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퀀트투자 처음공부

퀀트투자 처음공부

홍용찬 (지은이)
이레미디어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980원
17,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8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퀀트투자 처음공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퀀트투자 처음공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9339443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7-05

책 소개

《실전 퀀트투자》를 쓴 홍용찬 저자의 신작으로, 막 퀀트투자를 시작했거나 시작하려는 독자들을 위해 쓴 책이다. 퀀트투자는 주관적 판단을 배제한다는 측면에서 효용성이 높은 전략이지만, 그럼에도 누구나 시행착오를 겪을 수밖에 없다. 이 책은 가급적 초보 투자자들이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목차

| 추천사 | 퀀트투자의 관점을 만드는 표본 같은 책 004
| 들어가는 글 | 시행착오 없는 퀀트투자를 위한 길잡이 008
|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 012

[CHAPTER 1] 퀀트투자 이해하기

01 퀀트투자란 무엇인가
① 퀀트투자, 어렵지 않아요
② 퀀트투자와 백테스트
③ 퀀트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④ 퀀트투자에서 경계해야 할 것들
<한걸음더레벨UP> 책을 이해하기 위한 용어와 개념

02 백테스트 툴의 사용
① 스스로 백테스트를 한다는 의미
② 백테스트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 확인사항

[CHAPTER 2] 시장을 이길 수 있는 방법

03 시가총액가중 방식 vs. 동일가중 방식
① 시가총액가중 방식의 이해
② 동일가중 방식의 수익률
③ 전략의 유용성 판단에 필요한 동일가중 수익률

04 흑자종목만 골라서 투자한다면
① 당기순이익 흑자와 적자
② 영업이익 흑자와 적자
③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의 4가지 유형

05 가장 좋은 현금흐름표의 모습
① 현금흐름표 이해하기
② 현금흐름표 8개 유형의 백테스트

06 마음 편한 배당주 투자
① 고배당주 투자의 장점
② 고배당주 투자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
③ 전년도 배당 유무에 따른 백테스트
④ 배당수익률 백테스트

07 영업이익률이 높은 종목이 수익률도 높을까
① 영업이익률 이해하기
② 영업이익률 백테스트
<한걸음더레벨UP> 무작위 시뮬레이션① 집중투자 vs. 분산투자

[CHAPTER 3] 초과수익 지속성 분석을 위한 사전지식

08 초과수익은 영원히 지속될까
① 퀀트투자자와 초과수익에 대한 믿음
② 인기 없는 초과수익 감소론
③ 우리가 살펴볼 팩터에 대해서

09 적합한 벤치마크 설정하기
① 초과수익과 벤치마크
② 올바른 벤치마크 설정하기

10 초과수익 판단에 유용한 그래프
① KOSPI 지수의 롤링 수익률 그래프
② KOSPI 지수의 5년 롤링 수익률 그래프
③ 롤링 수익률 그래프의 활용

[CHAPTER 4] 초과수익의 지속 여부 확인하기

11 가치지표의 초과수익은 어떻게 흘러왔는가
① 밸류 팩터의 이해
② PER 지표의 초과수익 검증
③ PBR 지표의 초과수익 검증
④ PSR 지표의 초과수익 검증
⑤ PCR 지표의 초과수익 검증
⑥ 가치혼합 지표의 초과수익 검증
⑦ 밸류 팩터의 희망을 찾는다면
<한걸음더레벨UP> 실습① 백테스트와 롤링 수익률 그래프 만들기

12 저변동성 투자의 초과수익은 어떻게 흘러왔는가
① 저변동성 팩터에 대한 이해
② 저변동성 팩터의 초과수익 검증
③ 롱숏 전략의 유용성은 충분하다

13 모멘텀 투자의 초과수익은 어떻게 흘러왔는가
① 상대 모멘텀 효과의 이해
② 상대 모멘텀 전략의 초과수익 검증
③ 미국 시장 상대 모멘텀 효과 살펴보기

14 소형주 투자의 초과수익은 어떻게 흘러왔는가
① 소형주 효과의 이해
② 소형주 효과를 바라보는 3가지 관점
③ 사이즈 팩터의 초과수익 검증
④ 미국 시장의 소형주 효과 살펴보기
⑤ 미국에서 소형주 효과가 사라진 과정

15 초과수익의 지속성에 대한 생각
① 초과수익 지속 여부에 대한 논쟁
② 초과수익 지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고려 사항
<한걸음더레벨UP> 퀀트 투자에 인내심만 있으면 될까

