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취업/상식/적성 > 공사 공단 수험서 > 기타
· ISBN : 9791193666272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5-02-03
책 소개
목차
PART 01 행정학 총론
CHAPTER 1. 행정의 본질 08
Sector 1 행정개념에 관한 학설 08
Sector 2 정부관:정부의 범위에 대한 견해 09
Sector 3 정부규제:시장실패가 정당화 근거 11
Sector 4 행정지도 14
CHAPTER 2. 행정과 환경 15
Sector 1 행정과 정치 15
Sector 2 행정과 경영 16
Sector 3 행정과 경제 17
Sector 4 행정과 시민사회(NGO) 19
Sector 5 행정문화 21
CHAPTER 3. 행정가치 22
Sector 1 의의 22
Sector 2 본질적 가치 23
Sector 3 수단적 가치 25
CHAPTER 4. 행정학의 주요 이론(접근방법) 30
Sector 1 과학적 관리론 30
Sector 2 인간관계론 30
Sector 3 행태론적 접근방법 32
Sector 4 생태론적 접근방법 33
Sector 5 체제론적 접근방법 34
Sector 6 비교행정론 35
Sector 7 현상학적 접근방법 35
Sector 8 포스트모더니티 이론 36
Sector 9 발전행정론 37
Sector 10 후기행태주의:신행정론 37
Sector 11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 38
Sector 12 신제도주의 39
Sector 13 신공공관리론(탈정치화) 42
Sector 14 탈신공공관리론 44
Sector 15 뉴거버넌스(재정치화) 44
Sector 16 신공공서비스론(New Public Service) 46
Sector 17 딜레마 이론 47
Sector 18 시차이론 48
PART 02 정책학
CHAPTER 1. 정책학의 기초 이론 50
Sector 1 정책학의 의의와 유형 50
Sector 2 정책과정 참여자 54
CHAPTER 2. 정책의제설정 59
Sector 1 의의 59
Sector 2 정책의제 설정 과정(Cobb & Elder) 59
Sector 3 주도집단에 따른 정책의제 설정 과정(Cobb & Ross and Ross) 59
Sector 4 정책의제설정이론 60
Sector 5 정책의제설정을 좌우하는 요인 62
CHAPTER 3. 정책분석 63
Sector 1 정책분석의 의의 63
Sector 2 정책문제 인지⋅분석⋅정의, 정책목표 설정 63
Sector 3 정책대안의 탐색, 개발 및 결과 예측 64
Sector 4 정책대안의 비교⋅평가 기준 67
CHAPTER 4. 정책결정 71
Sector 1 정책결정의 의의 71
Sector 2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71
CHAPTER 5. 정책집행 80
Sector 1 정책집행의 의의 80
Sector 2 Nakamura & Smallwood의 결정자와 집행자 간 관계 80
Sector 3 정책집행의 접근 방법 81
Sector 4 립스키(Lipsky) 일선관료제 83
CHAPTER 6. 정책평가 84
Sector 1 정책평가의 절차와 유형 84
Sector 2 정책평가의 논리 86
Sector 3 정책평가의 방법 89
CHAPTER 7. 정책변동 91
CHAPTER 8. 기획 93
PART 03 조직론
CHAPTER 1. 조직일반론 96
Sector 1 조직의 유형 96
Sector 2 조직이론의 전개과정:Waldo 97
CHAPTER 2. 조직의 목표관리 100
Sector 1 조직의 효과성 평가모형 100
Sector 2 목표관리(MBO) 100
Sector 3 총체적 품질관리(TQM) 101
Sector 4 균형성과표(BSC) 102
CHAPTER 3. 조직구조론 104
Sector 1 조직구조의 의의 104
Sector 2 조직구조설계 105
Sector 3 조직구조의 기본 변수 106
Sector 4 조직구조의 상황 변수 107
Sector 5 조직구조의 설계모형 109
Sector 6 조직구조의 형태 112
CHAPTER 4. 조직행태론 121
Sector 1 동기부여 121
Sector 2 리더십 126
Sector 3 권력 128
Sector 4 의사전달 129
Sector 5 갈등관리론 130
CHAPTER 5. 조직과 환경 132
Sector 1 Emery와 Trist의 조직환경 분류 132
Sector 2 환경결정론적 관점 132
Sector 3 임의론적 관점 134
CHAPTER 6. 조직발전 등 135
