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외 기업/경영자
· ISBN : 9791194278030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4-11-04
책 소개
목차
서문 열정의 제국을 설계하다
역자 서문 기업가 테일러 스위프트를 한국에 소개하며
1. 제국의 인큐베이터 : 잠재력을 발견하고 올인하다
스위프트 비즈니스 모델의 시작︱잠재력 발굴과 초기 팬덤 구축
역자 노트 : 스위프트의 자기 투자
2. 브랜드 정체성 : 하나의 진정성으로 천의 얼굴을 만들다
전략적 포지셔닝과 정서적 저장고︱진화하는 정체성︱
새로운 이정표 : 「디 에라스 투어」
역자 노트 : 다층적 경험 설계와 대화를 통한 브랜드 관리 전략
3. 초기 타깃: 컨트리 음악을 공략하다
특정한 고객을 겨냥한 창의적 비전︱하이엔드에서 대중 시장으로︱
고객 중심 비즈니스︱실시간 대중 테스트
역자 노트 : 컨트리 공략과 팝으로의 전략적 확장
4. 스토리텔링 : 진정한 유대의 비밀
보편성과 진심 전략︱서정적 스토리텔링과 가치 제안
역자 노트 : 타고난 스토리텔러
5. 팬 인게이지먼트 : 스위프티 생태계를 구축하다
정서적 투자와 주주로서의 소속감︱전략 자산과 브랜드 회복력
역자 노트 : 스위프트의 팬 참여 전략 - 놀람, 기대, 참여, 비밀
6. 디지털 전략 : 스스로 미디어가 되다
대화-서사-캠페인의 공간, 소셜 미디어︱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신뢰 구축
역자 노트 : 최초의 디지털 네이티브 뮤지션
7. 파트너십 : 파트너를 통해 서사를 확장하다
전략적 파트너십과 시장 개척︱서사를 스토리텔링하는 스폰서십
역자 노트 : 향수와 콘텐츠를 통한 서사 확장
8. 지적 재산권 : 아티스트의 권리를 위해 일어서다
플랫폼 시장과 창작의 가치︱재녹음과 전략적 재창조 모델
역자 노트 : 노동의 가치를 이해한 아티스트
9. 위기 관리 : 부정적 내러티브까지 장악하다
위기를 돌파하는 자기 주도적 서사︱홍보 천재의 리브랜딩︱
일관성과 진정성
역자 노트 : 1달러 소송
10. 재창조의 연속 : 옛 스위프트는 죽었다
생존을 위한 재창조︱혁신의 알고리즘
역자 노트 : 재창조 메커니즘의 시작
11. 글로벌 전략 : 나의 이야기를 모두의 이야기로 만들다
보편성과 글로벌 팬덤의 힘
역자 노트 : 글로벌 확장 전략의 정수 「디 에라스 투어」
12. 수익 모델 : 팬 경험을 설계하다
스토리텔링 캔버스로서의 상품 기획︱팬을 소비자로 전환하는 신뢰의 힘
역자 노트 : 앨범 굿즈와 팝업 스토어로 구현된 스토리텔링
13. 장기 비전 : 미래 유산을 쌓아 나가다
지속적인 영향력과 미래 비전
14. 팀 스위프트 : 비전과 동료애로 더 큰 무대를 만들다
공동의 꿈과 헌신︱파트너십과 관계 맺기
역자 노트 : 스위프트의 ‘내 마음의 이사회’
15. 투어 비즈니스 : 스위프트노믹스를 일으키다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쇼︱예술성과 상업성의 외줄타기
16. 새로운 시대의 서막 : The Tortured Poets Department
- 한국어 특별판
맺음말 취약성으로 만들어지는 강력한 공감의 커뮤니티
감사의 말
역자 참고 자료
테일러 스위프트 연보
리뷰
책속에서
첫 앨범이 놀라운 이유는 크게 성공을 거두었다는 점뿐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진정성authenticity’ 때문이다. 스위프트는 초창기부터 자신의 정체성을 지켰으며, 대부분의 노래는 팬들을 위해 직접 작사, 작곡했다. 앨범 수록곡들은 스위프트라는 기업의 자본이자 후속 앨범이 나올 때마다 가치가 올라가는 자산이었다.
[제국의 인큐베이터 : 잠재력을 발견하고 올인하다]
스위프트는 음악 시장에서 흔한 팝이나 컨트리 음악의 진부한 틀에서 벗어나, 독보적이고 독립적인 섬으로 존재한다. 그는 강력한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사를 수용하는 형태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하고 있다. 스위프트는 단일 장르나 특정 이미지에 국한하지 않고 다층적 정체성multifaced identity을 진화시켜 왔다. 여러 캐릭터와 서사를 자신의 앨범과 공연, 그리고 공개적 이미지에 반영하며, 다양한 팬층과 다양한 해석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왔다. 이를 통해 스위프트는 평범한 팝 스타들과 달리 풍부한 경험과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아티스트로 차별화되었다.
[브랜드 정체성 : 하나의 진정성으로 천의 얼굴을 만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