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차세대 한국형 전력망 구축으로 주목받는, 2026년 글로벌 전력망

차세대 한국형 전력망 구축으로 주목받는, 2026년 글로벌 전력망(그리드) 기술, 시장 전망과 유망분야 사업화 전략

씨에치오 얼라이언스 편집부 (지은이)
씨에치오얼라이언스(CHO Alliance)
48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6,000원 -5% 0원
14,400원
44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차세대 한국형 전력망 구축으로 주목받는, 2026년 글로벌 전력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차세대 한국형 전력망 구축으로 주목받는, 2026년 글로벌 전력망(그리드) 기술, 시장 전망과 유망분야 사업화 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93250433
· 쪽수 : 675쪽
· 출판일 : 2025-10-15

책 소개

초고압 변압기, HVDC 케이블 등 유망 핵심 전력기자재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거대시장으로 급부상하는 ‘국내외 전력망(Grid) 시장과 관련 기자재 시장의 최근 동향과 전망, 핵심 기술 개발 전략’ 등을 종합 분석한 보고서다.

목차

Ⅰ. 국내외 전력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31

1. 국내외 전력산업 최근 이슈와 주요 정책 동향 31
1-1. 글로벌 전력산업 트랜드와 주요 이슈 31
1) 글로벌 전력, 에너지 시장 트렌드와 대응 동향 31
(1) 글로벌 에너지 시장 트렌드 및 대응 전략 31
(2) 청정에너지 전환과 대응 전략 38
2) 탄소중립대응 무탄소에너지(CFE) 부상과 에너지믹스 45
(1) 개요 45
(2) 최근 글로벌 에너지전환 동향 및 전망 47
(3)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에너지믹스) 정책 동향과 전망 49
3) 분산에너지 부상과 에너지 신사업 모델 동향 60
(1) 분산에너지 정의와 부상 배경 60
(2) 분산에너지 활성화 전략의 주요 기술과 사업 모델 61
(3)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 66
4) 생성 AI 시대의 데이터센터 구축과 전력난 67
(1) 생성 AI 시대의 데이터센터 경쟁 67
(2) 데이터센터와 전력 소비 68
1-2. 국내 전력산업 주요 정책 동향과 추진 전략 70
1) 국민주권정부 에너지 산업 정책 방향과 전망 70
(1)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70
(2)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 구축 본격화 70
2) K-그리드 글로벌 진출 전략 74
(1) 개요 74
(2) 추진전략 80
(3) 세부 추진과제 81
(4) 과제별 추진일정 90

