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5107636
· 쪽수 : 470쪽
· 출판일 : 2013-11-07
책 소개
목차
제1편 화장품 산업동향과 연구개발
제Ⅰ장 화장품산업의 주요현황
1. 화장품산업의 개요
1) 화장품의 정의
2) 화장품산업의 범위
3) 화장품의 품질
(1) 화장품의 품질에 관련된 중요 기술과 해당 범위
(2) 화장품의 중요 4대 요건
(3) 화장품의 중요 4대 요건에 의한 품질관리 기준
2. 화장품 산업의 트렌드
1) 화장품산업의 특성
2) 융합의 특성
3) 화장품상품의 융합화
3. 화장품 산업의 3大 변화
1) 바이오기술 기반
2) 융복합 솔루션
3) 기술/성분 마케팅
제Ⅱ장 국내.외 화장품 산업동향
1. 화장품 산업 글로벌 트렌드
1) 자가 상표(Private Label) 제품의 성장
2) 고객층의 다양화
(1) 특정 고객층에 맞춘 제품 시장
(2) 남성용 제품 시장 현황
가. 남성용 제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나. 남성용 제품시장 트랜드
다. 남성용 제품 시장의 한계
(3)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제품 세분화
가. 색이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제품
나. 고객의 기호에 따라 제조 가능한 향수
다. 반영구적 메이크업 시장 확대
3) 기능성 제품의 다양화
(1) 두발 기능성 제품
(2) 기능성 향수 제품의 등장
(3)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품
(4) 노화 방지 기능성 화장품
(5) 체형 보정 기능성 제품
4) 천연 제품 및 윤리적 제품의 등장
(1) 소비행태의 변화
(2) 천연 제품 등장
(3) 윤리적 제품 등장
가. 제품 생산 과정의 윤리성
나. 동물 대체실험의 금지
5) 국제적 인증제도 구축
(1) 세계의 유기농 인증제도
(2) 유럽 Eco-Cert 인증제도
가. Eco-Cert 인증현황
나. Eco-Cert 인증의 역할
다. Eco-Cert 인증 기준
(3) 인터넷의 영향 증대
6) 국제 협력체계 운영
(1) 나고야의정서
(2) ICCR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osmetic Regulation)
(3) ICATM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Alternative Test Method)
2. 국내 화장품산업 동향 분석과 전망
1) 화장품 제조업 시장 동향
(1) 일반 현황
(2) 업체 및 품목 현황
(3) 생산 현황
가. 기능성 화장품
나. 기초화장용 제품류
다. 두발용 제품류
라. 색조 화장용(구 메이크업) 제품류
마. 인체 세정용 제품류
바. 눈 화장용 제품류
사. 면도용 제품류
아. 영.유아용(구 어린이용) 제품류
자. 손발톱용(구 매니큐어용) 제품류
차. 방향용 제품류
카. 두발 염색용(구 염모용) 제품류
타. 목욕용 제품류
파. 체취 방지용 제품류
(4) 매출 현황
(5) 인력 현황
2) 화장품 수입업 시장 동향
(1) 매출 현황
(2) 인력 현황
3) 화장품 수출입 동향
(1) 수출입 현황
(2) 화장품 국가별 수출?입 실적
(3) 2012년 주요 통계 현황
4) 화장품 기업 동향
(1) 성장성 주요 지표
(2) 수익성 주요 지표
(3) 안정성 주요 지표
5) 화장품 유통 동향
(1) 화장품 제조업 유통 현황
(2) 화장품 수입업 유통 현황
6) 화장품 소비자 현황
