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무예/무술
· ISBN : 9791195526208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21-11-22
책 소개
목차
검도의 본질(本質)
몸 공부(修身) •32
인간의 보편성 •34
검(劍)과 죽도(竹刀) •36
일대일 •38
일도양단(一刀兩斷) •39
존심(存心) •41
잔심(殘心) •42
검의 이법에 따라 •44
유효격자 해석 •46
칼의 궤적(刃筋)과 칼날(刀) •49
한판(一本) •52
타격의 진화 •54
중화지기 •56
검도의 정의(正義)
사람됨(爲人) •64
검도이념(理念)과 정의(定義) •68
사유화(私有化) •70
차별화 전략 •71
원조(元祖) •73
검도의 정체성 •75
진정한 검도 •76
선순환(고령인 검도) •79
검도인(劍道人) •80
우리가 지켜야 할 보편적 가치들 •82
60대 역할론 •83
공명정대 •84
반칙제언(反則提言) •85
사심(私審)을 줄이는 방법 •86
존심 유감 •87
실격사항 •90
Sports 興亡 •92
뜻을 구하다 •93
검도의 교육성 •96
검도의 각성(覺醒)
성(性) •102
성향(性向) •104
솔성(率性) •105
기(氣) •107
인(仁) •109
중(中) •112
정(正 바름) •114
화(和 어울림) •116
성(誠 다함) •119
지(知 알다) •122
고(顧) •124
겸(謙) •126
용(勇) •128
사랑(愛) •129
경(敬) •132
감사(感謝) •134
믿음 •135
검덕(劍德) •137
자유함 •138
성 공부 •140
검도의 인문학 •143
검도의 이법(理法)
유효격자의 과정별 이법 •146
격의(格義) •154
검도의 3요소(몸·氣·劍) •154
기본(基本_의식두기) •158
이합(理合) •160
극의(極意) •163
검도의 본 극의 •164
대도 2본의 극의 •166
정대(正對) •167
정면(正面) •169
삼각구 •170
우산의 원리 •172
준거(蹲踞) •173
정중선(正中線) •173
인중로 •176
중축집중(中軸執中) •179
중앙선 •180
간격(間隔) •181
간격(間合)의 분류 •182
정간(正間) •183
공세(攻め) •185
삼살법(三殺法) •187
제비다리(鳥不飛) •188
입신(入身) •188
타다(乘) •189
몰아감 •189
서파급(序破急) •190
거착 •191
승타법의 근원 •193
눈길 •193
동선시(動善時) •194
선(先先의 先) •195
나오려고 할 때 •197
끝보기(見切り) •198
하려고 할 때(機) •199
기합(氣合) •200
축경(溜める) 발경(發勁) •202
활의 원리 •203
몸 던지기(捨身) •204
正面(머리) 치기 •206
도끼의 원리 •208
칼의 궤적(刃筋) •209
솜씨(冴え[sae]) •211
휘어짐의 극의 •215
일원삼류(一原三流) •216
회수(回收) •218
마음 공부 •218
간결함 •219
자연스러움 •221
검도의 지도(指導)
지도상의 유념 •224
기초지도 •226
검도 격자의 특징 •229
격자의 손운용 •230
손운용(手の內) •232
격자의 발운용 •234
발운용 •237
후리기·정면치기 •242
기회의 2단계 •244
공세 방법론 •245
20분 공세 연습법 •249
타법(打法)의 분류 •254
머리치기 방법 •256
연격의 분석 •257
호흡 지도 •260
의식 두기 •261
경기력 향상 지도 •262
승부수(勝負手) •265
페인팅(feinting)의 목적 •267
패자의 공격 특징 •268
오류 •268
8단 심사지도 •271
다구치(田口)범사 지도내용 •272
어린이 검도지도 마음가짐 •275
검도의 계고(稽古)
계고의 마음가짐 •280
규범(規範) •281
계고와 시합 •282
계고(稽古) 분류 •283
검도의 본(本) 계고 의미 •286
지도계고 •289
대련의 의의(意義) •292
계고 극의 •293
대련의 품격(品格) •294
관록(貫祿) •295
사범(師範) •296
검도를 즐겁게 하는 요소 •298
하수(下手) •299
통합(統合) 능력 •299
즐검(樂劍) •300
효과적인 대련 연습 •302
대화(對話) •305
검도의 본질을 추구하다 •307
도장(道場) •308
검도의 수파리(守破離) 단계 •311
검도의 단상(斷想)
새벽도장문을 열 때 •314
스트레스 •315
평상심(平常心) •317
절제(節制) •318
비움(虛)이란 •319
노당당 •320
정정당당 •321
응무소주 이생기심 •322
검은 몸으로 닦고 저절로 가는 것이다 •323
심사유감(審査有感) •324
선수(選手) •325
호연지기 (浩然之氣) •325
모자람 •326
칼따라 벗따라 섬기며 즐검 •327
착각(錯覺) •328
새벽 개인 수련 •328
韓(城南市) -日(福岡 岡垣町)
少年劍士 親善交流會 •329
동량탁(棟梁擢) •334
눈물 •334
허심탄회(虛心坦懷 ) •335
검생호일(劍生好日) •335
우보천리(牛步千里) •336
유용규 형! •338
어린이 검도 수련의 목적 •340
60 즈음에 •342
범사에 감사기도 •344
Camino(길걷기, 순례) •346
조승룡선생님을 그리며 •347
인(仁)한 대한민국! •350
第110回 全日本劍道演武大會 참관기 •352
성기인야 •355
도(道) •361
군자시중 •361
극기복례 •363
일이관지 •365
정명 •367
유현 •368
부록
검도의 본(本•形) •375
대도의 본 •382
소도의 본 •395
검도의 본 소고 •403
한판의 시대적 배경 •404
검도의 본 제정 유래 •407
사물이현의태(事物而現意態_物格顯心境) •409
검도의 본 요약 •411
검도의 본 이법 •413
“검의 이법에 따라” 출처 •414
검도 지도의 마음자세 •414
검도·검도의 본·검법의 비교 •416
검도 용어사전 •419
찾아보기 INDEX •451
후기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