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67423665
· 쪽수 : 720쪽
· 출판일 : 2022-09-20
책 소개
목차
제1장 『한청문감』 소개
一. 『한청문감』 체제
二. 『한청문감』 판본
三. 『한청문감』 단어 수량
四. 『한청문감』 한자 수량
五. 『한청문감』 표음방법
六. 『한청문감』 실수
七. 『한청문감』 연구 개황
제2장 근대중국어 어음 연구
一. 견정(见精) 두 계열 성모의 구개음화와 첨단음(尖团音)의 특징
二. 근대중국어 제로성모 음절의 분화
三. 근대중국어 운모 “o[o]”의 분화
四. 현대중국어 운모 “ü”[y]의 형성
五. 근대중국어 모음 [a], [ə]의 앞 모음화
六. 근대중국어 운모 “uo”[uo]의 내원
七. 현대중국어 운모 “ou”[ou], “iou”[iou]의 내원
八. 근대중국어 운모 [iən]이 현대중국어 운모 [in]으로의 변화
九. 근대중국어 운모 [uŋ]이 [əŋ]으로의 변화
十. 근대중국어 운모 “제미(齐微)”의 음가와 변화
十一. 근대중국어 운모 “진문(真文)”의 음가와 변화
十二. 근대중국어 모음 [u]의 변화
十三. 『한청문감(汉清文鉴)』 중국어 운모 [io]의 내원과 변화
十四. “『한청문감(汉清文鑑)』 범례 고찰”을 논함
제3장 『한청문감』 성모
제1절 『광운』, 『한청문감』, 현대중국어 성모의 대비
一. 순음(唇音) 대비
二. 설음(舌音) 대비
三. 치음(齿音) 대비
四. 아음(牙音) 대비
五. 후음(喉音) 대비
六. 반설음(半舌音) 대비
七. 반치음(半齿音) 대비
제2절 『한청문감』 중국어 성모의 내원
一. 순음 [p], [p‘], [m], [f]의 내원
二. 설음 [t], [t‘], [n], [l]의 내원
三. 치두음 [ts], [ts‘], [s]의 내원
四. 정치음 [tʂ], [tʂ‘], [ʂ], [ʐ]의 내원
五. 설면음 [tɕ], [tɕ‘], [ɕ]의 내원
六. 아후음 [k], [k‘], [x]의 내원
七. 반모음 [w], [j]의 내원
八. 제로성모 [ø]의 내원
제4장 『한청문감』 운모
제1절 『광운』, 『한청문감』, 현대중국어 운모의 대비
一. 과섭(果摄) 운모의 대비
二. 가섭(假摄) 운모의 대비
三. 우섭(遇摄) 운모의 대비
四. 해섭(蟹摄) 운모의 대비
五. 지섭(止攝) 운모의 대비
六. 효섭(效攝) 운모의 대비
七. 류섭(流攝) 운모의 대비
八. 함섭(咸攝) 운모의 대비
九. 심섭(深摄) 운모의 대비
十. 산섭(山摄) 운모의 대비
十一. 진섭(臻摄) 운모의 대비
十二. 탕섭(宕摄) 운모의 대비
十三. 강섭(江摄) 운모의 대비
十四. 증섭(曾摄) 운모의 대비
十五. 경섭(梗摄) 운모의 대비
十六. 통섭(通摄) 운모의 대비
제2절 『한청문감』 중국어 운모의 내원
一. [a]계열 운모 [a], [ai], [an], [aŋ], [ao]의 내원
二. [ə]계열 운모 [ə], [ɚ], [əi], [ən], [əŋ], [əu]의 내원
三. [i]계열 운모 [i], [ɿ], [ʅ], [ia], [iai], [ian], [iaŋ], [iao], [iə], [iəi], [iən], [in], [iŋ], [io]의 내원
四. [iu]계열 운모 [iu], [iuan], [iuəi], [iui], [iun], [iuŋ]의 내원
五. [o][u]계열 운모 [o], [u], [ua], [uai], [uan], [uaŋ], [uə], [uəi], [uən], [ui], [un], [uŋ]의 내원
제5장 『한청문감』의 음절
一. 아음(牙音) 음절자
二. 설음(舌音) 음절자
三. 순음(唇音) 음절자
四. 치음(齿音) 음절자
五. 설면음(舌面音) 음절자
六. 후음(喉音) [x] 음절자
七. 반모음(半元音) [w] 음절자
八. 반모음(半元音) [j] 음절자
九. 제로성모(零声母) [ø] 음절자
제6장 현대중국어 어음 내원
제1절 현대중국어 성모 내원
一. 순음 [p], [p‘], [m], [f]의 내원
二. 설음 [t], [t‘], [n], [l]의 내원
三. 치두음 [ts], [ts‘], [s]의 내원
四. 정치음 [tʂ], [tʂ‘], [ʂ], [ʐ]의 내원
五. 설면음 [tɕ], [tɕ‘], [ɕ]의 내원
六. 아후음 [k], [k‘], [x]의 내원
七. 반모음 [w], [j]의 내원
八. 제로성모 [ø]의 내원
제2절 현대중국어 운모 내원
一. [a]계열 운모 [a], [ai], [an], [aŋ], [ao]의 내원
二. [ə]계열 운모 [ə], [ei], [ən], [əŋ], [ɚ]의 내원
三. [i]계열 운모 [i], [ɿ], [ʅ], [ia], [iæn], [iaŋ], [iau], [ie], [in], [iŋ], [iuŋ], [iou]의 내원
四. [o][u]계열 운모 [o], [uŋ], [ou], [u], [ua], [uai], [uan], [uaŋ], [uei], [uən], [uo]의 내원
五. [y]계열 운모 [y], [yɛn], [ye], [yn]의 내원
제7장 『한청문감』 한자의 중국어 독음자료 휘집
一. 범례
二.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