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3년 국내외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ㆍ부품ㆍ시스템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2023년 국내외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ㆍ부품ㆍ시스템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상)

산업경제리서치 (지은이)
산업경제리서치
4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6,000원 -10% 0원
22,000원
37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69,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3년 국내외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ㆍ부품ㆍ시스템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3년 국내외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ㆍ부품ㆍ시스템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92693231
· 쪽수 : 646쪽
· 출판일 : 2023-01-02

목차

Ⅰ. 글로벌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1. 2차전지 전방산업 분석
1) 국가별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1) 미국
가.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나. 전기차 생산 주요 기업 및 개발 로드맵
ⓐ Ford
ⓑ GM
ⓒ Stellantis(FCA)
ⓓ Tesla
다.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부 정책
(2) 독일
가.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 전기자동차 시장 규모
ⓑ 주요 OEM별 전기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
나. 전기차 생산 주요 기업 및 개발 로드맵
ⓐ 폭스바겐(VW)
ⓑ (Mercedes-Benz*)
ⓒ (BMW)
ⓓ (Audi)
ⓔ (Next.e.GO Mobile SE)
다.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부 정책
ⓐ 탄소중립/자동차 탄소배출규제
ⓑ 전기차 지원 강화
ⓒ ’21년 1월 탄소세(CO2세) 도입
ⓓ 구매지원
ⓔ 충전인프라 지원
(3) 중국
가.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나. 전기차 생산 주요 기업 및 개발 로드맵
다.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부 정책
(4) 일본
가.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나. 전기차 생산 주요 기업 및 개발 로드맵
ⓐ Alliance 2030
ⓑ 도요타「배터리 EV 전략」
ⓒ 도요타, 2030 자동차 리튬이온 2차전지 생산능력 향상
ⓓ 혼다, 중국 중심의 EV 생산 투자 확대
ⓔ 마츠다, EV 비중 25%까지 확대
다.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부 정책
ⓐ 제6차 에너지 기본 계획 수정안(’21년 10월 22일)
ⓑ (CO2 삭감 목표) 지구온난화대책 수정안 (’21년 10월 22일)
2) 국가별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동향
(1) 북미
가. 개인형 모빌리티(전동 스쿠터 및 전동 모터사이클) 시장 분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다. 개인형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정책
(2) 독일
가.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분석
ⓐ 전기자전거 시장 규모 및 전망
ⓑ 전동 킥보드(E-Scooter)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 전기자전거 생산 주요 기업
ⓑ E-Scooter 생산 주요 기업
ⓒ 전기자전거 및 E-Scooter 서비스 기업
다. 개인형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정책
ⓐ 전기자전거
ⓑ 전동 킥보드
(3) 스페인
가.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분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4) 태국
가.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분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현황
다. 개인형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정책
(5) 인도네시아
가.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분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다. 개인형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정책
3) 소형기기(모바일, IT, 공구) 및 의료기기 시장분석
(1) 미국
가. 소형기기(모바일, IT 기기) 시장 동향
나. 소형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2) 독일
가. 소형기기(소형가전, 의료기기) 시장동향
ⓐ 소형 가전 시장 규모
ⓑ 소형 가전 시장 성장 전망
ⓒ 의료기기 시장 규모
ⓓ 의료기기 시장 성장 전망
나. 소형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다. 소형기기 산업 육성 관련 정부 정책
ⓐ 의료기기 육성정책
ⓑ 소형 가전 규제 정책
ⓒ 이식형 의료기기 규제정책
(3) 일본
가. 소형기기(의료기기) 시장 동향
나. 소형기기(의료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다. 소형기기(의료기기) 산업 육성 관련 정부 정책
(4) 중국
가. 소형기기(모바일, IT, 공구, 의료기기) 시장 동향
나. 소형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다. 소형기기 산업 육성 관련 정부 정책
(5) 베트남
가. 소형기기(모바일, IT, 공구, 의료기기) 시장 동향
나. 소형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 휴대전화
ⓑ IT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IT – 웨어러블 디바이스
다. 소형기기 산업 육성 관련 정부 정책
4) 국가별 ESS 시장 동향
(1) 미국
가. ESS 시장 동향
ⓐ 에드워드 산본 솔라 스토리지(Edwards Sanborn Solar Storage) 프로젝트
ⓑ 모스 랜딩 배터리 스토리지(Moss Landing Battery Storage) 프로젝트
나. ESS 주요 생산 기업 동향
ⓐ 테슬라(Tesla)
ⓑ 제너럴 일렉트릭(GE)
ⓒ 플루언스 에너지(Fluence Energy)
다. ESS 관련 주요 정부 정책
(2) 중국
가. ESS 시장 동향
나. ESS 주요 생산 기업 동향
다. ESS 주요 생산 기업 동향
(3) 일본
가. ESS 시장 동향
나. ESS 주요 생산 기업
다. ESS 관련 주요 정부 정책
(4) 영국
가. ESS 시장 동향
나. ESS 주요 생산 기업 동향
다. ESS 관련 주요 영국정부 정책
(5) 독일
가. ESS 시장 규모
나. 향후 시장 성장 전망
다. 최근 독일 ESS 관련 프로젝트 현황
라. ESS 관련 주요 정부 정책