(1) 구입 및 사용 실태
가. 화장품 사용 실태
나. 화장품 구입 실태
다. 화장품 만족도
라. 화장품 구입 시 고려사항
마. 유형별 1일 사용 횟수
(2) 화장품 구매 의향
가. 2013년 이내 구입의향
나. 향후 구입 시 화장품 유형군별 선호국
(3) 기능성 화장품 인식
가. 사용 현황
나. 사용하는 기능성 화장품 유형
다. 자외선차단 제품 1일 사용 빈도
(4) 정책 관련 인식
가. 화장품 안전사고
나. 정책에 대한 요구
7) 스킨케어 시장 분석 (2007~2016)
(1) 스킨케어 전체 시장규모
(2) 스킨케어 부문별 시장규모/전망
가. 바디케어
나. 페이셜 케어
다. 핸드케어
라. 선케어
마. 메이크업 리무버
바. 제모제
8) 화장품 시장 전망
3. 세계 화장품산업 동향 분석
1) 세계 화장품산업 주요 동향
(1) 세계 화장품시장
(2) 화장품 유형별 세계시장
(3) 세계 100대 화장품 기업 순위
2) 주요 국가의 화장품 시장 현황
(1) 유럽
(2) 프랑스
(3) 폴란드
가. 화장품 현황
나. 화장품 시장동향
(4) 스페인
가. 화장품 현황
나. 화장품 시장동향
(5) 미국
(6) 일본
가. 최근 업계 동향
나. 시장 규모
다. 시장 점유율
라. 소비 동향
마. 향후 시장 전망
(7) 중국
가. 화장품 현황
나. 화장품 시장동향
다. 2·3선 도시의 화장품 시장동향
(8) 태국
가. 화장품 시장 트렌드
나. 화장품 시장동향
다. 화장품 시장 전망
(9) 인도네시아
가. 화장품산업의 시장성
나. 화장품 시장동향
(10) 터키
가. 화장품산업의 시장성
나. 화장품 시장동향
(11) 브라질
3) 주요 화장품 기업 현황
4) 세계 항노화 화장품산업 동향
(1) 세계 항노화 화장품 시장
(2) 국가별 항노화 화장품 시장
(3) 항노화 화장품 세부유형별 시장
5) 세계 50대 화장품 브랜드 분석현황 (2013)
(1) 떠오르는 브랜드
(2) 50위 밖으로 떨어진 브랜드
(3) 상승세 브랜드
가. P&G
나. L’Oreal
(4) 기타 주요 브랜드
4. 화장품 주요 기업 분석현황
1) L'Oreal
(1) 기업 현황
(2) 기업 성장 동력
가. 인구 고령화 관련
나. 남성 미용 제품 시장 관련
다. 자연주의 제품 시장 관련
라. Rest of the World Zone의 부상
마. 미국 헤어 살롱 시장
(3) 기업 성장 방해 요소
가. 타사 유통 채널에 대한 높은 의존도
나. 경제 동향의 영향
다. 위조 제품 시장
2) Proctor & Gamble Co.
(1) 기업 현황
(2) 기업 성장 동력
가. 남성 스킨케어 브랜드
나. 이머징 마켓 시장
다. 유통채널 다변화
라. 제품 종류 다양화
(3) 기업 성장 방해 요소
3) Unilever
(1) 기업 현황
(2) 기업 성장 동력
가. 이머징 마켓의 잠재성
나. 사업 영역 간소화
(3) 기업 발전 위협 요소
가. 최근 경제 동향
나. 시장 경쟁력의 저하
다. 기업 이미지
4) Shiseido Company Limited
(1) 재무 현황
(2) 기업 성장 동력
가. 뷰티 센터 설립
나. 일본 내 기업 이미지
다. 일본 인구 고령화
라. 신제품 출시
마. 이머징 마켓 진출
바. 중국 시장 진출
(3) 기업 성장 방해 요소
5) ESTEE LAUDER
(1) 재무 현황
(2) 기업 성장 동력
가. 다양한 제품군
나. 해외 시장에서의 높은 판매 비중
다. 명품 이미지
(3) 기업 성장 방해 요소
가. 고가라인에 편중된 제품들
나. 제한된 유통망
6) LG 생활건강
(1) 재무 현황
(2) 기업 성장 동력
가. The FaceShop 인수
나. 한방 화장품 라인
다. 허브화장품
7) AmorePacific Corp.
