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공학/수업설계
· ISBN : 9791195989232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머 리 말
워크북 활용 안내
차 례
파트 I: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워밍업
1. 평생교육의 기본 개념들
1) 평생교육 개념 연습 1
2) 평생교육 개념 연습 2
3) 평생교육 개념 연습 3
4) 평생교육 개념 연습 4
5) 평생교육 개념 연습 5
6) 평생교육 개념 연습 6
7) 평생교육 개념 연습 7
8) 평생교육 개념 연습 8
2. 학교교육과 평생교육의 차이점을 생각해 봅시다.
3.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유를 생각해 봅시다.
4.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학습자들이 참여하는 이유를 생각해 봅시다.
5.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은 왜 필요할까요?
6.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의 질관리의 필요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7. 최근 유행하는 프로그램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8. 평생교육사의 역할은 어디까지 일까요?
9. 개발을 기획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시장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10. 평생교육 프로그램 벤치마킹
1) 평생교육의 이념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2) 평생교육기관의 운영취지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3) 학습자들의 요구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4) 학습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5) 교육과정의 구성이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6) 교육내용이 정확하고 최신내용인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7) 교육과정의 운영이 유연한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8) 학습자들의 학습방식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9) 학습의 질 관리 체제가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10)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상태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아봅시다.
파트 II: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전
1. 프로그램의 아이디어를 적는다.
2. 학습자 요구를 파악한다.
3. 학습자 눈높이를 파악한다.
4. 교육내용을 선정한다.
5. 교육방법의 전략을 결정한다.
6. 과정 원고를 구성한다.
7. 미시설계를 실행한다.
8. 프로그램 운영계획을 수립한다.
9. 프로그램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10. 홍보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파트 III: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산출물 사례 연습
1. 프로그램 개요
2. 학습자 요구
3. 학습자 눈높이
4. 교육방법 중시설계
5. 교육방법 미시설계
6. 프로그램 유연성 체크리스트
7. 학습의 질 관리
8. 프로그램 개발 비용 산정
9. 교수-학습과정안
찾 아 보 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평생교육사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고자 하는 평생교육 전문가들에게 프로그램 개발이 처음부터 쉬운 업무는 아니다. 대개의 경우 강사를 섭외하고 강의를 배치하는 것으로 평생교육을 실시한다고 생각하기 쉬우며 누구나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평생교육사의 전문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업무이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풍요롭고 멋있는 삶을 지향하는 평생교육은 프로그램을 통해 실현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충실성은 곧 해당 평생교육 기관이 제공하는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과 직결된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공익적 가치를 추구하며 발전하지만 최근에는 수익성을 전제로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등장하면서 질 높은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증가되는 것도 현실이다.
본서는 대학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이 보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핵심 포인트를 중심으로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워크북이다. 대학에서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수업이 이론적 설명 위주이거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실무적 질문 없이 단순 안내에 그치지 않도록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자의 관점에서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이 본서를 주교재로 활용하면서 학생들이 개발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부교재로 사용할 경우에는 주교재의 진도를 따라가면서 필요시 선택적으로 관련 부분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교수자에 따라서 나름의 독특한 방법론으로 수업을 전개할 수 있지만 본서가 제공하고자 했던 실제적 프로세스와 핵심 포인트들은 학생들이 한 번 쯤은 경험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물론, 워크북 형태로서 기존 교재들처럼 이론적 설명은 시도하지 않았고 또 교수자들이 보기에 미흡한 점들도 있을 수 있지만 앞으로 현장의 활용을 통해서 개선해 갈 예정이다.
본 워크북이 안내하는 핵심 포인트들을 참조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보다 능동적이고 실무적인 마인드로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습득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교수자들은 필요에 따라서 본서에서 제시하는 항목들이나 내용들을 자신만의 견해에 따라 가감 또는 수정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