2. 권역별 2차전지 주요 기업 및 정부정책 동향
1) 권역별 2차전지 생산 주요기업 현황 및 시장 전망
(1) 미국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에너델(Enerdel)
ⓑ 파나소닉(Panasonic)
ⓒ LG에너지솔루션
ⓓ SK이노베이션
ⓔ 삼성SDI
(2) 캐나다
가. 2차전지 전체 수출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3) 일본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 납축전지
ⓑ 각형 리튬이온 전지
ⓒ 실린더형 리튬이온 전지
ⓓ 라미네이트형 리튬이온 전지
ⓔ xEV용 리튬이온 전지
(4) 중국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CATL
ⓑ BYD
ⓒ CALB
ⓓ Gotion
ⓔ EVE Energy
ⓕ Farasis Energy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Application별)
(5) 독일
가. 바스프(BASF SE)
나. BMW 그룹(BMW Group)
다. CATL(최대 24GWh 규모)
라. Daimler 그룹(Daimler Group)
마. Microvast(최대 6GWh 규모)
바. PSA와 Saft(최대 24GWh 규모)
사. 포르쉐(Porsche AG)
아. 테슬라(최대 250GWh 규모)
자. 바르타(Varta AG)
차. 폭스바겐 그룹(최대 16GWh 규모)
(6) 프랑스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ACC(Automotive Cells Company)
ⓑ Verkor
ⓒ Blue Solutions
ⓓ Olenenergie
ⓔ IBS(Ion Battery systems)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7) 이탈리아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8) 폴란드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계획
ⓐ LG Energy Solution(한국): 전기차 배터리, 모듈, 셀, 팩 등 다양한 솔루션 생산
ⓑ Impact Clean Power Technology(폴란드) : 버스용 배터리, ESS
ⓒ Mercedes-Benz(독일): 전기차 배터리
ⓓ BMZ(벨기에): 전기차용 배터리, ESS
ⓔ Northvolt(스웨덴) : 전기차용 배터리 모듈
ⓕ Pzl Sedziszow S.A.(폴란드) : e-mobility용 리튬이온 전지
ⓖ Bater : 리튬이온 전지, 트랙션 배터리(Traction Batteries), 스테이셔너리 배터리(Stationary Batteries) 생산
ⓗ Electreecity Sp. z o.o. : 리튬이온 전지(창고장비 및 지게차용), 니켈 및 납산 전지, 브로츠와프 소재
ⓘ 기타 전통방식 2차전지 제조사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Application별)
(9) 헝가리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10) 스웨덴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11) 동남아시아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태국
ⓑ 인도네시아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 태국
ⓑ 인도네시아
(12) 인도
가. 2차전지 생산량
ⓐ 전체 수출량(한국 포함 상위 10개국)
ⓑ 전체 수입량(한국 포함 상위 10개국)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Application별)
(13) 중남미
가.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멕시코
ⓑ 브라질
나.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Application별)
ⓐ 멕시코
ⓑ 브라질
2) 주요 이슈별 생산기업 동향
(1)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연구개발 및 생산 현황
가. 소재(음극재, 양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 연구개발(중국)
나. 공정 (제조, 성능개선 등) 연구개발(중국)
다. 안전 및 재활용 연구개발(중국)
라. 생산동향(중국)
(2)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 및 생산 현황
3) 국가별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 미국
(2) 캐나다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3) 일본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 그린 이노베이션 기금 사업
ⓑ 친환경 에너지 자동차ㆍ인프라 도입 촉진 보조금 제도
ⓒ 축전지 국내 생산기반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도입 및 개발 촉진사업
ⓓ 차세대 배터리 인재 육성 지원 정책
다. (외국 기업 투자 인센티브)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투자촉진세제’
(4) 중국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수입 관련 규제 동향
다.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 신에너지차
ⓑ ESS
(5) EU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6) 독일
(7) 프랑스
(8) 이탈리아