(1) 기업 현황
(2) 기업 성장 동력
가. 중국 메이크업 시장
나. 독립적 유통채널 성립
다. 새로운 소비자층 개척
라. 한방 제품
제Ⅲ장 화장품산업 연구개발동향
1. 화장품산업 신소재 연구개발
1) 천연유래 효능성분
(1) 판두라틴 (Panduratin)
(2) 아멘토플라본 (Amentoflavone)
(3) 실리마린 (Silymarin)
2) 친환경 합성공법
(1) 친환경 합성공법
(2) 초임계공법의 우수성
(3)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분자합성
(4) 블록공중합체 기반 초임계 안정화제
(5) 초임계 기술의 산업적 잠재력
3) 지질에 대한 피부과학적 연구
(1) 지질의 역할
(2) 지질의 거동
(3) 지질의 리포좀화
4) 유체기술 기반 신소재
(1) 유체기술과 기술융합
(2) 마이크로플루딕스 기술
(3) 화장품 소재로 응용
(4) 미세유체기술의 잠재력
2.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 동향
1) 서론
2) 미백 기능성화장품의 연구개발 동향
(1) 검은 피부의 원인 및 미백화장품의 작용 원리
(2) 최근 미백화장품 개발 동향
3)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의 연구 개발 동향
(1) 주름생성의 원인 및 주름개선 작용 원리
(2) 최근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개발 동향
4)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의 연구개발 동향
(1)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2) 최근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의 연구개발 동향
5) 기능성화장품 관련기술 개발 동향
(1) 기능성 소재개발 동향
(2) 기능성 제제기술 개발 동향
(3) 기능성화장품과 분석기술
(4) 기능성화장품의 평가법
(5) 기능성화장품과 용기개발 기술
제Ⅳ장 화장품산업 연구개발실태 분석현황
1. 보건산업 연구개발
1) 연구목적
2) 연구자료
3) 분석대상
(1) 연구개발 투자 부문
(2) 연구개발 성과 부문
2. 보건산업 연구개발 현황
1) 보건산업 연구개발 투자 현황
(1) 보건산업 연구기관 현황
(2) 보건산업 연구개발비 현황
(3) 보건산업 연구인력 현황
2) 보건산업 연구개발 정부지원 현황
3) 보건산업 특허 동향
(1) 보건산업 특허 출원 동향
(2) 보건산업 내외국인별 특허 출원 동향
3. 화장품산업 연구개발 투자 현황
1) 화장품산업 분류 기준
2) 화장품산업 연구기관 현황
3) 화장품산업 연구개발비 현황
4) 화장품산업 연구인력 현황
4. 화장품산업 특허 동향
1) 화장품산업 특허 분류 기준
2) 화장품산업 특허 출원 동향
제Ⅴ장 국내외 화장품소재 개발동향 및 전략
1. 주요 기능별 화장품 소재 개발동향
1)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 개발동향
(1) 미생물 유래 미백 화장품 소재
(2) 약용식물 유래 미백 화장품 소재
(3) 약용식물 유래 신규 미백 화장품 소재, Selina
(4) 미생물 유래 신규 미백 화장품 소재, Terrein
2) 기능성 노화방지 화장품 소재 개발동향
(1) 표피세포의 분화 재생을 조절하는 항노화 화장품 소재
가. Retinoid
나. α-Hydroxy acid (AHA)
다. Mevalonolactone (mevalonic acid, MA)
라. Niacinamide (nicotinamide, NA)
(2) 세포외 매트릭스 (ECM) 성분을 조절하는 항노화 화장품 소재
가. 콜라겐 대사제어 소재
나. 엘라스틴 대사제어 소재
다. 히아루론산 대사제어 소재
(3) 활성산소(ROS) 소거물질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품소재
가. 신규 활성산소 소거물질, Benzastatins
나. 신규 노화조절 항산화 활성소재, Inoscavin
다. 신규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 Melanocins
(4) 기타 항산화 활성소재, Co-enzyme Q10
3) 기능성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소재 개발동향
(1) 자외선 흡수제
(2) 자외선 산란제
(3) 피막 형성제
4)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한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 개발동향
5) 기타 소재
6) 일본의 신세대 미백 소재 개발동향
(1) 미백 화장품 원료의 새로운 목표
(2) 벚나무 엑기스
(3) 니무리 프리킷드
(4) 크레아쥬
(5) 파멘테츠
(6) 전망
2. 식이화장품의 시장 및 개발동향
1) 식이화장품 세계 시장동향
2) 식이화장품 개발동향
(1) 식물성 세라마이드에 의한 피부장벽 개선 효과
(2) 콩의 피부개선 효과
(3) 항산화제의 피부개선 효과
3. 바이오 화장품 소재 개발동향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개념
(2) 범위 및 분류
가. 일반 화장품소재의 범위 및 분류
나. 기능성 화장품소재의 범위 및 분류
2) 기술 동향 및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기술 동향
가. 피부미백분야
나. 피부 주름개선분야
다. 자외선 차단분야
라. 기타분야
(2) 기술개발 정부지원 현황
4. 국내?외 주요 화장품 소재 출시 동향
5. 유망 화장품 소재 개발 전략
1) 화장품 기술 개발 방향
2) 화장품 소재 개발 전략
(1) 노화효능 소재
(2) 미백효능 소재
(3) 화장품 유효 소재의 피부 전달 기술
(4) 화장품 관능상의 변화 경향
(5) 화장품 색상의 미래
(6) 에멀죤의 미래
6. 소재개발 사례
1) 새로운 미백제의 개발
2) Anti-Wrinkle 관련 원료 개발
3) 한방원료
4) 분체 원료
제Ⅵ장 화장품관련 안티에이징과 뷰티산업
1. 안티에이징과 화장품산업
