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육아법/육아 일반
· ISBN : 9791196154479
· 쪽수 : 258쪽
· 출판일 : 2018-12-1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육아의 안녕을 묻다
제1장 엄마는 육아의 기본을 세워라
육아는 출산보다 더한 고통의 연장이다
육아의 반이다, 감정을 조절하는 일(上)
육아의 반이다, 감정을 조절하는 일(下)
육아의 주도권은 반드시 엄마가 가져라
육아의 기본은 ‘존중’에 있다
나의 사랑과 통제 비율은 몇 대 몇?
육아 라포를 형성하라
아이들에게 행동의 ‘한계 영역’을 제시하라
나의 육아 방어기제를 인지하라
내가 가진 말투들을 재점검해보자
육아 매직을 경험케 하는 ‘I message’ 대화법
내가 가진 열등감과 질투에 대해
나의 부족함을 아이를 통해 보상받으려 하지 말자
엄마의 학습 소신이 아이의 행복 지수를 높인다
더 나은 엄마로 나아가는 방법? 사과!
긍정이 별건가?
나만의 육아 스트레스 처방전을 마련하라
엄마의 경험이 육아에 관한 생각을 바꾼다
존중받는 엄마, 존중하는 사회가 훌륭한 아이를 키운다
제2장 아이는 성장 중이다
실수해도 괜찮아
아이의 능력을 키우는 건 실력 아닌 용기
아이의 기회를 엄마가 가로채지 마라
공부보다는 인성 교육이 우선이다
육아의 중심에서 사람의 가치를 논하다
아이는 엄마의 욕망을 욕망한다
자존감의 기초가 되는 자아정체성
세계화 시대, 국가 정체성도 챙기자
어린 시절의 결핍은 어른이 되어 튀어나온다
학습에도 기분 좋은 속도가 있다
판단하지 말자, 아이는 성장 중이다
아이에게 경험은 최고의 스승이다
괜찮아, 배우면 돼
가족 규칙으로 아이의 책임감을 키워라
It’s Okay, I am Okay
바람 잘 날 없다. 형제간의 갈등!
제3장 아빠는 육아의 변방이 아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당연함
나만 애 엄마냐? 너도 애 아빠다
육아하지 않는 아빠, 참 나쁘다
내 남편은 Father인가? Farmer인가?
남편은 자신의 어릴 적 기억으로 육아한다
남편이 육아에 참여할 수 있게 빈틈을 만들어라
육아의 아빠 부재를 부정적으로 여기는 미국 사회
육아 중 찾아오는 불청객, 권태기
부부관계는 아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열쇠다
좋은 관계 유지를 위해 서로의 말투를 점검하라
제4장 시댁으로부터 독립은 만세다
행복한 가정을 위해 시댁으로부터 독립하라
시댁 일은 남편을 전면에 내세워라
욕먹어도 괜찮아, 시댁이야
제5장 행복도 관계에서 비롯된다
비슷한 육아관과 성향을 지닌 사람을 만나라
세상에 당연한 호의는 그 어디에도 없다
너와 내가 탄 시소가 균형을 이룰 때 ‘우리’가 된다
경청하라, 공감하라, 그리고 판단하지 마라
내가 가진 좁은 사각 프레임을 벗어던져라
호감과 비호감 사이
바보처럼 살면 인생에서 승리한 것이니라
내가 아프면 남도 아프고, 남이 아프면 나도 아프게 된다
에필로그 육아하는 귀한 시간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막연하게나마 미국 엄마들은 아이에게 최대한의 자유를 허용하고 조건 없는 사랑을 쏟아부어 아이들이 마냥 자유분방하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막상 미국에 오니 나의 예상과는 달리 미국 엄마들은 아이들 행동 경계를 분명히 해주고, 아이가 그것을 넘어서면 “지금 이 행동은 전혀 괜찮지 않아.”라는 말로 제재를 가했다. 아이가 엄마 말을 따르지 않고 떼를 쓴다 해도 끝까지 절제된 어투로 “아무리 네가 그런다고 해도 이 행동은 안 되는 거야.”라고 말하면서 아이가 제대로 행동할 때까지 기다렸다. 마침내 아이가 엄마의 요구에 따르면서 상황이 마무리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 <육아의 주도권은 반드시 엄마가 가져라> 중에서
나는 한국에서 아이들을 상전처럼 떠받들며 원하는 대로 다 맞춰주다가도 내가 한계에 부딪히는 순간 욱하는 패턴으로 육아를 반복해왔다. 그런데 내가 미국에 와서 처음 배운 것이 아이를 훈육할 때는 진정한 어른으로서 주도권을 가지고 해야 한다는 거였다. 안 되는 것은 안 된다고 일러주고 그 부분에 있어서 단호하게 선을 그을 수 있어야 욱하는 식의 육아 패턴이 반복되지 않는다. 엄마라면 아이에게 끌려다니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면서 아이를 양육할 수 있어야 더 나은 육아 환경이 조성된다. 이를 두고 정이 없네, 나쁜 엄마네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오히려 아이를 어린 왕으로 키워 고삐 풀린 망아지처럼 행동하게 만드는 것이 오히려 더 나쁜 엄마가 되는 길임을 기억하자.
- <아이들에게 행동의 ’한계영역’을 제시하라> 중에서
미국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기본적 인성 교육을 받고 자라기 때문에 어른에 대한 공경심과 타인에 대한 기본 예의가 몸에 배어있다. 또 밝게 웃으며 인사하기, 감사와 미안함의 표현을 잘 하도록 어릴 때부터 교육을 철저히 받는다. 아이가 어른으로부터 호의를 받으면 엄마는 옆에서“이럴 땐 뭐라고 말해야 하지?”라고 묻는다. 그러면 아이는 “고맙습니다.”고 말한다. 엄마는 아이가 자신의 말에 따르면 이를 당연하게 여기는 것이 아니라 “엄마 말을 들어줘서 고마워.”라고 피드백을 해준다. 엄마가 먼저 매사에 감사와 미안함의 표현을 자주 하면 아이도 어느 순간 그런 표현을 적재적소에 잘 하는 아이로 자라게 된다.
- <공부보다는 인성 교육이 우선이다>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