(9) 폴란드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외국기업의 투자 인센티브
(10) 헝가리
(11) 스웨덴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 탄소중립관련 스웨덴 에너지정책 및 로드맵
ⓑ EU 그린딜 정책 연계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친환경·저탄소 전환 정책 가속화
ⓒ 스웨덴 정부의 배터리 정책
ⓓ 외국기업의 투자 인센티브
(12) 영국
(13) 태국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4) 인도네시아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5) 인도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 저탄소 정책
ⓑ 신재생에너지 의무구매정책(Renewable Purchase Obligation, PRO)(’16년)
ⓒ 대기오염 개선프로그램(National Clean Air Programme, NCAP) 시행(’19년)
ⓓ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National Electric Mobility Mission Plan, NEMMP)
ⓔ 중앙·주정부 전기차 인센티브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6) 멕시코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7) 브라질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3. 권역별 2차전지 주요 소재기업 및 정부정책 동향
1) 2차전지 4대 소재(분리막,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생산기업 현황 및 시장 전망
(1) 미국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NEI Corporation
ⓑ 하니웰(Honeywell)
ⓒ Amprius Technologies
ⓓ Targray
ⓔ Lithium Werks
ⓕ ENTEK
ⓖ GM-포스코케미칼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2) 캐나다
가.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나.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3) 일본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시장 수요 및 성장 전망
(4) 중국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5) 독일
가.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나.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 및 성장 전망
(6) 프랑스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7) 이탈리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8) 폴란드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9) 헝가리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10) 스웨덴
(11) 동남아시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12) 인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13) 멕시코
가.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계획
나.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2) 권역별 4대 소재산업 주요 규제 및 육성 정책
(1) 미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2) 중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3) 프랑스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4) 이탈리아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5) 태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6) 인도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7) 멕시코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 해당사항 없음
(8) 브라질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4. 주요 국가별 2차전지 원자재(광물) 공급 현황
1) 2차전지 주요 원자재(광물) 공급 동향
(1) 리튬(수산화리튬, 탄산리튬)
가. 호주
나. 칠레
다. 아르헨티나
라. 카자흐스탄
마. 러시아
(2) 코발트 (수산화코발트, 황산코발트)
가. 콩고민주공화국
나. 러시아
다. 호주
라. 캐나다
마. 핀란드
(3) 니켈(수산화니켈, 황산니켈)
가. 인도네시아
나. 러시아
다. 호주
라. 브라질(페로니켈/82026000)
마. 핀란드
(4) 망간(전해망간)
가. 호주
나. 남아공
다. 브라질(페로망간/72021100)
(5) 인조흑연
가. 생산
나. 가격
다. 주요 생산기업
라. 흑연 공정 다운스트림(①음극재)
마. 흑연 공정 다운스트림(②리튬배터리 음극재)
2) 2차전지 주요 원자재(광물) 주요 생산국별 정책
(1) 호주
(2) 캐나다
가. 리튬
나. 코발트
(3) 브라질
(4) 러시아
가. 코발트
나. 니켈
(5) 칠레
(6) 아르헨티나
(7) 카자흐스탄
(8) 인도네시아
(9) 핀란드
가. 코발트
나. 니켈

