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93110867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5-11-19
책 소개
목차
004 추천사
008 서문
1장 신이 내린 묘약
016 최정상 국가대표선수의 체력유지 비밀은?
019 우리의 몸에는 특별한 의사가 있다?
023 왕과 귀족들의 비밀, 자하거의 유래?
026 허준도 반해버린 ‘자하거의 신비로운 효능’
032 왕실의 입소문, 대신들도 극찬한 ‘왕들의 명약’
037 왕의 여자, 중전도 자하거를 복용했을까요?
040 빠른 회복과 재생이 가능한 이유는?
044 현대에도 여전히 빛을 발하는 태반요법의 종류
2장 갱년기와 태반 요법
052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제2의 사춘기
057 한의학에서는 갱년기를 어떻게 바라볼까요?
062 자하거는 갱년기 여성에게 어떤 작용을 하나요?
066 갱년기는 여성만의 이야기일까요?
072 갱년기의 한의학 치료
083 갱년기 태반 치료 사례
3장 ┃야간뇨, 요실금과 태반 요법
092 야간뇨는 왜 발생할까요?
097 요실금이란 무엇인가요?
100 당뇨와 스트레스도 소변 문제를 일으키나요?
103 출산 후에 요실금이 생기기도 하나요?
106 야간뇨와 요실금, 생활습관으로 막을 수 있을까요?
110 야간뇨와 요실금의 한의학 치료
119 야간뇨와 요실금 태반 치료 사례
127 자하거는 차가운 체질과 뜨거운 체질 중 어떤 체질에 더 잘 맞을까요?
4장 ┃허리디스크와 태반 요법
132 척추 질환은 무엇인가요?
137 허리디스크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146 허리디스크, 수술이 필요할까요?
153 허리디스크의 증상과 단계는 어떻게 될까요?
157 허리디스크가 있을 때 좋은 운동과 나쁜 운동
157 허리디스크의 한의학 치료
174 허리디스크 태반 치료 사례
5장 ┃척추관 협착증과 태반 요법
182 척추관 협착증은 왜 생기는 걸까요?
185 척추관 협착증은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187 골다공증이 있으면 척추관 협착증이 생길 수 있나요?
190 척추관 협착증, 수술을 받아야 할까요?
193 척추관 협착증의 한의학 치료
201 척추관 협착증의 태반 치료 사례
208 봉약침과 자하거 약침은 어떻게 다른가요?
6장 ┃목 질환과 태반 요법
212 목의 구조와 기능은 어떻게 될까요?
214 일자목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220 일자목과 거북목, 왜 위험할까요?
222 일자목과 목디스크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226 목디스크의 한의학 치료
234 목디스크의 태반 치료 사례
7장 ┃어깨 질환과 태반 요법
244 팔 들기도 힘든 어깨, 오십견인가요?
246 오십견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249 오십견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251 오십견과 어깨 질환들은 연관성이 있나요?
260 어깨 수술을 받았는데 재활 치료 꼭 필요한가요?
263 오십견과 회전근개 증후군의 한의학 치료
272 오십견과 회전근개 증후군의 태반 치료 사례
8장 ┃팔꿈치 질환과 태반 요법
280 팔꿈치 통증, 혹시 테니스엘보우나 골프엘보우일까요?
282 테니스엘보우와 골프엘보우, 다른 질환과 어떻게 다를까요?
285 테니스엘보우와 골프엘보우 같은 팔꿈치 질환의 한의학 치료
292 테니스엘보우와 골프엘보우의 태반 치료 사례
9장 ┃무릎관절 질환과 태반 요법
300 무릎 질환 어떻게 치료해왔을까요?
302 무릎관절의 구조와 역할
306 무릎관절 질환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309 점점 증가하는 무릎 질환, 왜 생기는 걸까요?
312 대표적인 무릎관절 질환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318 무릎관절염에도 단계가 있나요?
320 무릎관절 질환의 한의학 치료
332 무릎관절 질환의 태반 치료 사례
336 에필로그
340 태반을 활용하여 치료 가능한 질환들
342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질병의 근본적인 치유의 열쇠는 바로 우리 몸이 원래 태어나기 전부터 있던 곳, 즉 어머니로부터 받은 귀중한 영양 물질이 가득한 곳인 ‘태반’에 있습니다. 태반은 우리 모두가 생명의 시작부터 경험한, 가장 순수하고 강력한 영양의 원천입니다.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였던 서장훈 선수가 방송에서 “선수 시절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온갖 방법을 쓰다가 결국 1년에 50번씩 태반 주사를 맞았다.”라고 고백했을 만큼 태반은 강력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태반을 ‘자하거’라고 하여, 약침과 한약재 등으로도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자하거, 왜 생명을 잇는 이름일까요?
이 세 글자, ‘자紫’, ‘하河’, ‘거車’는 각각 고귀함, 생명력, 이동과 전달을 의미합니다. 이를 종합하면 ‘자하거’는 “어머니의 고귀한 생명력이 수레를 타고 흐르는 강물처럼 태아에게 전달되는 것”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순한 태반이라는 개념을 넘어, 자하거는 어머니가 아이를 향해 전하는 사랑과 생명의 결정체입니다.
왕실의 기록들은 중전의 질병 치료와 건강 관리에 자하거가 빈번하고 중요하게 사용되었음을 증명합니다. 이는 자하거가 단순히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약재가 아니라, 조선 왕실의 최고 의료기관인 내의원에서 그 효능을 검증하고 신뢰했던 ‘공식적인 명약’이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