클라우드 서비스와 PMO
1. 정부 클라우드센터 개요
2. 클라우드 전환 설계 방향
3. 정부 클라우드 서비스와 PMO의 역할
부록 PMO 적용 Template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보화 프로젝트가 대형화되고 장기화되면서 투입인력과 구축 비용의 단위가 점점 커짐에 따라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프로젝트는 태생적으로 위험과 이슈를 가지고 시작한다. 위험과 이슈관리의 미흡은 프로젝트의 일정 지연, 품질 이슈, 부실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기획단계에서부터 단추가 잘못 끼워졌기 때문이다. 발주기관들이 기획단계부터 PMO 도입을 고려하지 않고 집행단계에서 PMO를 도입하다 보니, 요구사항의 불명확, 적정한 사업 기간 미확보, 프로젝트 관리체계 미흡, 역량 있는 수행사의 발굴 미흡 등 위험과 이슈를 떠안고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당연히 프로젝트가 실패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모든 프로젝트에 역량 있는 전문가는 꼭 필요하다.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PMO)사업 역시 전문가 역량이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준다. PMO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발주기관의 담당자는 대상사업의 특성에 적합한 PMO사업자의 선정과 조직구성을 해야 한다. 무엇보다 PMO는 관리적·기술적 역량을 갖춘 수행인력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PMO가 없는 우수사례의 식별은 실무적 책임과 더불어 해당 우수사례가 문서로 만들어지지 않거나 조직을 통한 효과적인 공유가 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 실제 프로젝트 현장에서 우수사례들은 대부분 전체 조직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 프로젝트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필요하다. 우수사례의 발굴 및 전파는 PMO 도입의 핵심성공 요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