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 데이터베이스 구축
· ISBN : 9791196203726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8-04-26
책 소개
목차
1부 카프카를 시작하며
1장 카프카란 무엇인가
1.1 카프카의 탄생 배경
1.2 카프카의 동작 방식과 원리
1.3 카프카의 특징
1.4 카프카의 확장과 발전
1.5 정리
2장 카프카와 주키퍼 설치
2.1 카프카 관리를 위한 주키퍼
2.2 주키퍼 설치
__2.2.1 주키퍼 다운로드
__2.2.2 주키퍼 실행
2.3 카프카 설치
__2.3.1 카프카 다운로드
__2.3.2 카프카 환경설정
__2.3.3 카프카 실행
2.4 카프카 상태 확인
__2.4.1 TCP 포트 확인
__2.4.2 주키퍼 지노드를 이용한 카프카 정보 확인
__2.4.3 카프카 로그 확인
2.5 카프카 시작하기
2.6 정리
2부 기본 개념과 운영 가이드
3장 카프카 디자인
3.1 카프카 디자인의 특징
__3.1.1 분산 시스템
__3.1.2 페이지 캐시
__3.1.3 배치 처리
3.2 카프카 데이터 모델
__3.2.1 토픽의 이해
__3.2.2 파티션의 이해
__3.2.3 오프셋과 메시지 순서
3.3 카프카의 고가용성과 리플리케이션
__3.3.1 리플리케이션 팩터와 리더, 팔로워의 역할
__3.3.2 리더와 팔로워의 관리
3.4 모든 브로커가 다운된다면
3.5 카프카에서 사용하는 주키퍼 지노드 역할
3.6 정리
4장 카프카 프로듀서
4.1 콘솔 프로듀서로 메시지 보내기
4.2 자바와 파이썬을 이용한 프로듀서
__4.2.1 메시지를 보내고 확인하지 않기
__4.2.2 동기 전송
__4.2.3 비동기 전송
4.3 프로듀서 활용 예제
4.4 프로듀서 주요 옵션
4.5 메시지 전송 방법
__4.5.1 메시지 손실 가능성이 높지만 빠른 전송이 필요한 경우
__4.5.1 메시지 손실 가능성이 적고, 적당한 속도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__4.5.2 전송 속도는 느리지만, 메시지 손실이 없어야 하는 경우
4.6 정리
5장 카프카 컨슈머
5.1 컨슈머 주요 옵션
5.2 콘솔 컨슈머로 메시지 가져오기
5.3 자바와 파이썬을 이용한 컨슈머
5.4 파티션과 메시지 순서
__5.4.1 파티션3개로 구성한 peter-01토픽과 메시지 순서
__5.4.2 파티션1개로 구성한 peter-02토픽과 메시지 순서
5.5 컨슈머 그룹
5.6 커밋과 오프셋
__5.6.1 자동 커밋
__5.6.2 수동 커밋
__5.6.3 특정 파티션 할당
__5.6.4 특정 오프셋부터 메시지 가져오기
5.7 정리
6장 카프카 운영 가이드
6.1 필수 카프카 명령어
__6.1.1 토픽 생성
__6.1.2 토픽 리스트 확인
__6.1.3 토픽 상세보기
__6.1.4 토픽 설정 변경
__6.1.5 토픽의 파티션 수 변경
__6.1.6 토픽의 리플리케이션 팩터 변경
__6.1.7 컨슈머 그룹 리스트 확인
__6.1.8 컨슈머 상태와 오프셋 확인
6.2 주키퍼 스케일 아웃
6.3 카프카 스케일 아웃
6.4 카프카 모니터링
__6.4.1 카프카 JMX 설정 방법
__6.4.2 JMX 모니터링 지표
6.5 카프카 매니저
__6.5.1 카프카 매니저 설치
__6.5.2 카프카 클러스터 등록
__6.5.3 카프카 매니저 메뉴 설명
6.6 카프카 운영에 대한 Q&A
6.7 정리
3부 카프카의 확장과 응용
7장 카프카를 활용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7.1 카프카를 활용한 데이터 흐름도
7.2 파일비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__7.2.1 파일비트 설치
__7.2.2 파일비트 설정
__7.2.3 카프카 토픽의 메시지 유입 확인
7.3 나이파이를 이용해 메시지 가져오기