2. 국내외 전력산업 관련 유망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91
2-1. 지능형 전력망(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91
1) 스마트(마이크로) 그리드 개요와 동향 91
(1) 스마트그리드 개요 91
(2) 스마트그리드 주요 구성요소와 기능 93
(3) 마이크로그리드 개요 및 동향 97
2) 국내외 스마트 그리드 정책 동향과 시장 전망 102
(1) 국내외 스마트 그리드 정책 동향 102
(2) 세계 스마트 그리드 시장 전망 104
2-2. ESS와 EMS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05
1) ESS(에너지저장 시스템)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05
(1) ESS 정의 105
(2) ESS 구성 및 분류 106
(3) ESS 기술별 분류와 특징 108
(4) 국내외 ESS 시장 동향과 전망 113
2) EMS(에너지관리 시스템)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23
(1)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개요 123
(2)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밸류체인 129
(3) 글로벌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시장 전망 138
2-3. 전기차 배터리기반 V2G(Vehicle to Grid) 사업 동향과 전망 140
1) 전기차 내 잉여 전력 저장 및 활용 방법 140
(1) 전기차 잉여전력 저장과 활용방안 140
(2) V2G(Vehicle to Grid) 개념과 기능 140
2) 주요국 V2G 기술개발 프로젝트 개요와 동향 142
(1) 일본, e-Mobility Power 프로젝트(2019~) 142
(2) 중국, 상하이 V2G 시범 프로젝트(2020~) 143
(3) 독일, BCM(Bidirectional Charging Management) 프로젝트(2020∼) 144
(4) 미국, 전기 스쿨버스 V2G 프로젝트(2021∼2022) 144
(5) 영국, Shift Project(2019∼2024) 146
(6) 호주, 남호주 V2G 양방향 충전 승인 147
(7) 인도, ChargeGrid Flare 프로젝트(2020∼) 148
3) 국내외 V2G 사업화 사례 및 전기차 OEM 대응 동향 149
(1) 일본의 V2H(Vehicle to Home) 사례 및 동향 149
(2) 국내외 주요 자동차 OEM 대응 동향 151
4) 국내외 EV기반 가상발전소(VPP) 사업화 사례와 동향 152
(1) VPP 개요와 EV기반 VPP 152
(2) EV기반 VPP 사업화 사례와 동향 154
2-4. 전력·에너지 분야 AI 기술 활용 동향과 전망 156
1) 인공지능(AI) 기술 전력·에너지 분야 적용과 향후 과제 156
(1) 전력·에너지 분야 AI 활용 동향과 전망 156
(2) 전력·에너지 부문 AI 활용 시 우려 사항 159
(3) 전력·에너지 부문 AI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과제 165
2) 국내 AI 활용 에너지 시스템 전환 정책과 전략 172
(1) 개요 172
(2) 세부 과제별 추진 전략 178
(3) 3대 시범사업 추진방향 186

3.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과 2025년 시행계획 190
3-1.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2023∼2027) 190
1) 기본계획 개요 190
2) 제2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평가 192
(1) 2차 기본계획 주요 성과 192
(2) 2차 기본계획의 한계 193
3) 국내외 동향 194
(1) 국내 환경 변화 194
(2) 해외 동향 195
(3) 시사점 197
4) 목표 및 추진전략 198
5) 주요 추진 과제 199
(1) 전력 공급 유연성 강화 199
(2) 스마트한 전력소비 체계 구축 200
(3) 전력계통 시스템 디지털화 205
(4) 마이크로그리드 활성화 208
(5) 지능형전력망 산업 생태계 구축 211
6) 세부 과제별 투자계획 214
7) 전략별 세부 추진 일정 215
3-2. 2025년도 지능형전력망 시행계획 216
1) 개요 216
(1) 목적 216
(2) 추진경과 216
2) 2024년 5大 추진전략별 시행계획 평가 217
(1) 주요성과 217
(2) 평가 219
3) 2025년 5大 추진전략별 추진계획 219
(1) 전력공급 유연성 강화 219
(2) 스마트한 전력소비 체계 구축 221
(3) 전력계통 시스템 디지털화 222
(4) 마이크로그리드 활성화 223
(5) 지능형전력망 산업 생태계 구축 224
4) 전략별 세부 추진 일정 226

4. 국내 전력 수급 전망 및 전력망 구축 계획(2024∼2038) 227
4-1. 국내 전력 수급 현황과 전망 227
1) 전력수급 현황 227
(1) 전력수요 227
(2) 전력공급 230
2) 전력수요 전망 231
(1) 기준수요 231
(2) 목표수요 233
3) 수요관리 목표 235
(1) 최대전력 절감계획 235
(2) 전력소비량 절감계획 235
4) 전원구성 전망 236
(1) 정격용량 기준 236
(2) 실효용량 기준 238
4-2. 국내 발전 설비 현황과 향후 계획 240
1) 공급물량 제외설비 현황 240
2) 노후 화력발전 설비 현황 241
3) 집단에너지 현황 및 설비계획 243
4) 신재생에너지 설비 및 발전량 전망 244
(1)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 전망(2024∼2038) 244
(2)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전망(2024∼2038) 245
5) 주요 해상풍력 설비계획 246
6) 에너지저장장치(ESS) 현황 및 계획 247
7) 발전설비 건설계획표 249

