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연치유를 위한 현상체질

자연치유를 위한 현상체질

박태은 (지은이)
늘푸른나무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8개 8,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000원 -10% 650원 11,050원 >

책 이미지

자연치유를 위한 현상체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연치유를 위한 현상체질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대체의학
· ISBN : 9791195033607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13-08-30

책 소개

본서에서는 만물과 인체와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설명하고 있는 현상체질론(TCP The Theory of Constitution based on Phenomenon)에 근거하여, 현상체질에 대한 판단의 기준과 이에 따른 식품의 분류방법을 소개하였다.

목차

제1편 현상체질 11
1장 생성의 법칙 기(氣)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현상(現象)
14
1. 음양의 원리 18
1) 자연의 음양 19
2) 인체의 음양 20
2.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21
1) 음양균형의 법칙 23
2) 자연의 음양오행 24
3) 인체의 음양오행 지축에 따른 심장의 기울기
26
2장 태소음양(太少陰陽)과 사상(四象) 30
1. 계절과 사상(四象) 32
2. 태소음양의 특징 36
1) 색의 특징 36
2) 맛의 특징 37
3) 온도의 특징 37
4) 운동의 특징 38
5) 신기혈정(神氣血精) 38
3. 체질의 구분 사상체질론과 팔상체질론
41
1) 서양의 체질구분 48
2) 동양의 체질구분 50
3장 현상체질 55
1. 현상체질론의 필요성 55
2. 관념체질론과 현상체질론 60
1) 장부(臟腑) 60
2) 성정(性情) 62
3. 현상체질의 구분 64
1) 장부(臟腑)의 구분 67
2) 감각기관의 구분 반신욕
68
4. 현상체질의 실효성 72
제2편 현상본초 77
1장 현상본초의 중요성 79
1. 본초학 80
2. 현상본초 이질교류의 법칙과 동질교착의 법칙
82
2장 동물의 현상본초 체질(고유기운)에 대한 분류의 원칙
87
1. 봄기운(TMS) 동물의 약리작용 92
2. 여름기운(TSS) 동물의 약리작용여름체질(TSS)의 적, 닭요리
94
3. 가을기운(TMF) 동물의 약리작용 98
4. 겨울기운(TOW) 동물의 약리작용 100
3장 식물의 현상본초 약리작용의 우선순위
102
1. 봄기운(TMS) 식물의 약리작용 105
2. 여름기운(TSS) 식물의 약리작용 106
3. 가을기운(TMF) 식물의 약리작용 108
4. 겨울기운(TOW) 식물의 약리작용 이로운 식품과 해로운 식품
109
4장 광물의 현상본초 116
1. 봄기운(TMS) 광물의 약리작용 118
2. 여름기운(TSS) 광물의 약리작용 118
3. 가을기운(TMF) 광물의 약리작용 119
4. 겨울기운(TOW) 광물의 약리작용 119
제3편 현상치유 121
1장 건강의 의미 123
1. 치료와 치유 127
1) 서양의학과 동양의학 약원병(藥原病)
130
2) 명현현상과 이상현상 명현현상과 이상현상의 구분을 위한 조건
136
2. 질병의 구분 141
1) 질병의 원인 항상성과 면역성
142
2) 실증과 허증 히포크라테스의 외침
149
2장 장부(臟腑)와 건강 159
1. 폐/ 대장 161
2. 비장/ 위장 하기작용
161
3. 간장/ 담 163
4. 신장/ 방광 163
5. 심장 오행역수(五行易數)
164
3장 감각기관과 건강 170
1. 귀 172
2. 눈 172
3. 코 173
4. 입 뼈와 체질
173
4장 치유의 법칙 179
1. 치유의 구성요소 179
1) 식품 올바른 섭생
180
2) 운동 최고의 운동, 등산
183
3) 물 물 잘 마시는 법
물(혈액)의 메커니즘
186
4) 햇빛 햇빛, 두 가지의 얼굴
191
5) 절제 마음을 비우면 희망이 보인다
194
6) 공기 공기의 조건
196
7) 휴식(수면) 바르게 잠자는 방법
199
8) 신뢰하는 마음 치유의 전령사, 즐거운 마음
203
2. 현상치유의 단계 식품의 약리작용에 대한 허와 실
207
1) 체질의 구분 210
2) 현상본초의 선택 220
3) 효과의 분석 224
5장 질병과 처치 세포의 구성과 생성
226
1. 감기(感氣) 감기의 예방과 처치법
231
2. 통풍(痛風) 여름체질(TSS)의 고뇌, 통풍
235
3. 고혈압 혈압과 체질
239
4. ADHD 진단과 처치의 원리
248
5. 암(癌) 버섯의 항암작용
252
끝맺는 말 260
관련용어 색인 264
현상본초 목록 270
참고도서 280