1) 신성장동력 안티에이징 개요
(1) 안티에이징 트렌드
(2) 안티에이징의 개념
(3) 연구의 범위
가. 범위: 피부노화를 다루는 산업
나. 구조: 산업 동향에서 융복합 신사업 기회까지 종합 분석
2) 안티에이징의 부상배경
(1) 인구?사회적 요인
(2) 경제?정책적 요인
3) 안티에이징 산업동향
(1) 시장 규모
(2) 화장품산업의 성장동력
(3) 먹는 화장품 산업현황
2. 뷰티산업과 화장품산업
1) 뷰티산업의 개요
(1) 뷰티산업의 정의 및 범위
가. 뷰티산업의 정의
나. 뷰티산업의 범위
(2) 뷰티산업의 개념과 분류
가. 일반적 개념
나. 산업적 개념
다. 연구의 범위와 분류
2) 뷰티산업의 현황 및 발전가능성
(1) 국내 뷰티산업 현황
가. 시장규모
나.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다. 산업구조
라. 뷰티서비스 프랜차이즈 업체 현황
마. 해외진출 현황
바. 외국업체의 국내 진출 현황
(2) 뷰티산업의 발전가능성
가. 성장잠재력이 높은 산업
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
다. 타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높은 동반성장 가능성
라. 관광상품 개발 및 해외진출이 용이한 산업
마. 세계적인 수준의 풍부한 인적 자원
3) 뷰티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
(1) 법?규제적 측면으로 인한 뷰티서비스 범위제한 및 산업화 지연
(2) 뷰티산업의 산업화 및 세계화를 선도할 인력양성 시스템 미비
(3) 산업의 발전과 뷰티관광 수요에 부합하는 집적화단지 부재
(4) 한국 뷰티산업을 대표하는 통합 브랜드 미비
4) 주요 국가의 뷰티산업 현황
(1) 뷰티산업현황
(2) 뷰티산업 트렌드
가.DIY의 확산
나.메트로섹슈얼 (metrosexual)
제2편 화장품산업의 정부정책 및 추진현황
제Ⅰ장 국내 화장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1. 추진 배경
2. 화장품산업의 현황
1) 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
2)‘12년 국내 화장품 시장 및 수출 규모
3. 화장품산업의 극복과제
4. 화장품산업의 비전 및 전략
5. 핵심과제 추진방안
1) 글로벌 제품 및 창조 기술 개발
(1) R&D 투자 확대 및 효율화
(2) 선진국 대비 90% 기술 수준 확보
(3) 세계시장 선도형 글로벌 TOP 브랜드 개발
2) 산업육성 인프라 확충
(1) 맞춤형 수출 전문인력 양성
(2) 원료 안전성·규제 정보 시스템 구축
(3) 대외환경 변화 대응 체계 구축
3)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1) 수출 마케팅 지원 강화
(2) 글로벌 협력 및 해외 정보 수집 강화
4) 규제 제도 선진화
(1) 화장품 유형 확대
(2) 기능성화장품 제도 개선
(3) 수출용 제품 예외 규정 확대
6. 기대 효과
제Ⅱ장 화장품산업의 정부규제 현황
1. 국내 규제 및 정책동향
1) 화장품산업 관련 법률
2) 화장품산업 관련 환경변화
(1) 국내 화장품법 개정
(2) 국제 기준 등의 변화
(3) FTA 추진 및 발효
3) 화장품산업 정책동향
(1) 새로운 안전관리체계 구축
가. 화장품 업 관리 강화
나. 원료관리의 국제조화
다. 표시?광고 관리의 개선
(2) 규정 정비
(3) 화장품 GMP 적합업체 지정 활성화
(4) 기능성화장품 신속 심사 활성화
(5) 수출활성화 지원
2. 주요국의 규제현황
1) 미국의 규제현황
2) EU의 규제현황
3) 일본의 규제현황
3. 주요국 환경규제 대응방안
1) 화장품의 안전 확보
(1) 유럽의 규제
(2) 중국의 규제
2) ISO/TC 217
3) 신화학물질관리제도
4) 동물시험법
5) 나고야 의정서
4. 글로벌 경쟁 및 소비자이슈 도출
1) 경쟁촉진을 위한 규제개선 과제
(1) 화장품 분류체계 개선
(2) 화장품 표시광고규제 합리화
(3) 기능성화장품 제도 개선
(4)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개선
2)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규제개선 과제
(1) 검사명령제도 개선
(2) 견본품 표시 의무화
(3)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한 표시대상 확대
제Ⅲ장 수입화장품 가격동향과 대책
1. FTA 전후 화장품 가격 동향
2. 수입 유통구조 현황 및 문제점
1) 유명 수입화장품의 독점적 수입판매 구조
2) 유명 수입화장품 구매층의 낮은 가격민감도
3) 소비자 정보 부족에 따른 수입자의 고가전략
3. 대응 방안
1) 병행수입 활성화 등 수입판매 독점구조 완화
2) 가격·품질정보 제공으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 유도 (공정위)
3) 수입화장품 국내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감시 강화
4) 국내 화장품 산업 육성·지원 (복지부)
5) FTA 관세인하 혜택 확산 위한 원산지증명 활성화
4. 추진과제
제Ⅳ장 유통 중 화장품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1. 서론
1) 배경
2) 목적
3) 적용 범위
4) 기타
5) 시행일
2. 기준 및 시험방법
1) 기준
2) 시험방법
(1) 포름알데하이드
(2) 프탈레이트류 (디부틸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디에칠헥실프탈레이트)
(3) 디옥산
(4) 히드로퀴논
(5) 미생물한도
가. 검체의 전처리
나. 총 호기성 생균수 시험법
다. 특정세균시험법
(6) 기타
제Ⅴ장 주요국의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1. 중국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1) 관세율
2) 수입 허가요건 (구비서류)