Ⅱ. 국내외 전력망(Grid)?전력기자재 기술, 시장 실태와 전망 259

1. 전력산업 밸류체인별 주요 이슈와 전력기자재 시장 전망 259
1-1. 전력산업 밸류체인과 전력 인프라 개요 259
1) 전력산업 밸류체인과 전력망 인프라 259
(1) 전력산업 밸류체인과 전력망 259
(2) 전력망 구성과 핵심 인프라 260
2) 9대 핵심 전력기자재와 주요 용도 261
1-2. 전력산업 밸류체인별 주요 이슈와 동향 263
1) DC(직류) 전기시대- 직류 송배전 263
(1) DC(직류) 기술 개요 263
(2) HVDC(초고압직류송전) 기술과 시장 동향 263
(3) DC 배전 기술과 시장 동향 267
2) 발전 분야-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와 분산형 전원 269
3) 송·배전 분야-시설 노후화와 그리드 투자 부족 272
(1) 송배전망 노후화 272
(2) 송배전망 투자부진 273
4) 변전 분야-공급 능력 부족과 가격 상승 275
(1) 변압기 분류와 특성 275
(2) 대형변압기(LPT) 공급 불안정 277
(3) 배전 변압기 공급 부족, 리드타임과 가격 모두 상승 278
5) 소비 분야-에너지 프로슈머(Prosumer) 등장과 전력산업 구조 변화 280
(1) 에너지 프로슈머(Prosumer) 등장 280
(2) 전력산업 구조변화와 P2P 전력 거래 모델 281
(3) 국내, 전력직접구매제도 규칙개정(2025.3) 282
1-3. 유망 전력 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283
1) 초고압 (대형)변압기(Transformer) 283
(1) 변압기 개요와 글로벌 시장 전망 283
(2) 대형변압기(Large Power Transformer) 시장동향 285
(3) 미국 변압기 시장 동향과 전망 287
2) 배전반(Distribution Board) 290
(1) 배전반 개요와 글로벌 시장 전망 290
(2) 미국 배전반 시장 동향과 전망 292
3) 고압케이블(High Voltage Cable) 294
(1) 고압케이블 개요와 글로벌 시장 전망 294
(2) 미국 고압케이블 시장 동향과 전망 298

2. 국내외 전력망(Grid) 관련 전력 계통·수요관리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03
2-1. 국내외 전력망 관련 전력 계통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03
1) 국내외 전력망 관련 정책 동향과 시장 전망 303
(1) 해외 전력망 관련 정책 동향과 시장 전망 303
(2) 국내 전력망 관련 정책 동향과 시장 전망 307
2) 주요국 전력망 관련 대응 동향과 전략 309
(1) 미국 309
(2) 중국 310
(3) 유럽 310
3) 국내외 전력망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311
(1) 해외 전력망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311
(2) 국내 전력망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314
2-2. 국내외 전력망 관련 수요관리(DR)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17
1) 국내외 수요관리(DR) 관련 정책 동향과 시장 전망 317
(1) 해외 수요관리(DR) 관련 정책 동향과 시장 전망 317
(2) 국내 수요관리(DR) 관련 정책 동향과 시장 전망 322
2) 국내외 수요관리(DR)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326
(1) 해외 수요관리(DR)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326
(2) 국내 수요관리(DR)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330

