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운동 > 기/단학
· ISBN : 9791195595419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18-06-20
책 소개
목차
제1장 국선도 개론 • 1
Ⅰ. 국선도 이해 3
1. 국선도 역사 3
2. 청산의 생애와 사상 4
1) 생애 4
2) 산중의 도인들 5
3) 청산의 사상 7
Ⅱ. 국선도의 인문사상적 배경 12
1. 최치원 선생과 국선도 12
2. 동양철학의 적용 14
1) 음양오행 14
2) 주역(周易) 15
3) 오운육기(五運六氣) 16
3. 수련 이론 17
1) 단리(丹理) 17
2) 정기신 작용 17
4. 仙과 의 관계 20
제2장 국선도 수련체계 • 27
Ⅰ. 정각도-깨달음의 길 29
1. 정각도 행공원리 30
2. 깨달음의 의미 31
Ⅱ. 정각도 수련단계 33
1. 중기단법(中氣丹法) 33
2. 건곤단법(乾坤丹法) 38
3. 원기단법(元氣丹法) 42
4. 축기단법(畜氣丹法) 48
Ⅲ. 통기법(通氣法)-생명의 길 54
1. 진기단법(眞氣丹法) 55
2. 삼합단법(三合丹法) 65
3. 조리단법(造理丹法) 66
Ⅳ. 선도법-영생의 길 69
1. 삼청단법(三淸丹法) 69
2. 무진단법(無盡丹法) 72
3. 진공단법(眞空丹法) 74
Ⅴ. 우주론으로 본 국선도 77
1. 우주론적 법리도 77
2. 국선도 법리도 시 78
제3장 국선도 삼요소 • 79
Ⅰ. 기체조 81
Ⅱ. 단전호흡의 작용과 의미 92
1. 호흡의 종류와 작용 92
2. 단전호흡 자세 95
3. 단전자리 잡기 97
4. 단전호흡의 보조기법 104
5. 단열 105
Ⅲ. 명 상 106
1. 명상이란? 106
2. 명상의 방법 109
3. 명상의 의미 110
제4장 국선도와 나의 삶 • 113
Ⅰ. 나의 고향 당진 행동 115
Ⅱ. 서울 생활 116
Ⅲ. 국선도 수련과 청산선사 118
Ⅳ. 국선도의 미래상 124
제5장 仙 道 學 • 129
Ⅰ. 선도학이란? 131
1. 왜 학문화가 중요한가? 132
2. 그렇다면 왜 국선도학이 아니고 선도학인가? 132
3. 선도 또는 선도학으로 가야하는 이유! 133
Ⅱ. 선도학의 지향점 137
Ⅲ. 선도학으로 본 역사・전설・신앙 142
1. 들어가는 글 144
2. 교류란? 145
3. 태안반도의 상징성 146
4. 당진, 태안반도의 볼텍스 149
5. 신라 하대 : 당진, 대당 전진기지 151
6. 고려시대 : 당진 면천, 역사를 전설로 쓴 고장 160
7. 조선시대 : 당진, 소도(蘇塗)의 고장 166
8. 결어 및 제언 170
Ⅳ. 구도정신과 깨달음의 선도학적 고찰 172
1. 들어가는 글 174
2. 원효와 경허의 구도정신 176
1) 원효의 생애와 구도 과정 177
2) 경허의 생애와 구도과정 178
3. 현대 심리학적 자아발견 모델 181
1) 매슬로우와 융 181
2) 융의 개성화를 통한 자아발견 183
4. 태고원형의 조우와 구도 과정 185
5. 나가는 글 188
부 록 • 193
Ⅰ. J 사범 진기단법 100일 수련 일지 195
Ⅱ. 플로린 수련 일지 225
Ⅲ. 청산선사 지음 국선도 서적 연혁 236
에필로그 242
저자소개
책속에서
단전호흡을 또한 다름 아닌 상징적인 임신 연습으로 볼 수 있다. 仙道의 고전적 지도서를 보면 기가 아랫배에 차서 결정을 이루는 것을 도태(道胎)라고 하고, 그 도태가 성숙해져 내 머릿속에 위치한 정신작용이 활발해지고 의식의 확장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것을 출태(出胎)라고 한다.
국선도에 있어서의 도태와 출태는 임신의 과정과 결과를 이해하면 더욱더 이해가 용이하다. 우선 임신이라 함은 남녀의 화합에 의해서 시작되어 여성의 자궁 속에서 수태가 되고 수태가 된 지 10개월 만에 출산을 하게 되는데, 그 십 개월 동안 임신한 여성은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 극도로 조심을 하게 된다. 그리고 10개월 즈음에 양수가 터져서 아기가 태어나오게 되는데, 이때의 상황은 임신부가 용을 씀으로 해서 도움이 되겠지만 절대적인 것은 엄청난 내부의 수축 작용에 의해서 태아가 밀려나오는 형세이다. 이 작용은 인간의 의지가 아니고 내부의 자연적인 거대한 힘에 의해서 작동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단전호흡이라는 행위는 이때의 수축 및 팽창 작용을 패러디한 모방이라고 볼 수 있고, 그러한 모방동작을 통해 새 생명을 탄생(出胎) 시키자고 하는 인위적 행위라고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