CHAPTER 7.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조직 136
PART 04 인사행정
CHAPTER 1.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140
Sector 1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140
Sector 2 인사행정 담당기관 144
CHAPTER 2. 공직구조의 형성 145
Sector 1 공직구조 형성의 원칙 145
Sector 2 직위 분류의 방법 146
CHAPTER 3. 임용 152
Sector 1 외부임용(신규채용) 152
Sector 2 한국 공무원의 구분 154
Sector 3 내부임용 155
Sector 4 유연근무제도 158
CHAPTER 4. 능력발전 159
Sector 1 경력개발 159
Sector 2 교육훈련 159
Sector 3 공무원 평정제도 160
CHAPTER 5. 동기부여 163
CHAPTER 6. 평가⋅환류∶규범과 통제 166
PART 05 재무행정론
CHAPTER 1. 예산의 본질 172
Sector 1 예산의 의의 172
Sector 2 재정과 법률 173
CHAPTER 2. 예산의 원칙 175
CHAPTER 3. 예산의 종류 177
Sector 1 세입⋅세출의 성질에 따른 유형 177
Sector 2 기금 177
Sector 3 예산의 성립 시기별 분류 178
Sector 4 예산 불성립시 예산집행 장치 179
Sector 5 재정정책을 위한 예산제도 180
CHAPTER 4. 예산결정이론 184
CHAPTER 5. 예산과정 186
Sector 1 예산 편성 186
Sector 2 예산 심의 187
Sector 3 예산 집행 188
Sector 4 결산 190
Sector 5 회계검사 191
Sector 6 전통적인 예산제도 개혁 193
CHAPTER 6. 재정혁신과 시민 참여 199
PART 06 공공서비스
CHAPTER 1. 공공서비스의 유형 204
CHAPTER 2. 공공서비스의 공급 방식 206
Sector 1 Savas의 공공서비스공급유형 206
Sector 2 정부에 의한 서비스 공급 방식 206
Sector 3 민간에 의한 서비스 공급 207
Sector 4 사회적 기업 208
CHAPTER 3. 공공재의 과소공급설과 과다공급설 209
PART 07 행정윤리와 행정통제
CHAPTER 1. 행정윤리 212
Sector 1 행정윤리 212
Sector 2 행정권의 오용 218
Sector 3 부패의 접근방법과 유형 218
CHAPTER 2. 행정통제 220
CHAPTER 3. 행정책임 224
CHAPTER 4. 행정개혁 225
PART 08 전자정부론
CHAPTER 1. 전자정부 230
CHAPTER 2. 정보행정과 정보행정 서비스 232
PART 09 지방자치론
CHAPTER 1. 지방자치의 기초 236
Sector 1 지방행정의 의의 236
Sector 2 지방자치의 의의 236
CHAPTER 2. 지방자치단체의 구조와 구역 239
Sector 1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239
Sector 2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240
Sector 3 지방자치단체 구역 개편 241
CHAPTER 3.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와 통제 242
CHAPTER 4.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사무 248
Sector 1 지방자치단체의 기능 248
Sector 2 지방사무 249
Sector 3 기능(사무)배분 250
CHAPTER 5.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251
Sector 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251
Sector 2 지방의회(의결기관) 252
Sector 3 집행기관 252
CHAPTER 6. 중앙과 지방정부 간 관계 255
CHAPTER 7.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 258
Sector 1 지방재정의 의의 258
Sector 2 지방세(자주재원) 259
Sector 3 세외수입(자주재원) 260
Sector 4 지방채 261
Sector 5 지방재정조정제도(의존재원) 262
Sector 6 지방재정관리 264
Sector 7 지방공기업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