__7.3.1 나이파이 설치
__7.3.2 나이파이 설정
__7.3.3 나이파이를 이용한 컨슈머 설정
7.4 실시간 분석을 위해 엘라스틱서치에 메시지 저장
__7.4.1 엘라스틱서치 설치
__7.4.2 엘라스틱서치 설정
__7.4.3 나이파이를 이용해 엘라스틱서치로 데이터 전송
7.5 키바나를 이용해 엘라스틱서치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__7.5.1 키바나 설치
__7.5.2 키바나 설정
7.6 현재의 토픽을 이용해 새로운 토픽으로 메시지 재생산
__7.6.1 나이파이를 이용한 카프카 컨슈머 추가
__7.6.2 나이파이를 이용한 토픽별 라우팅 작업
7.7 정리
8장 카프카 스트림즈 API
8.1 스트림 프로세싱 기초
__8.1.1 스트림 프로세싱과 배치 프로세싱
__8.1.2 상태 기반과 무상태 스트림 처리
8.2 카프카 스트림즈
__8.2.1 카프카 스트림즈의 특징과 개념
__8.2.2 카프카 스트림즈 아키텍처
8.3 카프카 스트림즈를 위한 환경설정
8.4 파이프 예제 프로그램 만들기
8.5 행 분리 예제 프로그램 만들기
8.6 단어 빈도수 세기 예제 프로그램 만들기
8.7 정리
9장 카프카 SQL을 이용한 스트리밍 처리
9.1 KSQL의 등장 배경
9.2 KSQL과 카파 아키텍처
9.3 KSQL 아키텍처
__9.3.1 KSQL 서버
__9.3.2 KSQL 클라이언트
9.4 도커를 이용한 KSQL 클러스터 설치
9.5 KSQL을 이용한 스트림 분석
__9.5.1 데이터 준비
__9.5.2 기본 스트림과 테이블 생성
__9.5.3 쿼리를 이용한 새로운 스트림과 테이블 생성
9.6 정리
10장 그 밖의 클라우드 기반 메시징 서비스
10.1 구글의 펍/섭 서비스 소개
10.2 구글의 펍/섭 서비스 연동
__10.2.1 구글 SDK 설치
__10.2.2 구글 펍/섭 CLI로 토픽 사용
10.3 펍/섭 파이썬 SDK 사용하기
__10.3.1 펍/섭 파이썬 라이브러리 설치
__10.3.2 구글 서비스 계정 인증정보 생성
__10.3.3 파이썬 SDK 사용하기
10.4 아마존 키네시스 서비스 소개
10.5 아마존 키네시스 연동
__10.5.1 아마존 CLI 설치
__10.5.2 아마존 CLI로 키네시스 사용하기
10.6 아마존 키네시스 자바 SDK 사용하기
__10.6.1 컨슈머 코드 예제
__10.6.2 프로듀서 코드 예제
10.7 카프카와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비교
10.8 정리
부록 도커를 이용한 카프카 설치
A.1 도커 설치
__A.1.1 리눅스 버전 도커 설치
__A.1.2 맥 버전 도커 설치
__A.1.3 윈도우 버전 도커 설치
A.2 도커 버전 카프카 설치
책속에서
클라우드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컴퓨팅 리소스는 더이상 영속적이지 않다. 부지불식간에 사라질 수도 있고, 자동 확장(auto-scale)에 의해 몇 배 또는 몇십 배 이상 갑자기 늘어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를 이루는 컴포넌트들은 예전처럼 '견고한 결합(strongly coupled)'으로 연결될 수 없다. 단적인 예를 하나 들자면, 현대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고수해 직접 통신하게 되면, 통신을 하던 서버가 언제든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근래의 컴퓨팅 통신은 직접 통신 대신 비동기 메시징(Asynchronous Messaging)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간접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를 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