저자소개

박태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는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에서 복음주의 신학을 공부했다. 지난 20여년간 복음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말씀을 말씀으로 푼다.’는 성경의 진리에 따라, 그간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위해 각 주제별로 말씀의 짝을 찾아 성경을 정리해 왔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에 따라 필리핀과 중국에 역점을 두고 선교활동을 하고 있으며, 기독교서적 출판을 통한 문서선교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오직 말씀’(sola scriptura), ‘오직 믿음’(sola fide), ‘오직 은혜’(sola gracia)라는 목회철학을 가지고 서울 신사동에 소재하고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반석교회에서 시무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관념체질론과 현상체질론

현상체질론(現象體質論)은 그동안 본질에 대해 관념적으로 설명되어지고 있었던 기존의 체질론을 실제적으로 보여지고 있는 실천적인 방법에 의해 새롭게 개념화한 체질론이다.

기존의 관념체질론(觀念體質論)에서는 오행에 따른 각 장기의 기운을 간장은 木의 기운으로, 심장은 火의 기운으로, 비장은 土의 기운, 폐장은 金의 기운으로, 신장은 水의 기운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반해, 현상체질론에서는 실제 현상적인 면에서 관찰하여 폐장을 木의 기운으로, 비장을 火의 기운으로, 간장을 金의 기운으로, 신장을 水의 기운으로, 심장을 土의 기운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는 물질 본연에 대한 설명을 기존의 관념적인 것에서부터 벗어나 실제 현상적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현상체질론은 만물과 인체와의 상관관계를 실제 현상적으로 명확하게 설명이 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 성취도에 있어서도 명확하다, 현상체질에 따른 적확한 활성식(活性食 activated-nutrition nourishing)을 실시할 경우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 현저하게 변화를 보일 정도로, 현상체질론은 건강의 회복성에 있어서 매우 실천적인 자연치유법이다.


자연의 음양오행

오행의 의미에 대해 동양철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오행에 있어서 조화와 균형의 역할을 하게 되는 기운을 토(土)의 기운이라 하여 이에 대해 지상만물에 대한 어머니의 자리와 같다하였고, 나머지 木, 火, 金, 水의 기운들을 사상(四象)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오행의 각 기운별 특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목(木)의 기운 - 양기가 처음 솟구치는 곳의 기운으로, 방위로는 동쪽, 계절로는 봄이 되며 초목은 이때 목의 기운을 만나 위와 아래로 솟구치는 모습을 하게 된다.

화(火)의 기운 - 이미 얻어진 양기가 더욱 활성화되어 옆으로 팽창하고 흩어지려하는 기운으로, 방위로는 남쪽, 계절로는 여름이 되며 이때 초목은 화의 기운을 얻어 줄기와 잎이 옆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한다.

금(金)의 기운 - 충만하게 된 화의 기운을 감싸기 위해 음양균형의 법칙에 의해 모아지게 되는 외부의 차가운 기운으로, 이때 금의 음기운은 확장된 양기운을 포위하게 되고 팽창된 양기운은 음기에 싸여 안으로 숨어들게 된다. 방위로는 서쪽, 계절로는 가을이 되며 이때 초목은 모든 기운을 열매 속으로 모아 뭉치게 한다.

수(水)의 기운 - 금의 기운으로 시작된 음기를 더욱 왕성하게 하는 기운으로, 무거워진 음기는 모든 것을 끌어내리고 응축시키기 시작한다. 방위로는 북쪽, 계절로는 겨울이 되며 이때 초목은 에너지를 땅속으로 끌어내려 뿌리를 충실하게 한다.

토(土)의 기운 - 양중양(陽中陽)의 양의 기운을 음중음(陰中陰)의 음의 기운으로 전환하도록 작용하게 되는 기운으로, 방위로는 중앙, 계절로는 장마철이 되며 음양의 전환과정을 순조롭게 매개하는 균형의 작용을 한다.


기(氣)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현상(現象)

인체는 코와 입으로 섭취하게 되는 천기 天氣 와 지기 地氣 의 교류작용에 의해 생존하고 변화하도록 생성되었다. 다시 말해서 호흡을 통해 얻어지게 되는 천기인 양기운(陽氣運 Positive Energy)과 음식물을 통해 얻어지게 되는 지기인 음기운(陰氣運 Negative Energy)이 서로 합하게 될 때 비로소 활동할 수 있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그리고 사상(四象)의 실존적인 분류가 되는 현상본초(現象本草) 즉 현상(現象 phenomenon)에 대한 활동에 따라 구분되는 식품의 음양의 기운을 온전하게 섭취함으로써 천수를 다할 때까지 강건하게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모든 생명체의 생명활동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얻게 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그러하기에 이러한 활동에너지가 체내에서 서로 어긋나 항상성과 면역성에 문제가 생기게 될 때 인체에는 질병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나아가서 모든 질병의 원인이 이렇게 서로 어긋나게 된 에너지 작용과 활동의 결과라는 사실을 알기에 치유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329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