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아동 문학론 > 평론
· ISBN : 9791193400098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23-1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05
제1부 같은 소재, 다른 빛깔의 동시 깊게 읽기
동시문학에서 사회적 발언은 가능한가∙13
동시는 향기를 어떻게 저장할까∙32
동시문학에서의 죽음과 슬픔의 표현방식∙47
‘담쟁이’ 동시와 스토리텔링 기법∙64
‘달팽이’를 사랑하는 시인들∙76
현대의 아버지상을 찾아서∙93
제2부 한국 동시 백 년의 흐름 톺아 보기
1920년대 동시문학에서 타고르 시의 수용∙117
한국 동시 백 년의 생의식 변화 고찰∙137
AI(인공지능) 시대와 동시문학∙158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동시문학∙179
제3부 현대 동시문학의 깊이와 변화
윤동주 동시의 해학적 특성∙197
초정 김상옥 동시 속 이야기 읽기∙212
박경용 동시문학의 미학 탐구∙227
신현득 동시문학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기법∙254
키워드로 본 노원호 동시문학의 변화 양상∙279
동요 ‘예솔아’를 품은 김원석의 동시문학∙297
이준관 동시문학에 나타난 골목길의 공간적 특성∙313
김영기의 동시문학에 나타난 제주 사랑법∙337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반적으로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회적인 현상에 대하여 일정한 관심, 개인적인 생각과 의견을 가진다. 즉 사람은 현실인식과 역사인식을 가지고 판단하고, 사고하고, 행동한다. 현실인식이란 개인이 살고 있는 당대의 객관적인 현실에 대한 주관적인 접근 태도를 말하는데 이것은 개인적인 삶에서 중대한 지표가 될 수밖에 없다.
향기에 관한 동시를 읽으면 시인이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간에 프루스트 현상처럼 기억 속에 간직된 작품 속의 향기가 코끝을 타고 올라온다. 장미향, 아카시아꽃 향, 라일락꽃 향 등 꽃향기이나 귤 향, 더덕 향기, 아이스크림 향, 비누 향, 샴푸 향 등 열매와 제품의 향기가 나는 작품들이 있다.
동시문학에서는 이야기나 동화적인 요소를 지닌 동시 즉 동화시나 이야기 동시가 스토리텔링 기법이 적용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동시문학에서의 스토리텔링 기법은 일정한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스토리, 사건)의 힘을 활용해 주제(=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법이다. 바꿔 말하면 이야기 만들기, 사건 만들어 시상 전개하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