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도 엔진 4 게임 개발 프로젝트

고도 엔진 4 게임 개발 프로젝트

(최고의 오픈 소스 게임 엔진으로 크로스 플랫폼 2D 및 3D 게임 5가지 만들기, 제2판)

크리스 브래드필드 (지은이), 강세중 (옮긴이)
제이펍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300원 -10% 1010원 17,260원 >

책 이미지

고도 엔진 4 게임 개발 프로젝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도 엔진 4 게임 개발 프로젝트 (최고의 오픈 소스 게임 엔진으로 크로스 플랫폼 2D 및 3D 게임 5가지 만들기,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게임 프로그래밍
· ISBN : 979119298792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4-03-21

책 소개

고도 엔진의 2D 및 3D 기능을 충실하게 활용하는 5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되었다. 소규모 게임 프로젝트의 제작법을 따라 하는 과정에서 고도의 내부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자신의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개발 기법을 익힐 수 있다. 간단한 단계별 접근 방식과 실용적인 예제를 통해 기초부터 정교한 게임 물리, 애니메이션까지 모든 것을 다룬다.

목차

옮긴이 머리말 x
추천의 글 xiii
베타리더 후기 xvi
이 책에 대하여 xix
감사의 글 xxii

CHAPTER 1 고도 4 소개
1.1 시작을 위한 조언 2
__1.1.1 효과적인 학습 비결 3
1.2 게임 엔진이란 무엇인가? 4
1.3 고도란 무엇인가? 5
1.4 고도 다운로드 6
__1.4.1 다른 설치 방법 7
1.5 고도 UI 개요 9
__1.5.1 프로젝트 매니저 9
__1.5.2 에디터 창 11
1.6 노드와 씬 14
1.7 고도에서의 스크립팅 15
__1.7.1 GDScript 15
요약 16

CHAPTER 2 코인 대시: 첫 2D 게임 만들기
2.1 기술적 요구 사항 18
2.2 프로젝트 설정 19
2.3 벡터와 2D 좌표계 21
2.4 1단계: 플레이어 씬 22
__2.4.1 씬 생성 23
__2.4.2 스프라이트 애니메이션 24
__2.4.3 콜리전 모양 26
__2.4.4 플레이어 스크립트 작성 28
__2.4.5 플레이어 이동 29
__2.4.6 애니메이션 선택 31
__2.4.7 플레이어의 이동 시작 및 종료 32
__2.4.8 충돌에 대비하기 32
2.5 2단계: 동전 씬 35
__2.5.1 노드 설정 35
__2.5.2 동전 스크립트 36
2.6 3단계: 메인 씬 37
__2.6.1 노드 설정 37
__2.6.2 메인 스크립트 38
__2.6.3 새 게임 시작 39
2.7 4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41
__2.7.1 노드 설정 41
__2.7.2 메시지 레이블 42
__2.7.3 점수 및 시간 표시 개요 43
__2.7.4 점수 및 시간 표시 구현 43
__2.7.5 GDScript를 통한 UI 업데이트 44
__2.7.6 게임 오버 45
__2.7.7 메인에 HUD 추가 46
2.8 5단계: 마무리 47
__2.8.1 비주얼 이펙트 47
__2.8.2 사운드 49
__2.8.3 파워업 49
__2.8.4 동전 애니메이션 52
__2.8.5 장애물 53
요약 54

CHAPTER 3 스페이스 록: 물리 엔진으로 고전 2D 아케이드 만들기
3.1 기술적 요구 사항 56
3.2 프로젝트 설정 56
__3.2.1 리지드 바디 물리학 58
3.3 플레이어 우주선 60
__3.3.1 바디 및 물리 설정 60
__3.3.2 상태 기계 62
__3.3.3 플레이어 컨트롤 추가 64
__3.3.4 화면 휘감기 66
__3.3.5 사격 68
3.4 바위 추가 71
__3.4.1 씬 설정 71
__3.4.2 다양한 크기의 바위 72
__3.4.3 바위 인스턴스화 73
__3.4.4 폭발하는 바위 76
3.5 UI 제작 80
__3.5.1 레이아웃 81
__3.5.2 UI 스크립트 83
__3.5.3 메인 씬의 UI 코드 84
__3.5.4 플레이어 코드 86
3.6 게임 종료 88
__3.6.1 리지드 바디 사이의 콜리전 감지 89
3.7 게임 일시 정지 90
3.8 적 92
__3.8.1 경로 따라가기 92
__3.8.2 적 씬 94
__3.8.3 적 이동 94
__3.8.4 적 스폰 95
__3.8.5 적 사격 및 충돌 96
3.9 플레이어 보호막 99
3.10 사운드 및 비주얼 이펙트 103
__3.10.1 사운드와 음악 103
__3.10.2 파티클 104
__3.10.3 적의 자취 107
요약 108