3. 글로벌 주요국 전력망(그리드)?전력 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333
3-1. 미국 333
1) 미국 전력 수요 동향 및 전망 333
(1) 급증하는 수요 대응 발전설비 확충 333
(2) 노후한?전력망 인프라와 용량 부족으로 계통 연계 지연 334
2) 미국, 전력 인프라 확충 및 대응 전략 335
(1) 전력망 확충 및 개선 위한 투자 계획 335
(2) 전력망 구축 규제 완화와 지원 정책 337
3-2. 캐나다 340
1) 캐나다?전력?생산?및?인프라?산업?동향 340
2) 캐나다?전력망?확충 및 현대화 대응 동향과 전략 342
(1) 캐나다?전력망?산업?현황 342
(2) 캐나다?전력망?확충 계획 343
(3) 캐나다 주요?전력망?산업?프로젝트 344
3) 캐나다 전력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346
3-3. 콜롬비아 348
1) 콜롬비아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48
2) 콜롬비아 전력망 투자 계획과 전략 349
3) 콜롬비아 전력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351
3-4. 페루 353
1) 페루 전력 산업 시장 동향 353
2) 페루 전력망 구축 동향과 전략 354
3) 페루 전력시장 전망 357
3-5. 중국 358
1) 중국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58
2) 중국 전력망 투자 동향과 전략 359
(1) 중국 스마트그리드 시장 동향과 전망 359
(2) 중국 스마트변전소 투자 전략 360
3) 중국 전력망 시장 전망 361
(1) 중국의 스마트그리드 밸류체인 361
(2) 중국 스마트그리드 유망 분야 전망 362
3-6. 대만 364
1) 대만 전력산업 시장 동향 364
2) 대만 전력망 구축 계획과 전략 366
(1) 전력망 시장 구조 366
(2) 전력망 구축 계획과 전략 366
3) 대만 주요 전력기자재 수입 및 경쟁 동향 369
4) 대만 전력산업 시장 전망 370
3-7. 베트남 372
1) 베트남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72
(1) 베트남 전력생산과 발전원 구성 372
(2) 베트남 전력망 개발과 투자 계획 373
2) 베트남 전력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374
(1) 베트남 전력기자재 수입 시장 동향 374
(2) 베트남 전력기자재 수출 시장 동향 375
3) 베트남 전력시장 경쟁 구도와 전망 376
(1) 전기 발전부문 경쟁구도 376
(2) 전력기자재부문 경쟁구도 377
(3) 베트남 전력?기자재 시장 전망 378
3-8. 인도네시아 379
1) 인도네시아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79
(1) 전력 생산 동향 379
(2) 전력 소비 동향 380
2) 인도네시아 전력망 투자 계획과 전략 381
(1) 에너지 믹스와 발전용량 추가계획 381
(2) 투자 계획 382
3) 인도네시아 전력망 구조와 기자재 시장 동향 383
(1) 인도네시아 전력망 시장 구조 383
(2) 전력 인프라 및 송전 현황 384
(3) 인도네시아 절연전선 및 케이블 시장 동향 385
3-9. 말레이시아 386
1) 말레이시아 전력산업 시장 동향 386
2) 말레이시아 전력망 구축 계획과 전략 387
3) 말레이시아 전력시장 전망 389
3-10. 영국 390
1) 영국 전력산업 수급 동향 390
2) 영국 전력망 구축 계획과 전략 392
(1) 영국 전력망 시장 구조 392
(2) 주요 정부 정책 동향 392
(3) 주요 송배전망 전력기자재 시장 동향 394
3) 영국 전력산업 시장 전망 395
3-11. 프랑스 396
1) 프랑스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96
(1) 프랑스 전력산업 동향 396
(2) 에너지 다년 계획(PPE, Programmation Pluriannulle de l’Energie)(안) 397
2) 프랑스 전력망 투자 계획 및 전략 398
(1) RTE, 전력망 개발 계획(SDDR) 398
(2) 전력 기자재 수요 및 유망 분야 399
3) 프랑스 주요 전력 기자재 수입 동향과 전망 400
(1) 수입 동향 400
(2) 프랑스 전력시장 전망 403
3-12. 이탈리아 404
1) 이탈리아 전력산업 구조와 동향 404
2) 이탈리아 전력망 구축 계획과 전략 405
3) 이탈리아 전력산업 전망 406
3-13. 스페인 407
1) 스페인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407
2) 스페인 전력망 투자 동향과 전략 407
3) 스페인 전력망 시장 전망 408
