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발명/발견
· ISBN : 9791195987337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17-02-25
책 소개
목차
제1장. 토마스 에디슨의 시련과 도전
1-1. 토마스 에디슨의 어린 시절과 청력을 잃은 사유
1-2. 토마스 에디슨과 그에게 영향을 끼친 위대한 과학자들
1-3. 왜? '토마스 에디슨'에게 매혹(魅惑)되고, 열광(熱狂)하게 되었나??
1-4. 토마스 에디슨의 최대 라이벌과 에디슨이 가장 존경하는 스승
제2장. 토마스 에디슨이 만든 발명이라는 숲, 그의 연구소 및 위대한 작품에 도전한 사람들
2-1. 토마스 에디슨이 평생 집중했던 10가지 발명 분야
2-2. 토마스 에디슨이 만든 발명이라는 숲 조망
2-3. 토마스 에디슨의 최초 발명품과 20~30대 최초 발명품
2-4.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땀으로 이루어진다."의 의미
2-5. 토마스 에디슨의 꿈을 담은 제1~5 연구소
2-6. 천재(天才)와 함께 위대한 작품(作品)에 도전한 사람들
제3장. 미국의 특허정책의 변화와 에디슨 특허를 바탕으로 시작된 사업들
3-1. 미국!!, 발명가와 특허권자의 천국(天國)
3-2. 미국의 대통령과 특허정책의 변화
3-3. 에디슨의 특허를 바탕으로 새롭게 시작된 사업들
제4장. 사람과 사람 사이의 찬란한 연결을 꿈꾸다
4-1. 토마스 에디슨의 최초 발명품과 모스의 전신기
4-2. 모스 전신기의 불편함이 눈에 들어오다
4-3. 토마스 에디슨의 열정을 담은 전신기 구조 발명
4-4. 사람과 사람 사이의 찬란한 연결을 이루는 전신기
4-5. 거리의 한계를 극복하는 전신기
4-6. 전신 기술로부터 시작된 코넬의 꿈과 에디슨의 사무기기 발명
4-7. 한발 늦게 특허 출원한 에디슨의 전화기 발명
4-8. 에디슨의 전신 및 전화기 특허를 기반으로 성장된 기업들
부록. 토마스 에디슨의 대표 발명
저자소개
책속에서
1-3. 왜? 『토마스 에디슨』에게 매혹(魅惑)되고,
열광(熱狂)하게 되었나??
이 책을 쓰기위하여 토마스 에디슨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수많은 과학자들을 조사(調査)하게 되었다. 특히 1900년(20세기) 이전, 토마스 에디슨에게 영향을 끼친 전기(또는 전자) 공학 분야의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면모(面貌)를 살펴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표 1-1에서 토마스 에디슨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학문의 스승이며, 동시에 1900년 이전에 전기(電氣) 분야의 대표적인 과학자들 대부분은 미국이 아닌 유럽의 과학자라는 점이다. 순수한 미국 출신의 과학자로서 눈에 들어오는 한 사람은 바로 코일(또는 인덕터)의 단위[H]로 사용되는 헨리(Joseph Henny)밖에 없는 것 같다.
필자(筆者)는 대학에 입학하여 학부(學部)부터 박사(博士)까지 전기공학(電氣工學)을 공부하였고, 공학박사 학위취득을 위하여 수많은 외국 논문을 보았지만, 이의 대부분은 미국에서 발표된 논문이었다. 하지만, 학부(學部)과정에서 전공(專攻) 시험을 보기위하여 수없이 공부했었던, 대부분의 전기(電氣) 법칙과 전기(電氣)의 단위가 거의 대부분 유럽의 과학자라는 것에 이 책을 집필(執筆)하면서 새롭게 인식(認識)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분명한 몇 가지 사실을 인식(認識)할 수 있는데,
1) 전기(電氣) 분야의 과학발전에 공헌(貢獻)한 세계적인 과학자의 공로를 기념하여 1900년 이전의 과학자의 경우 전기(또는 전자) 공학의 기본 단위로 명명(命名)하였고, 1901년 이후에는 노벨상 1901년부터 지금까지 물리, 화학 등 과학 기술과 문학, 평화 등 인류복지를 위해 지대한 공헌(貢獻)을 이룬 사람에게 수여한 20세기를 대표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상(賞)이다.
을 수여하였다.
2) 1900년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과학의 중심(中心)은 바로 미국이 아니라 유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1900년을 기준을 달라진 점
ㆍ 1900년 이전 : 과학의 중심(中心)은 유럽,
과학발전에 공헌한 과학자의 이름을 단위로 명명(命名)
ㆍ 1900년 이후 : 과학의 중심(中心)은 미국,
과학발전에 공헌한 과학자에게 노벨상 수여
그렇다면 이제 이 책을 읽는 독자(讀者)에게 정말 중요한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왜(Why)??
1900년을 기준으로 과학의 중심(中心)은 유럽에서 대서양을 건너서 미국으로 이동하게 되었을까??
2-5. 토마스 에디슨의 꿈을 담은 제1~5 연구소
토마스 에디슨의 수많은 발명품은 바로 그의 상상(想像) 속에서 시작되었고, 그의 상상력은 바로 그가 만든 연구소에서 수많은 책들과 실험 속에서 출발되었고 완성되었다. 필자(筆者)가 보기에 에디슨은 평생 5개의 연구소를 만들었다. "헉, 에디슨이 5개나 연구소를 만들었나?"라고 생각하는 독자(讀者)분도 있겠지만, 그가 만든 5개의 연구소를 지도에 표시하면 그림 2-4와 같다.
ㆍ 제1 연구소: 1853년~1858년(에디슨 6세~11세), 에디슨의 오하이오(Ohio) 주(州) 밀란(Milan) 집 지하실 연구소
ㆍ 제2 연구소: 1858년~1859년(에디슨 11세~12세), 에디슨의 미시간(Michigan) 주(州) 포트휴런(Port Huron) 역과 디트로이트(Detroit) 역을 운행하는 기차 안 연구소
ㆍ 제3 연구소: 1876년~1887년(에디슨 29세~40세), 에디슨의 뉴저지(New Jersey) 주(州) 멘로 파크(Menlo park) 연구소
ㆍ 제4 연구소: 1887년~1931년(에디슨 40세~88세), 에디슨의 뉴저지(New Jersey) 주(州) 웨스트 오렌지(West Orange) 연구소
ㆍ 제5 연구소: 1903년~1931년(에디슨 56세~88세), 플로리다(Florida) 주(州) 포트 마이어스(Fort Myers) 에디슨-포드 겨울 연구소
그림2-6은 토마스 에디슨의 최초 연구소는 에디슨의 태어난 집의 지하실 연구소로서, 에디슨의 나이 6~11살에 에디슨이 꿈꾸던 연구소이며, 특히 빨간색 벽돌 건물 아래의 밝은 노란-회색 지하실 부분이 제1 연구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