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기타
· ISBN : 9791195649303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6-08-10
목차
제1부 음양오행
1. 음양오행의 의미
1) 음양
2) 오행
2. 음양오행의 논리
1) 여환무단如環無斷
2) 음양의 상象
3) 증상의 상象
4) 상象과 제한조건
제2부 사진四診
1. 사진의 중요성
1) 진사탁 의안
2) 설기 의안
3) 손경상 의안
2. 망진
1) 색의 판단법
2) 얼굴과 장부의 배속
3) 설진
3. 문진問診
1) 물의 온도
2) 갈증
3) 음식
제3부 맥진脈診
1. 맥진의 의의
1) 맥의 의미
2) 정상맥의 조건
(1) 사시맥
(2) 위기胃氣
(3) 근根
(4) 신神
3) 맥진의 의미
4) 맥진의 원리
2. 맥진의 기원과 발전
1) 내경內經의 맥진
(1) 평맥의 기준
? 사시맥
? 위기胃氣
③ 맥박수
④ 맥오십동脈五十動
⑤ 정상 맥상脈象
(2) 삼부구후맥법
(3) 인영기구맥법
(4) 촌구맥
2) 난경難經의 맥진
(1) 맥진의 부위
(2) 정위법
(3) 장부배속
(4) 명문命門과 근根
3) 장중경의 맥과 증
4) 왕숙화의 맥경脈經
5) 손사막의 맥진
6) 맥상도의 출현
7) 최가언의 맥결脈訣
8) 활수의 맥론
9) 명·청대 의가의 맥진이론
10) 정약용의 맥진
11) 이봉교의 진맥
3. 맥진의 실제
1) 맥진의 주의사항
2) 환자의 정상맥 판단
3) 맥진의 학습방법
(1) 음양이론을 알아야 한다
(2) 맥진이론을 알아야 한다
(3) 진맥 기술을 익혀야 한다
(4) 정상맥을 알아야 한다
(5) 맥상에 대한 주병主病 관찰
(6) 증상에 대한 맥상 관찰
(7) 자침 전·후 맥 관찰
4) 맥진의 방법
(1) 정위법
(2) 손의 압력차이 구별
(3) 맥진의 시간
4. 맥진을 위한 맥상脈象과 맥상脈狀
1) 맥상脈象의 인식
2) 맥상脈象과 맥상脈狀의 구별
3) 맥상감별
(1) 맥을 누르는 세기
(2) 맥박수의 빠르기
(3) 맥의 유력과 무력
(4) 맥폭의 대소
(5) 맥길이의 장단
(6) 맥박의 규칙성
(7) 맥의 느낌
4) 맥상脈象의 판독
(1) 부·침과 촌·척의 해석
(2) 맥박의 수
(3) 맥폭과 맥의 길이
(4) 맥상의 느낌
5) 맥상이 동사動詞로서 가지는 의미
5. 장부배속
1) 오장의 배속
2) 육부의 배속
(1) 표리에 의한 배속/명문과 삼초
(2) 육부의 위치에 의한 배속
(3) 삼초의 배속
제4부 의안
1. 의안의 형태적 분류
2. 의안의 작성방법
1) 의안 작성 방법과 주의 사항
2) 의안 사례
(1) 나겸보 의안
(2) 의안 분석
3. 예전 의안의 연구
1) 의안 내용의 독해
2) 이론에 대한 이해
3) 의안 사례
4. 의안 이해의 실제 사례
1) 역대간의 음허발열 의안
(1) 의안 구성
(2) 의안 분석
2) 손조의 소양병 의안
(1) 소양증 의안 구성
(2) 의안 내용에 대한 분석
제5부 변증
1. 변증의 정의
2. 변증이론
1) 오행변증
(1) 오행변증의 필요성
(2) 오행의 상으로 증상 판별
① 병기십구조病機十九條
② 병기십구조病機十九條의 예
③ 다른 질병을 같은 상으로 본 손조의 의안
(3) 오행의 증상
(4) 오행간의 관계: 승복勝復과 오사五邪
(5) 병증에서 오행의 관계
(6) 태화 불급에 의한 증상
(7) 오행 전변의 제한성
(8) 팔강
2) 내상·외감변증
3) 장부·경락변증
(1) 장부변증
(2) 장부병의 전변
(3) 경락변증
4) 육음변증
5) 탕증湯症에 의한 변증
6) 외형外形에 의한 변증
7) 주소증主所症에 의한 변증
3. 변증의 과정과 원칙
1) 논리의 전개
2) 증症狀·症·證
3) 증상症狀의 상象 판단
(1) 위옥횡의 의안
(2) 위옥횡의 의안 분석
4) 상의 판단 후 검증
5) 생리적·병리적 판단
6) 증症과 증의 관계 판단
7) 맥증불일치脈症不一致
8) 질병에 대한 이해
9) 증의 진행과정
(1) 주증과 겸증
(2) 전변·합병·병병
10) 변증이론의 선택
11) 병증의 진단
12) 치법의 결정
13) 변증과정에 대한 나겸보의 의안 예
4. 변증이론의 선택
1) 증상에 따른 선택
2) 원인과 주증의 불일치
4) 삼음삼양과 오행에 의한 변화
5) 제한된 조건
6) 변증이론의 선택과정 사례: 나겸보 의안
(1) 주소증에 의한 변증
(2) 장부병증으로 변증
(3) 탕증처방에 의한 변증
(4) 일반적인 변증
(5) 나겸보의 변증
제6부 치법治法
1. 치법의 의의와 원칙
1) 치법의 의의
2) 치법의 기본 원칙
3) 치법의 구체적 원칙
(1) 표본標本
① 표본의 치법
② 선행거근법
(2) 음양
① 양이 없으면 음이 생하지 않고, 음이 없으면 양이 화하지 않는다
無陽則陰無以生 無陰則陽無以化
② 자화원滋火源
③ 음성격양陰盛格陽
④ 양성거음陽盛拒陰
⑤ 음허양산陰虛陽散
(3) 내외內外
(4) 상하上下
① 하자인이갈지, 하자거지其下者引而竭之·下者擧之
② 고자억지, 하자거지高者抑之·下者擧之
③ 상성하면 상탈, 하성하면 하탈上盛則上脫·下盛則下奪
(5) 선후완급先後緩急
(6) 허실虛實
(7) 경자평지驚者平之
2. 치법의 방법
1) 정치正治·반치反治
(1) 정치正治의 한인한용寒因寒用
(2) 반치反治의 한인열용寒因熱用·열인한용熱因寒用
(3) 반치反治의 한인한용塞因塞用·통인통용通因通用
2) 중치中治
3) 치법팔요治法八要
4) 시기에 따른 치법三期治法
(1) 초기치법
(2) 중기치법
(3) 말기치법
5) 세기에 따른 치법療病五法
(1) 화법和法
(2) 취법取法
(3) 종법從法
(4) 절법折法
(5) 속법屬法
6) 보사법
(1) 형기보사법
(2) 자모보사子母補瀉
(3) 노는 자를 보한다勞則補其子
(4) 보사상겸법
(5) 먼저 허를 보한다泄其邪先補其虛
(6) 보법의 종류와 장단점
① 보법의 종류
② 보법이 해害가 되는 경우
③ 보補할 수 없는 네가지 병
7) 사계절 대응치법
8) 시금·경금·병금·약금
(1) 시금時禁
(2) 경금經禁
(3) 병금病禁
(4) 약금藥禁
9) 위기胃氣보호법
10) 汗下할 때 주의사항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