3-14. 네덜란드 410
1) 네덜란드 전력산업 시장 동향 410
2) 네덜란드 전력망 구축 동향과 전략 411
(1) 네덜란드 전력망 시장 구조 411
(2) 네덜란드 전력망 유망 프로젝트 412
3) 네덜란드 전력산업 시장 전망 413
3-15. 덴마크 414
1) 덴마크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414
2) 덴마크 전력망 시장 동향과 인프라 투자 전략 415
(1) 덴마크 전력망 시장 현황 415
(2) 덴마크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 416
3) 덴마크 유망 전력 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417
(1) 덴마크 유망 전력 기자재 시장 동향 417
(2) 덴마크 전력 기자재 시장 전망 418
3-16. 헝가리 419
1) 헝가리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419
2) 헝가리 전력망 동향과 인프라 투자 전략 419
(1) 헝가리 전력망 운영 및 시장 구조 419
(2) 전력기자재 수입 현황 및 경쟁 동향 420
(3) 헝가리 전력산업 투자 및 프로젝트 동향 421
3) 헝가리 전력 기자재 시장 전망 422
(1) 헝가리 유망 전력 기자재 동향 422
(2) 헝가리 전력 기자재 시장 전망 423
3-17. 사우디아라비아 424
1) 사우디아라비아 전력산업 시장 동향 424
(1) 사우디 전력산업 구조 424
(2) 사우디 에너지 믹스 전략 424
2) 사우디아라비아 전력망 구축 계획과 전략 425
(1) 사우디 전력망 관련 주요 정책 동향 425
(2) 재생에너지 계통연계 위한 전력망 확충 426
3)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전력기자재 시장 동향 427
4) 사우디아라비아 전력산업 시장 전망 429
(1) 사우디 전력관련 주요 프로젝트 429
(2) 사우디 전력산업 전망 430
3-18. 인도 431
1) 인도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431
2) 인도 전력망 산업 동향과 인프라 투자 전략 431
(1) 인도 전력망 산업 동향과 인프라 투자 전략 431
(2) 인도 유망 전력 기자재 시장 동향 433
3) 인도 전력·기자재 시장 전망 434
3-19. 호주 435
1) 호주 전력산업과 수급 동향 435
(1) 호주 전력 관련 주요 제도 435
(2) 호주 전력 수급 동향 436
2) 호주 전력망 시장 동향과 현대화 전략 438
(1) 호주 전력망 시장 구조 438
(2) 호주 전력 인프라 구축 주요 프로젝트 440
3) 호주 전력 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444
(1) 호주 전력 기자재 시장 동향 444
(2) 호주 전력 기자재 시장 전망 446
3-20. 이집트 447
1) 이집트 전력산업 시장 동향 447
(1) 이집트 전력 소비 현황 447
(2) 이집트 전력 공급 현황 447
2) 이집트 전력망 구축 계획과 전략 449
(1) 이집트 전력망 구축 계획 449
(2) 주요 전력망 프로젝트 현황 450
3) 이집트 전력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451
3-21. 남아프리카공화국 454
1) 남아공 전력산업 시장 동향 454
(1) 남아공 전력 수급 동향 454
2) 남아공 전력망 구축 계획과 전략 455
(1) 남아공 전력망 시장 구조 455
(2) 남아공 전력망 구축 계획 455
(3) 남아공 주요 전력기자재 수입 현황 456
3) 남아공 전력산업 시장 전망 457
3-22. 케냐 459
1) 케냐 전력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459
(1) 케냐 전력원 구조 및 현황 459
(2) 전력원별 설비 용량과 생산실적 460
(3) 전력 분야 규제(관련 법령) 및 정책 462
2) 케냐 전력망 구축 동향과 전망 463
(1) 케냐 전력망 시장 동향 463
(2) 케냐 전력 소비와 수요 시장 동향 464
(3) 케냐 전력망 투자 동향 465
3) 케냐 전력 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467
(1) 케냐 전력 기자재 수입 현황 467
(2) 케냐 전력시장 도입 유망 수요 및 기자재 469
3-23. 모잠비크 471
1) 모잠비크 전력 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471
2) 모잠비크 전력망 인프라 투자 동향과 전망 472
(1) 발전 분야 472
(2) 송배전 분야 473
3) 모잠비크 전력기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473