CHAPTER 4 정글 점프: 2D 플랫포머의 달리기와 점프
4.1 기술적 요구 사항 110
4.2 프로젝트 설정 110
4.3 키네마틱 바디 소개 112
__4.3.1 콜리전 반응 112
4.4 플레이어 씬 만들기 113
__4.4.1 콜리전 레이어와 마스크 114
__4.4.2 AnimationPlayer에 대해 114
__4.4.3 애니메이션 115
__4.4.4 콜리전 모양 116
__4.4.5 플레이어 씬 마무리 117
__4.4.6 플레이어 상태 117
__4.4.7 플레이어 스크립트 119
__4.4.8 플레이어 이동 120
__4.4.9 플레이어 체력 122
4.5 수집용 아이템 124
__4.5.1 씬 설정 124
__4.5.2 수집용 아이템 스크립트 125
4.6 레벨 디자인 126
__4.6.1 타일맵 사용 127
__4.6.2 첫 번째 레벨 디자인 130
__4.6.3 위험한 오브젝트 추가 132
__4.6.4 배경 스크롤 133
4.7 적 추가 136
__4.7.1 씬 설정 136
__4.7.2 적 스크립트 137
__4.7.3 적에게 피해 주기 138
__4.7.4 플레이어 스크립트 140
4.8 게임 UI 142
__4.8.1 씬 설정 142
__4.8.2 HUD 스크립트 144
__4.8.3 HUD 붙이기 144
4.9 타이틀 화면 145
__4.9.1 씬 설정 145
4.10 메인 씬 설정 147
4.11 레벨 간 전환 149
__4.11.1 Door 씬 149
__4.11.2 화면 설정 150
4.12 마무리 작업 151
__4.12.1 사운드 이펙트 151
__4.12.2 이중 점프 152
__4.12.3 먼지 파티클 153
__4.12.4 사다리 154
__4.12.5 움직이는 플랫폼 157
요약 159

CHAPTER 5 3D 미니골프: 미니골프 코스를 만들며 3D로 뛰어들기
5.1 기술적 요구 사항 162
5.2 3D에 대한 소개 162
__5.2.1 3D 공간에서 방향 지정 162
__5.2.2 고도의 3D 에디터 164
__5.2.3 3D 오브젝트 추가 165
__5.2.4 글로벌 공간과 로컬 공간 166
__5.2.5 변형 166
__5.2.6 메시 167
__5.2.7 카메라 169
5.3 프로젝트 설정 170
5.4 코스 만들기 171
__5.4.1 GridMap 이해하기 172
__5.4.2 첫 번째 홀 그리기 172
__5.4.3 환경과 조명 174
__5.4.4 홀 추가하기 175
5.5 공 만들기 176
__5.5.1 공 테스트 176
__5.5.2 공 콜리전 개선 177
5.6 UI 추가하기 178
__5.6.1 화살표로 겨냥하기 178
__5.6.2 UI 디스플레이 181
5.7 게임 스크립팅 182
__5.7.1 UI 코드 183
__5.7.2 메인 스크립트 184
__5.7.3 공 스크립트 186
__5.7.4 테스트하기 187
__5.7.5 겨냥 개선 옵션 1 188
__5.7.6 겨냥 개선 옵션 2 189
__5.7.7 카메라 개선 191
__5.7.8 전체 코스 디자인 193
5.8 비주얼 이펙트 194
__5.8.1 머티리얼 추가 195
5.9 조명과 환경 198
요약 199

CHAPTER 6 인피니트 플라이어
6.1 기술적 요구 사항 202
6.2 프로젝트 설정 202
__6.2.1 입력 202
6.3 비행기 씬 203
__6.3.1 콜리전 모양 205
__6.3.2 비행기 스크립트 작성 205
6.4 월드 만들기 208
__6.4.1 월드 오브젝트 209
__6.4.2 청크 212
6.5 메인 씬 216
__6.5.1 새 청크 스폰하기 218
__6.5.2 난이도 조절 219
__6.5.3 콜리전 221
__6.5.4 연료와 점수 223
6.6 타이틀 화면 226
6.7 오디오 228
6.8 하이스코어 저장하기 228
__6.8.1 파일 위치에 대해 229
__6.8.2 파일 접근 229
6.9 추가 기능에 대한 제안 230
요약 231