5. 국내기업 해외진출 현황 및 유망 프로젝트 분석
1) 2차전지 분야 현지기관 및 컨설팅업체 인터뷰
(1) 미국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2) 독일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3) 폴란드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4) 헝가리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다. 인터뷰 대상자 ②
라. 인터뷰 내용 ②
(5) 인도네시아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2) 2차전지 분야 국내기업 해외진출 현황
(1) 개황
가. 2차전지 완제품 생산기업(OEM 합작사 포함)
나. 2차전지 소재 생산기업
다. 2차전지 장비 관련 기업
(2) 관련 기업
가. 캐나다
나. 미국
다. 일본
라. 중국
마. 독일
바. 영국
사. 폴란드
아. 헝가리
자. 스웨덴
차. 러시아
카. 베트남
ⓐ 휴대전화 등 소형기기 관련
ⓑ 전기오토바이 관련
ⓒ 자동차 관련
3) 2차전지 분야 해외진출 유망 프로젝트 분석

6. 부록
1) 리튬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1) 캐나다
(2) 미국
(3) 일본
(4) 중국
(5) 독일
(6) 스페인
(7) 프랑스
(8) 이탈리아
(9) 폴란드
(10) 스웨덴
(11) 러시아
(12) 태국
(13) 베트남
(14) 인도
(15) 카자흐스탄
(16) 브라질
(17) 남아공
2) 2차전지 주요 소재 생산기업 리스트
(1) 캐나다
(2) 미국
(3) 일본
(4) 중국
(5) 독일
(6) 스페인
(7) 프랑스
(8) 이탈리아
(9) 폴란드
(10) 헝가리
(11) 러시아
(12) 스웨덴
(13) 태국
(14) 인도네시아
(15) 베트남
(16) 인도
(17) 카자흐스탄
(18) 멕시코
(19) 브라질
3) 2차전지 주요 원자재(광물) 공급기업 리스트
(1) 캐나다
(2) 미국
(3) 일본
(4) 중국
(5) 프랑스
(6) 핀란드
(7) 러시아
(8) 인도네시아
(9) 카자흐스탄
(10) 멕시코
(11) 칠레
(12) 브라질
(13) 남아공
(14) 콩고민주공화국

Ⅱ. 국내외 2차전지 산업 및 시장분석

1. 완성차 × 배터리 업체간 조인트벤처 비중 증가
1) 미래 모빌리티를 대비한 선택과 집중
(1)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기술 중심 이동: 기술 확보를 못하는 업체는 도태되고 말 것
(2) 전동화에 수십조 원 투자: 내재화 & 외주화를 통한 선택과 집중
2) 완성차 업체의 배터리 내재화 전략은 완성차 x 배터리 합작회사로
(1) 합작회사 비중은 21년 12%에서 26년 54%까지 증가 전망: IRA 법안으로 JV 가속화
(2) 커머디티 소재는 전방 수요에 더 크게 영향 받아
3) 23~25년 선점할 전기차: H/W 경쟁력 부각
(1)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전기차의 부재
(2) 현대ㆍ기아차/포드의 약진 – SKon
(3) 2023년 GM의 고성장 시작 – LGES
3) 2025년 전기차 판매 퀀텀 점프: 밸류체인 지각변동
(1) 2025년 전기차 전용 H/W, S/W 대거 출시
(2) 전기차x 배터리 밸류체인 변화
가. 폭스바겐/BMW에 대한 우려와 기회
나. 탈중국화에 따라 국내 업체와의 협력 강화될 업체들 주목
4) 투자 전략
5) 기업 분석
(1) LG에너지솔루션
(2) 삼성SDI
(3) 포스코케미칼
(4) 에코프로비엠
(5) 엘앤에프
6) 붙임
(1) 전세계 전기차/배터리 수요 추이 및 전망
(2) 국내외 2차전지 업종 비교