Ⅲ. 전력계통, 수요관리분야 기술개발 전략과 연구테마 477

1. 전력계통 분야 8대 전략과제 핵심기술 개발 전략과 로드맵(2024-2033) 477
1-1. 비증설 대안 기술 477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477
(1) 3대 전략 핵심기술 477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478
2) 3대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479
(1) [핵심기술 1] HVDC·FACTS 다수 설비 통합 운영 기술 479
(2) [핵심기술 2] 대용량 유·무효전력 흐름 제어설비 국산화 481
(3) [핵심기술 3] 송전선로 동적 열용량 감시 운영 기술 484
1-2. HVDC 487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487
(1) 2대 전략 핵심기술 487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488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489
(1) [핵심기술 1] GW급 전압형 HVDC 기술개발 및 실증 489
(2) [핵심기술 2] 멀티터미널 직류(MTDC) 보호협조 및 운영 기술개발 492
1-3. 계통 안정화 설비 497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497
(1) 8대 전략 핵심기술 497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498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500
(1) [핵심기술 1] 대용량 그리드포밍 인버터 개발 및 평가 500
(2) [핵심기술 2] 다중 그리드포밍 통합 제어 및 해석 기술 502
(3) [핵심기술 3] 계통-설비 간 공진현상 분석 및 안정화 기술 505
(4) [핵심기술 4] 동기조상기 전환 안정화 제어 기술 507
(5) [핵심기술 5] 고관성력 제공 플라이휠 고속 회전체 기술 509
(6) [핵심기술 6] 전력용 반도체 변압기 고효율 토폴로지 개발 511
(7) [핵심기술 7] 고효율·고밀도 WBG 소자 기반 모듈형 변압기 개발 514
(8) [핵심기술 8] 실 계통 운영플랫폼 구축 및 전력용 반도체 변압기 실증 516
1-4. 안정도 고도화를 위한 감시·해석 기술 518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518
(1) 4대 전략 핵심기술 518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519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520
(1) [핵심기술 1] 고해상도 감시·종합해석 요소기술 개발 520
(2) [핵심기술 2] 안정도 종합해석 시뮬레이터 개발 524
(3) [핵심기술 3] 고해상도 감시·종합해석 시스템 구축 및 적용 528
(4) [핵심기술 4] 안정도 분석 기반 자율 운영 기술개발 531
1-5. 전기안전 관리 535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535
(1) 5대 전략 핵심기술 535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537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537
(1) [핵심기술 1] AI 기반 분산·예비전력 안전 관리 통합플랫폼 개발 및 실증 537
(2) [핵심기술 2] 자가용 전기설비 디지털 전환 안전 관리 강화 기술개발 540
(3) [핵심기술 3] 수용가 저압 전기설비 재해 예방 안전 관리 기술개발 544
(4) [핵심기술 4] 분산에너지 설비 보호협조 및 안전 관리 기술개발 547
(5) [핵심기술 5] 직류배전 전기설비 안전성 평가 및 사고 예방 기술개발 550
1-6. 지능형 배전 운영 554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554
(1) 2대 전략 핵심기술 554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555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555
(1) [핵심기술 1] AI 기반 배전망 최적조류계산 기술개발 555
(2) [핵심기술 2] AI 기반 배전망 고장 감지 및 복구 기술개발 558
1-7. MVDC 562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562
(1) 2대 전략 핵심기술 562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563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563
(1) [핵심기술 1] 차세대 AC/DC Hybrid 배전 네트워크 기술개발 563
(2) [핵심기술 2] 도심·산업용 AC/DC 혼용 배전망 확산 적용 567
1-8. 유연자원 운영 571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571
(1) 4대 전략 핵심기술 571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573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573
(1) [핵심기술 1]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개발 573
(2) [핵심기술 2] 하이브리드 ESS 및 P2X 기술 실증 577
(3) [핵심기술 3] 공급-수요 혼합형 분산자원 통합 운영 기술개발 580
(4) [핵심기술 4] 에너지자립형 고신뢰 소규모 전력시스템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583

