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3305065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4-07-25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펴내며 004
제1장 서론 008
제1절 연구의 의의와 목적 008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011
제2장 기장 선교 신학의 수립과 그 역사적 배경 013
제1절 기장 출발의 역사적 의의 013
제2절 6, 70년대의 한국 사회와 시대상 024
1. 불균형의 경제 성장과 양극화 현상 026
2. 과잉 도시화와 이농(離農) 현상 030
3. 불안정한 정치 상황 033
제3절 한국교회 상황과 기장 교단의 선교적 진로 035
제3장 Missio Dei 신학과 기장의 4대문서 043
제1절 “Missio Dei” 신학의 배경과 그 특성 045
1. “Missio Dei” 신학의 배경과 그 동향 045
2. “Missio Dei” 신학과 그 특성 062
제2절 기장의 4대문서에 나타난 선교신학 079
1. 교육정책 지침서 080
2. 사회선언 지침서 086
3. 신앙고백 선언서 091
4. 선교 정책 106
제4장 선교론에 대한 성서적 근거 112
제1절 선교의 구약성서적 근거 114
1. 구약에 나타난 선교 개념의 기초 114
2. 예언서에 나타난 구원의 약속과 선교 121
3. 요나서에 나타난 선교의 의미 126
제2절 선교의 신약 성서적 근거 129
1. 사복음서에 나타난 선교 130
2. 사도행전에 나타난 선교 144
3. 서신서에 나타난 선교 157
제5장 요약과 결론 168
제1절 요약 168
제2절 반성과 비판 176
1. 선교적 성향의 반성과 비판 176
2. “Missio Dei” 신학의 한계와 그 비판 181
제3절 결론: “Missio Dei”와 “Missiones ecclesiarum”의 … 이해 184
제언 191
참고문헌 192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기독교장로회는 1973년도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한 《선교 정책》 제2장 2항 〈선교의 정의와 신학〉에서 “교회가 선교에 의하여 존재함은 불이 붙으므로 존재함과 같이 우리 교단(기장)이 이 땅에 존재해야 할 이유는 다만 선교 때문”이라고 전재하면서 “한국 백성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알려 예수로 말미암아 새사람이 되고 하느님의 백성이 된 자의식에서 이 나라를 하느님의 나라로 만드는 일”, 이것이 곧 선교라고 정의한다.
“선교는 인간 영혼과 역사와 문화의 심장부에 그리스도의 복음이 꽂히게 함이다. 따라서 선교의 신학은 창조주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 임을 밝히고, 인간과 세계를 향한 그의 구속 의지를 올바르게 전달하고, 그가 만물을 새롭게 하고(계 21:5) 만물이 그에게서 나오고 그로 말미암아 그에게 돌아가는(롬 11:36) 일을 위하여, 봉사하는 학문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우리의 선교는 인간과 세계 속에 이미 일하시는 하느님의 선교를 우리의 교회가 바르게 이해하고 어떤 장애와 고난 속에서도 그의 전적인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라고 요약한다.
1960년대 이후 W.C.C.(세계교회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선교신학과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선교신학의 주된 선교 개념을 지적한다면 ‘Missio Dei’ 신학이라고 단적으로 말할 수 있다.
특별히 에큐메니컬한 국제 사회에서 〈하느님의 선교〉라는 말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52년 빌링겐(Willingen) 세계선교협의회(I.M.C) 대회 때부터였으며 이 선교 개념을 좀 더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신학화한 사람은 휘체돔(G. Vicedom)이었다.
기장의 4대문서는 여러 가지 상황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기장의 종합적인 선교신학과 정책의 골격을 살피는 데에 가장 핵심적인 자료가 된다. 따라서 우리는 기장의 이 핵심적인 선교 신학과 정책을 담은 4대문서 속에서 “Missio Dei” 신학이 깊이 수용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