CHAPTER 7 다음 단계와 추가 리소스
7.1 고도 문서 사용하기 234
__7.1.1 API 문서 읽기 235
7.2 버전 관리: 고도에서 깃 사용 236
7.3 고도와 블렌더 병용하기 238
__7.3.1 가져오기 힌트 238
__7.3.2 블렌드 파일 사용하기 239
7.4 프로젝트 내보내기 240
__7.4.1 내보내기 템플릿 241
__7.4.2 내보내기 프리셋 241
__7.4.3 내보내기 242
__7.4.4 특정 플랫폼용으로 내보내기 243
7.5 셰이더 소개 244
__7.5.1 2D 셰이더 만들기 245
__7.5.2 3D 셰이더 250
__7.5.3 추가 학습 253
7.6 고도에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하기 253
__7.6.1 C# 254
__7.6.2 그 밖의 언어: GDExtension 256
7.7 도움받기: 커뮤니티 리소스 257
__7.7.1 고도 레시피 257
7.8 고도에 기여하기 258
__7.8.1 엔진에 기여 259
__7.8.2 문서 작성 259
__7.8.3 기부 260
요약 260

APPENDIX A 한국어판 부록: 고도 엔진 에디터 메뉴 버튼 설명
A.1 에디터 선택 메뉴 262
A.2 2D 에디터 상단 메뉴 263
A.3 3D 에디터 상단 메뉴와 원근 버튼 266
A.4 플레이 테스트 메뉴바 268
A.5 고도 에디터 활용 참고 문서 269

마치며 271
찾아보기 272

저자소개

크리스 브래드필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IT 업계에서 25년 넘게 일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여러 MMO 및 소셜 게임 퍼블리셔에서 근무하며 게임 디자이너, 개발자, 제품 관리자, 비즈니스 개발 임원 등의 경력을 거쳐왔다. 교육에도 관심이 많아 2012년에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과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키즈캔코드(KidsCanCode)를 설립했으며, 전 세계 게임 개발 학생들을 위한 비디오 및 텍스트 기반 튜토리얼과 학습 자료도 제작하고 있다.
펼치기
강세중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를 전공하고 IT회사에서 다년간 근무하였으며, 현재 번역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입니다. 주요 역서로는 『레고 마인크래프트 아이디어 북』,『마인크래프트 최강 전략 백과: 건축 마스터』,『마인크래프트 최강 전략 백과: 아쿠아틱』,『마인크래프트 최강 전략 백과: 멀티플레이어 모드』,『마인크래프트 최강 전략 백과: 어디서도 알려 주지 않은 마인크래프트 정보와 비결 A-Z』,『마인크래프트 좀비를 찾아라』,『마인크래프트 서바이벌 챌린지』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게임 개발자로서는 고도를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많다. 우선 상업적 라이선스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게임을 배포하는 방식과 분야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대다수 상용 게임 엔진은 제작할 수 있는 프로젝트 유형을 제한하거나 도박 등 특정 장르의 게임을 제작하는 데는 훨씬 더 비싼 라이선스를 요구한다. / 고도가 오픈 소스라는 점은 상업용 게임 엔진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투명성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특정한 엔진 기능이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면 엔진 자체를 자유롭게 수정해서 필요한 새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허락을 받을 필요도 없다. 또한 엔진의 내부 작동에 대한 완전한 접근 권한이 있으므로 대규모 프로젝트를 디버깅할 때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파이썬처럼 GDScript도 동적 타입 언어다. 이는 변수를 생성할 때 타입을 선언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또한 공백(들여쓰기)을 사용해 코드 블록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봐서 GDScript를 게임 로직에 사용했을 때의 장점은, 엔진과 긴밀하게 통합되어서 코드 작성량이 적다는 점이다. 이는 그만큼 개발이 빨라지고 실수를 수정할 일도 줄어든다는 뜻이다. / GDScript가 어떤 모습인지 개념을 잡을 수 있게 다음 예제 코드를 준비했다. 스프라이트를 정해진 속도로 화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짧은 스크립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926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