[CHAPTER 5] 과적합을 피하기 위한 아웃 오브 샘플 테스트

16 단순한 백테스트는 그만! 아웃 오브 샘플 테스트
① 전략 검증하기와 전략 만들기의 차이
② 아웃 오브 샘플 테스트 알아보기
<한걸음더레벨UP> 무작위 시뮬레이션② 투자에서 운은 얼마나 작용할까

17 기술적 분석 전략의 아웃 오브 샘플 테스트
① 기술적 분석 전략과 과적합
② KOSPI 지수 투자에 가장 좋았던 이동평균선 크로스 전략은?
③ 2013년 영희가 이동평균선 크로스 전략으로 투자를 시작하다
④ 2001년 철수가 이동평균선 크로스 전략으로 투자를 시작하다
⑤ 워크포워드 테스트의 이해
⑥ 홀드아웃 테스트와 워크포워드 테스트 비교
⑦ 앵커드 워크포워드와 롤링 워크포워드

18 재무 전략의 아웃 오브 샘플 테스트
① 재무 퀀트 전략에도 과적합 문제가 있을까
② 2016년 6월 말 영희가 퀀트투자를 시작하다
③ 영희의 수익률이 과거 백테스트 결과에 못 미치는 이유
④ 2012년 6월 말 철수가 퀀트투자를 시작하다
⑤ 철수의 10년 6개월 동안의 계좌 모습
⑥ 과적합에 대한 분석
<한걸음더레벨UP> 실습② 홀드아웃 테스트하는 법

19 효과적인 접근과 고려 사항
① 전체 데이터에서 30%를 떼어놓고 전략을 만들자
② 항상 아웃 오브 샘플 테스트를 해야 할까
③ 아웃 오브 샘플 테스트를 할 때 주의사항
④ 많은 양의 백테스트를 대하는 올바른 자세

| 나오는 글 | 신뢰성 있는 퀀트전략으로 높은 수익을 얻기를

저자소개

홍용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2006년부터 증권회사에서 근무해온 베테랑 증권맨이다. 자신의 주관적 판단 능력에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2013년부터 주관적 요소를 배제한 퀀트투자 방식을 도입하여 과거보다 높은 수익을 달성했다. 퀀트투자의 예찬론자로서, 퀀트투자가 점차 대중화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많은 투자자가 이 방법으로 시행착오를 겪는 것을 목격했다. 이에 그는 보다 효율적이고 실수를 줄일 수 있는 전략 개발 방법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올바른 전략을 통해 우수한 투자 성과를 이룰 수 있다고 믿는다. 그는 투자자들이 시장에 나도는 전략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전에 그 전략들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과도한 최적화 방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올바른 퀀트투자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현재 유안타증권에서 근무하며, 랩상품을 통해 퀀트 방식으로 고객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저서로는 《실전 퀀트투자》, 《퀀트투자 처음공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퀀트투자자의 입장에서 봤을 때 수년 사이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백테스트 소프트웨어의 발전입니다. 2013년 제가 퀀트투자를 시작할 당시에는 백테스트 소프트웨어가 이렇게 빠르게 대중화되리라고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백테스트는 신뢰도가 높은 로우 데이터(Raw Data)를 가지고 있고, 엑셀을 잘 다루거나 파이썬 등의 코딩을 쉽게 다룰 수 있는 사람들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백테스트 소프트웨어를 통해 간단한 전략 정도는 누구나 쉽게 백테스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백테스트의 용이성 증가로 많은 투자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백테스트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투자 전략의 유용성을 백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좋은 백테스트 활용 방법입니다. 그러나 백테스트를 통해 투자 전략을 개발할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백테스트상 우수한 수익률이 나오는 전략을 찾기 위해 조건을 변경하며 수백, 수천 번의 백테스트를 반복하다 보면, 당연히 원하는 결과를 손에 넣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전략을 실전에서 활용할 경우 백테스트의 성과와 크게 차이가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적합(Overfitting) 때문입니다.


오늘날 많은 퀀트투자자가 각자의 방법으로 종목을 선정하여 동일가중으로 투자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략의 유용성을 판단할 때는 시가총액가중 방식인 KOSPI 지수나 KOSDAQ 지수의 수익률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는 동일가중으로 투자하는 전략의 유용성을 평가할 때는 전 종목 동일가중 수익률과 비교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입니다. 그러나 전 종목 동일가중 수익률을 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정입니다. 이를 고려할 때 데이터를 쉽게 얻을 수 있는 KOSPI 지수나 KOSDAQ 지수의 수익률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가능하다면 전 종목 동일가중 수익률을 확보하여 이를 기반으로 전략의 유용성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394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