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화집
· ISBN : 9791192756424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05-27
책 소개
목차
NUDE 1 7
NUDE 2 55
NUDE 3 93
CROQUIS 137
ARTIST CV 192
저자소개
책속에서
길현수의 매력적인 풍경화 혹은 정물화에서 또 다른 생명성을 발견한다. 그의 풍경에서 들이나 산, 혹은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대상을 생기 있게 할 목적으로 재료의 물성과 결합하여 추상성을 강화하거나, 또는 원색을 사용하여 생명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풍경화가 사물의 실재감을 강조하는 치밀한 묘사와 공간의 깊이감을 담아내는 데 주력하였다면, 길현수의 풍경은 세잔의 그것처럼 논리적이고 구조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때로는 눈에 보이는 대로 자연에 가깝게 그리면서, 대상으로부터 받은 순간의 인상을 포착하는 방식을 선택하거나, 경물의 다채로움을 화면에 담기 위해 활발한 붓 터치의 색채분할을 시도하기도 한다.
작가의 ‘푸른 사색’이나 ‘소래 풍경’ ‘이국 도시’ 등의 작품은 일정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대상의 일부를 포착한 것인데, 세밀한 부분을 생략하여 대상을 규정한 물감의 질감과 색감은 자연을 선명하고 명쾌하게 응시하는 작가의 시선을 느끼게 한다. 대상들을 천천히 관찰하게 되면 그것이 따스한 햇볕이나 잔잔한 바람을 맞으면서 움직이는 소소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주제가 되는 경물을 원색으로 처리하여 화면에 생동감을 부여하면서 감각적인 재현으로 중경을 현실공간으로 이끌고 무채색조의 원경은 신비로운 이상세계로 인도한다. 건물과 점경인물, 숲의 이미지들은 격정적인 색면에 매몰된 듯 하다가도 여전히 스스로 형태론적 위상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부각시킨다. 분절되거나 덩어리처럼 묘사된 붓터치의 단위들은 그가 색들을 중첩시켜 화면을 구성하는데 몰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현된 이미지들은 화면의 추상적 경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나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이처럼 시점의 다양화와 색과 빛의 우아한 조화, 구상성과 추상성의 융합, 그리고 현실공간과 이상공간의 어울림은 매우 실험적인 접근 방식으로 길현수 그림의 주된 매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처럼 작가는 자연에 근접하게 배치한 형상들을 일정한 질서 위에 정착시키고 풍부한 공간과 영겁의 시간을 포괄하면서 욕망을 순화시킨다. 조화로운 아름다움과 실험적 표현을 즐기는 작가는 작품을 향유의 대상으로부터 사유의 대상으로 변모시키는 미적 취향을 보여준다. 자신의 사유를 외부에 주입하고자 한다는 것이 아니라 사유의 폭과 경험에 따라 자연스럽게 읽히도록 배려하는 작가의 겸손함을 말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는 현상에 대한 작가 특유의 해석과 개성적 필치가 만들어낸 것으로 자연적 삶의 영속성을 위해 필요한 심리적 반응과 서정적 세계의 동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인 구상회화에서 볼 수 있는 자연의 용모가 고개를 내밀지 않은 대신에 순수한 정념의 서사시와 같은 운율 가득 찬 길현수의 화면에서 우리는 동시대 회화의 진정한 가치에 대하여 사유케 된다. ? 이경모, <재현의 초극을 통한 생명성의 구현> 중 일부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