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9119398535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_홍윤표(전 연세대학교 교수)
머리말
제1장 서론
1. 한자의 기원
2. 한자의 형태
3. 한자의 어음
4. 한자의 의미
5. 한자의 수량
6. 한자의 우점과 결점 및 전도
7. ≪훈몽자회(訓蒙字會)≫ 한자음 연구
제2장 ≪훈몽자회≫ 성모의 내원
1. 순음
2. 설두음
3. 설상음
4. 치두음
5. 정치음
6. 아음
7. 후음
8. 반설음
9. 반치음
제3장 ≪훈몽자회≫ 운모의 내원
1. 果攝
2. 假攝
3. 遇攝
4. 蟹攝
5. 止攝
6. 效攝
7. 流攝
8. 咸攝
9. 深攝
10. 山攝
11. 臻攝
12. 宕攝
13. 江攝
14. 曾攝
15. 梗攝
16. 通攝
제4장 ≪훈몽자회≫ 한자음 내원 분석에서 제기되는 문제
1. ≪훈몽자회≫ 한자음의 특성
2. ≪훈몽자회≫ 성모의 내원
3. ≪훈몽자회≫ 한자음 성모 체계
4. ≪훈몽자회≫ 운모의 내원
5. ≪광운≫ 운모와 ≪훈몽자회≫ 운모의 대응 여부에 따른 분류
6. 순음 성모 뒤 개음의 탈락
7. 아후음 성모 뒤 개음 [i]의 탈락
8. ≪훈몽자회≫ 운모가 지칭하는 ≪광운≫ 운모
9. ≪훈민정음≫의 자모 ‘·(아래아)’가 한국어 어음이 아니다
10. 조계 계열 성모 뒤의 ᅠ개음 [i]의 탈락 여부에 따른 한자 발음의 차이
11. ≪훈몽자회≫ 한자음 운모 체계
12. 16세기 한국어 모음 체계
제5장 결론
1. 한자음 연구의 필요성
2. 한자와의 접촉과 한자음의 형성
3. 한사군(漢四郡) 시기의 한자음
4. 삼국 시기와 고려 시기의 한자음
5. 이조 시기의 한자음
6. 당대의 한자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