2. 수요관리 분야 4대 전략과제 핵심기술 개발 전략과 로드맵(2024-2033) 587
2-1. 에너지 AI·빅데이터 운영 587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587
(1) 2대 전략 핵심기술 587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588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589
(1) [핵심기술 1] 데이터 파이프라인 기술 및 표준화 개발 589
(2) [핵심기술 2] 데이터 정보화·활용기술개발 592
2-2. 지역단위 유연성자원 발굴·운영 597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597
(1) 3대 전략 핵심기술 597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598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599
(1) [핵심기술 1] 지역단위 VPP 운영기술개발 599
(2) [핵심기술 2] 섹터커플링 기술개발 603
(3) [핵심기술 3] 지역단위 GEB/ZEB 기술개발 607
2-3. AutoDR 도입 및 확대 612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612
(1) 2대 전략 핵심기술 612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613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614
(1) [핵심기술 1] AutoDR Aggregator 기술개발 614
(2) [핵심기술 2] AutoDR 연계 스마트 기기 기술개발 617
2-4. VGI 기술고도화 621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621
(1) 3대 전략 핵심기술 621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622
2)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623
(1) [핵심기술 1] EV-DR 연계 기술개발 623
(2) [핵심기술 2] V2X 활성화 기술개발 628
(3) [핵심기술 3] 배터리 연계 안전성 확보기술 631

3. 지능형 전력망(계통연계, 수요관리, 효율향상) 관련 기술 연구테마 634
3-1. 전력계통(송배전망, ESS) 기술 분야 연구 테마 634
1)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감시 기술 개발 634
2)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해석 고도화 기술 개발 636
3)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감시시스템 적용 기술 개발 638
4) AC/DC Hybrid 배전망 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운용 640
5) 극한환경 대응 차세대 BESS 고신뢰성 검증 및 안전기술 개발/실증 642
6) 폐지 석탄화력 활용을 위한 장주기 카르노 배터리 기술개발 646
3-2. 에너지 수요관리 기반 기술 분야 연구 테마 650
1) 차세대 전기형 공동주택 제로에너지화 기술 개발 및 실증 650
2) 실시간 전력시장 대응 온디바이스 AI 기반 상시제어장치 및 집합 수요자원화 기술
개발 및 실증 652
3) 효율관리제도 연계 전기차 충전기 대기전력 관리와 디지털 유지보수 기술 개발 및
통합 플랫폼 기반 실증 655
4) 수요맞춤형 물관리 시설 수요자원화 기술개발 및 실증 657
5) 전기 기반 제조설비의 능동형 수요반응 기술 개발 및 전력망 연동 실증 659
3-3. 에너지 수요관리 효율 혁신 기술 분야 연구 테마 661
1) 반도체 공정 질소 가변 공급 진공시스템 통합 기술개발 661
2) 웨이퍼 가열공정 고효율 전기화 기술개발 및 실증 663
3) 초저습 드라이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실증 665
4) 탄소중립 건물용 초고효율 냉난방/급탕 히트펌프 기술 개발 668
5) 분산형 차세대 집단냉난방시스템 효율향상 기술 개발 및 실증 670
6) 산업용 고청정 설비 초고효율화 기술개발 및 실증 673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