2. 국내외 2차전지 장비업체 분석
1) 글로벌 배터리 업체의 Capa 및 증설 계획
(1) 폭증하는 2차전지 수요
(2) 셀 업체들의 Capa 현황 및 전망
(3) 가장 공격적인 LG에너지솔루션
(4) 뒤를 쫓는 SKON, 수익성을 중시하는 삼성SDI
(5) 대세가 된 완성차 업체와의 파트너십
2) 2차전지 Capa 확대에 따른 시장 규모
(1) Capa 급증 구간에서 장비주 시대 도래
(2) 2차전지 소재의 수요도 폭증 전망
(3) 급등하고 있는 배터리 원재료 가격은 변수
3) 2차전지 장비업체 싸이클이 도래
(1) 2차전지 제조 공정
(2) 2차전지 제조 공정: 전극공정
(3) 2차전지 제조 공정: 조립공정
(4) 2차전지 제조 공정: 화성공정
(5) 2차전지 제조 공정: 기타공정
4) 2차전지 관련업체 Valuation Table
(1) Value Chain
(2) Valuation Table
(3) 2차전지 장비 관련 유망주
(4) 2차전지 장비 유망주 Valuation Table
(5) 유망 종목 주가 및 실적 추이
5) 국내 장비업체 분석
(1) 코윈테크
가. 2차전지 자동화 설비 수주 증가세 수혜
나. 코윈테크 실적 Table
다. 코윈테크 Peer Table
라. 투자포인트
ⓐ 2차전지 전 공정 자동화 시스템 구축
ⓑ 2차전지 자동화 시장 선점
ⓒ 2차전지 자동화 시장 납품 현황
마. 성장 전략
ⓐ 2차전지 공정 자동화 영역 확대
ⓑ 2차전지 해외 시장 확대
바. 시너지 전략
ⓐ 실적 전망
ⓑ 2차전지 토탈 솔루션
사. 코윈테크 주요 지표
아. 코윈테크 재무제표
(2) 하나기술
가. 장비 사업 다각화에 따른 본격 수혜 기대
나. 하나기술 실적 Table
다. 하나기술 Peer Table
라. 투자포인트
ⓐ 全 공정 턴키 공급 가능한 국내 유일 기업
ⓑ 국내 유일 전공정 턴키 가능
ⓒ 글로벌 고객사 확보
마. 성장 모멘텀
ⓐ 반고체 장비 수주 가속화
ⓑ 신규사업 확대
ⓒ 열면취 Glass 가공 장비
바. 주요 지표
사. 하나기술 재무제표
(3) 엔시스
가. 주요 고객의 글로벌 투자 확대 수혜 기대
나. 엔시스 실적 Table
다. 엔시스 Peer Table
라. 투자포인트
ⓐ 2차전지 全공정 검사장비 공급 가능 국내 유일업체
ⓑ 머신비전 기반 성장
ⓒ 글로벌 고객사 네트워크
마. 성장 모멘텀
ⓐ 고객사 다변화를 통한 수주확대
ⓑ 전고체 배터리 비전검사 장비
바. 주요 지표
사. 엔시스 재무제표
(4) 브이원텍
가. 2차전지, 디스플레이 투자 확대 수혜
나. 브이원텍 실적 Table
다. 브이원텍 Peer Table
라. 투자포인트
ⓐ 독보적인 머신기술 보유
ⓑ 2차전지 검사장비
ⓒ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마. 성장 모멘텀
ⓐ 전기차 전용 플랫폼
ⓑ 미세먼지 측정기
ⓒ 시스콘 인수 효과
바. 주요 지표
사. 브이원텍 재무제표
(5) 이노메트리
가. 2차전지 X-Ray 검사장비 수주 확대 수혜
나. 이노메트리 실적 Table
다. 이노메트리 실적 Table
라. 이노메트리 Peer Table
마. 투자포인트
ⓐ 2차전지 X-ray 검사장비 선도기업
ⓑ 모든 배터리 검사 가능
ⓒ AI 기술
바. 성장 모멘텀
ⓐ X-ray 검사 확대
ⓑ 2차전지 3D CT 검사 솔루션 도입
ⓒ 제조장비 비즈니스 진출
ⓓ 폐배터리 시장 확대
사. 주요 지표
아. 이노메트리 재무제표
(6) 유일에너테크
가. 2차전지 시장 성장 및 사업 다각화 기대
나. 유일에너테크 실적 Table
다. 유일에너테크 Peer Table
라. 투자포인트
ⓐ 2차전지 노칭, 스태킹 장비 업체
ⓑ 글로벌 국내외 고객사 보유
ⓒ 중장기 사업 목표
마. 성장 모멘텀
ⓐ 신규 사업 영역 확대로 성장 모멘텀 확보
ⓑ 고객사 다변화
ⓒ 수소 연료전지 사업 진출
바. 성장 전략 -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 주요 지표
아. 유일에너테크 재무제표