2. 태국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1) 태국에서 화장품 수입 처리과정과 화장품 관리
(1) 화장품 법 (1992)
(2) 화장품 종류
2) 법과 규제
(1) 화장품위원회
(2) 화장품 재료목록
3) 사전 마케팅 관리
(1) 화장품의 기술 요구조건
(2) 사전 마케팅 요구조건
(3) 신고서
(4) 등록
(5) 제품표시 요구조건
4) 사후 마케팅 관리
(1) 검열
(2) 광고 검열과 감독
(3) 제조과정 보강과 개발
5) 수출입 화장품의 일반 요구조건
(1) 범위
(2) 수입 요구조건
(3) 아세안 국가 외로 직접 재수출을 하려고 한 수입
(4) 수출 요구조건
(5) 요약
6) 태국에 화장품관리용 특별 발표
3. 인도네시아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4. 터키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1) 등록 과정
(1) 관련 문서, 등록 과정, 시간 및 비용
(2) 제품규정
(3) 4조: 생산자 및 의무
2) 최근소식과 개발현황
5. 아랍에미리트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1) 등록기관
2) 등록절차
3) 비용 및 소요기간
4) 구비서류
6. 폴란드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1) 수입관련 제도
(1) 유럽통합 기준 시행 예정
(2) 유럽통합 규제의 주요내용
가. 시장감시-책임자 제도
나. 특정 물질에 대한 제한
다. 소비자를 위한 정보
라. 동물테스트금지
(3) 유럽통합 규제의 정보링크
2) 인증 및 등록
(1) 폴란드 화장품 등록기관
(2) 유럽통합규정에 따른 등록기관
7. 네덜란드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1) 품질인증제도
(1)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2)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2) 수입관세율
8. 독일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9. 스페인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저자소개
책속에서
[발간사]
화장품산업은 전반적인 저성장 경제상황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미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향후 지속성장 가능한 산업분야입니다. 최근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 다양한 소비계층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화장품 시장은 연 4%선 성장률을 유지하며 타 산업 대비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화장품산업 또한 한류 열풍과 ‘10년 이후 정부 투자의 지속적인 확대로 동남아 시장 중심으로 수출 호조로 최근 5년간 생산 11.9%, 수출 23.3%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며 세계 11위 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하지만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역대 최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국내 화장품시장은 여전히 내수의존도가 높고 영세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와 맞물려 유통, 식품 등 타 업종 업체들이 화장품사업 진출 계획을 밝히고 있어 향후 화장품 시장의 외형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유통채널 및 신규 진입업체가 시장에 안착하기 전까지는 브랜드숍의 고성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단기적인 성장세 둔화가 예상되기도 합니다.
국내 화장품산업을 첨단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글로벌 톱7 강국으로 도약시키려는 전략을 마련하였습니다. 정부 간 공동협력 및 산·학·연 전문가 협의를 거쳐 확정한 ‘화장품산업 글로벌화 강화전략’은 화장품산업을 내수위주에서 수출주력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요지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컨셉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화장품 산업은 한류와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하여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산업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하겠습니다.
이에 본원 Rlsearch센터에서는 각 연구기관과 국내외 민간연구소의 자료.데이터 및 정부의 정책 자료를 분석 정리하여 「화장품산업 연구개발 추진전략과 정책현황」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서 1편에서는 화장품산업의 연구개발동향과 주요국의 화장품 시장 전망을, 2편에서는 화장품산업의 정부정책 및 추진현황을 수록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업체 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용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13. 11. 4.
산업정책분석원 Rlsearch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