책속에서

머리말

TechNavio에 따르면 세계 2차전지 시장은 2019년 806억 8,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1.1%로 증가하여, 2024년에는 1,36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차전지 시장은 리튬이온전지, 커패시터, 납축전지, Ni-Cd 전지, Ni-MH전지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중 리튬이온2차전지와 납축전지를 중심으로 고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전기차 전지 내에서 리튬이온전지 시장은 2019년 198억 2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8.8%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556억 4,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 전고체전지 시장은 2019년 4천 6백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34.2%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2억 6,99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고체 배터리 시장은 향후 기술개발에 따라 2025~2030년 단계적 개화, 2030년 이후 본격적인 확대국면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 시장은 2019년 1억 6,02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20.9% 성장하여 2025년 5억 16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SNE Research에 따르면 자동차용 배터리 시장 전체의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330억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36.7%로 평균적인 배터리 시장이나 유사 품목을 다루는 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의 전체 비중은 약 19.1%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시행하는 탄소중립 정책에 힘입어 전체 시장에 차지하는 비중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순히 동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율주행 등의 스마트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또한 필요하여 보다 고용량, 고출력의 배터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자동차 배터리 전체 수요에서 승용차에 포함되는 배터리 수요는 90% 이상(약 300억 달러 규모)으로 분석되었으며, 연평균 성장률도 36.6%로 성장세는 견고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배터리 기술을 토대로 운용 가능한 주행거리와 충전속도로는 운행시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소형 승용차에서 소비자 수용성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버스의 경우 현재 시장규모는 약 18억 달러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29.1%로 추정된다. 주로 공공 목적의 대중교통용 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미국과 아시아 국가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추진하는 탄소중립 정책에 맞추어 화석 연료 버스를 전기 버스로 우선 대체하려는 목적 때문이다. 소형 트럭이나 승합차 등의 시장 규모는 약 12.5억 달러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44.6%로 분석된다. 물류 운송을 위한 소형 상용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정부의 보조와 전력망 확충 정책, 낮은 운용비용에 힘입어 중단거리 물류용 상용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며, 볼보 및 삼성전자와 같이 해당 수요에 대응하는 협력체도 생겨나고 있다. 대형 트럭에 대한 수요는 비중이 0.1% 미만으로 매우 낮은 상태이다.

세계 리튬이온전지 양극 소재의 경우 2018년 약 65.3억 달러에서 2024년 약 118.7억 달러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극재 시장은 전방산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저장 시스템(ESS) 시장에 비례하는 시장 규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에 대처하기 위한 환경규제 강화로 내연기관 자동차 대체를 위한 전기차 보급 확산과 에너지 시스템 확대가 진행중에 있다.

세계 리튬이온전지 음극재의 경우, 2018년 약 26.3억 달러에서 2024년 약 53.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음극재 시장은 2016년 이후 자동차용 리튬전지 시장을 견인하며, 계속 성장하고 있음. 자동차용 리튬전지 시장에서는 현재까지 보조금 정책으로 계속 성장한 중국 시장에서 2019년부터 환경규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승용차의 CO2 배출량 규제로 인하여 지속적인 확대가 예측되고 있다. 세계 리튬이온전지의 음극 소재는 한중일 3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중국이 74%, 일본이 20%, 한국이 6% 순으로 확인되고 있다.

전해질 세계 시장은 2018년 약 10.6억 달러에서 2024년 약 45억달러로 연평균 27.3%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해질 시장은 가파른 성장을 통해 EV/ESS용 중대형 리튬2차전지용 액체전해액 시장이 모바일IT용 소형 리튬2차전지용 전해질 시장을 압도하여 성장하고 있다.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세계시장규모는 2018년 1억 달러에서 2024년 4억 달러까지 연평균 25.7%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보고에 따르면 2차전지 전해액의 시장수요는 2019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42%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9년 전세계 리튬이온 2차전지용 전해액의 수요는 총 13만 5000톤 수준이었다. 2025년 수요는 약 109만 3000톤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형전지용 전해액과 중대형 전지용 전해액의 비율은 2019년 약 34:66에서 2025년 6:94 수준으로 바뀔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 2차전지 분리막 시장은 2018년 약 1,910 백만 달러에서 2023년 약 5,332 백만 달러로 연평균 21.4%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차전지 시장은 2018년 137GWh에서 2020년 311GWh, 2025년 1,120GWh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Cordless 기기 확산/성능 개선, xEV 출시 가속화, ESS 보급 정책 수혜 등을 전망하기 때문이다. 최근 2차전지 시장은 소형 IT용 Application 시장에서 ESS, EV 시장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2차전지 분리막 시장 역시 이에 맞추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체 자동차 시장 가운데 1% 수준에 불과한 xEV 비중이 2025년 약 11%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보고서는 전기자동차 시장은 물론 2차전지 및 관련 소재시장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또한 국가별로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 시장분석과 현지진출 전략을 자세히 써놓았으니 해외시장 진출에 관심 있으신 기업과 관련 당사자의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