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91196318512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19-07-01
목차
제1부 IMF 잔디관리 기본편
제1장 잔디밭 관수와 토양수분의 이해
1. 잔디밭에서 수분흡수 및 배출 26
(1) 뿌리의 수분흡수 26
(2) 기공의 수분배출: 증산작용 28
2. 수분스트레스와 관수관리 29
(1) 수분스트레스의 원인 29
(2) 수분부족 시 나타나는 위조현상 29
(3) 수분과다 시 나타나는 현상 32
3. 식물과 수분관계 33
(1) 수분스트레스와 잔디의 내성 33
(2) 근계 발달과 내건성 관계 34
(3) 내서성과 내건성 그리고 잔디 적응력 36
(4) 수분부족과 건조스트레스 38
(5) 효율적인 관수관리와 수분이용 40
4. 토양과 수분관계 43
(1) 토양의 투수성과 보수력 43
(2) 투수와 대공극의 역할 45
(3) 토양수분 저장량과 유효수분 함량 46
5. 잔디밭에서 수분함량 측정법 48
(1) 직접 측정법 49
(2) 간접 측정법 50
제2장 잔디밭 관수 관리의 실무
1. 잔디밭 관수시기 53
2. 잔디밭의 관수량 54
(1) 토성과 관수량 54
(2) 투수속도와 관수량 55
(3) 대취층과 이질층 56
3. 대취축적, 뿌리발달과 관수프로그램 57
(1) 대취층 발달과 관수관리 57
(2) 뿌리발달과 관수관리 57
(3) 시린징 관수 테크닉 58
4. 잔디밭 관수계획 59
(1) 관수원 59
(2) 잔디용수의 수질검사 60
(3) 관수시스템 63
(4) 관수시기 68
5. 잔디밭 관수프로그램의 실제 69
(1) 연구포장의 관수프로그램 사례 69
(2) 경기장의 관수프로그램 사례 71
제3장 잔디예초, 광합성 및 생리특성의 이해
1. 잔디예초의 목적 73
(1) 다양한 예초 목적 73
(2) 잔디 용도별 주요 예초 목적 74
(3) 다수확 잔디의 예초 목적 74
2. 관리체계수준과 예초프로그램 76
(1) 고관리 지역의 예초관리 특성 76
(2) 중관리 지역의 예초관리 특성 76
(3) 저관리 지역의 예초관리 특성 77
(4) 관리체계수준의 변화 77
3. 예초, 광합성 및 생리특성 변화 79
(1) 잔디 지상부의 생육 촉진 80
(2) 탄수화물 이용도 증가와
저장 탄수화물의 감소 81
(3) 지하부 뿌리의 생장력 감소 83
4. 예초와 잔디의 환경적응력 83
(1) 예초와 환경적응성 변화 83
(2) 한지형 잔디의 환경적응력 85
제4장 잔디밭 예초 관리의 실무
1. 잔디예고와 벤치세팅 87
(1) 잔디예고의 정의 87
(2) 실제 예초 높이 88
2. 예고 결정 시 고려 요인 89
(1) 잔디 종류 및 생육습성 89
(2) 생리적인 요인 93
(3) 잔디이용목적 및 관리체계수준 94
3. 잔디밭의 예초회수 96
(1) 잔디 예초와 ⅓ 원칙 이해 96
(2) 예초회수의 결정 97
(3) 예초회수와 스캘핑 98
(4) 예초회수와 생리적 변화 100
4. 잔디밭 예지물 관리 101
(1) 예지물의 특성 101
(2) 예지물의 처리방법: 제거 또는 환원 103
(3) 예지물 제거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 105
5. 잔디문양 106
(1) 잔디문양의 특성 106 (2) 잔디문양의 품질 108
(3) 초종간 예초 품질 비교 109
6. 잔디밭 예초장비 111
(1) 예초장비의 선택 111
(2) 로터리 모어의 특성 113
(3) 릴형 모어의 특성 115
(4) 예초장비의 동력 방식 117
7. 잔디밭 예초프로그램의 실제 118
(1) 연구포장의 예초프로그램 사례 118
(2) 경기장의 예초프로그램 사례 120
제5장 잔디밭 시비와 필수 영양원소
1. 잔디 생육과 필수 영양원소 123
(1) 필수 다량원소 124
(2) 필수 미량원소 124
(3) 기타 원소 125
2. 필수 영양원소의 식물 체내 농도 126
(1) 필수 다량원소의 농도 126
(2) 필수 미량원소의 농도 126
3. 필수 영양원소의 역할 127
(1) 자급자족 원소의 역할: C, H, O 128
(2) 비료 3요소의 역할: N, P, K 129
(3) 기타 다량원소의 역할 130
4. 필수 영양소의 공급 131
(1) 양분흡수와 토양산도 132
(2) 양분흡수: 산성토양과 Al의 용해성 133
(3) 양분흡수와 근계 134
5. 필수원소의 증상 136
(1) 필수원소의 전이성과 결핍증상 부위 136
(2) 필수 다량원소의 증상 137
(3) 필수 미량원소의 증상 139
(4) 영양원소 결핍 시 시비관리 140
제6장 잔디밭 시비프로그램과 비료
1. 비료의 정의 및 비료요소 141
(1) 비료의 정의 141
(2) 비료, 보통비료, 부산물 비료의 차이점 142
(3) 비료요소: 3대, 4대, 5대 요소 142
2. 비료의 분류 143
(1) 제법 및 성상 등에 의한 구분 143
(2) 화학적 및 생리적 반응에 의한 구분 146
(3) 시비에 의한 구분 148
(4) 비료관리법(공정규격)에 의한 분류 149
(5) 유통구조에 따른 분류 151
3. 비료의 성질 및 반응 151
(1) 비료의 성질 151
(2) 비료의 반응 154
4. 비료의 흡수율과 토양 중 변화 158
(1) 비료의 흡수율 158
(2) 비료 3 요소의 토양 중 변화 160
5. 비료의 종류 162
A. 질소질 비료 162
(1) 일반적인 특성 162
(2) 속효성 비료: 요소의 특성 164
(3) 속효성 비료: 유안의 특성 166
(4) 완효성 질소질 비료: CDU, IBDU, UF 168
B. 인산질 비료 171
(1) 일반적인 특성 171
(2) 과석(과인산 석회) 173
(3) 중과석(중과인산 석회) 174
(4) 용과린(용성인비+과석) 174
(5) 용성인비(용성고토비료) 175
C. 칼륨질 비료 177
(1) 일반적인 특성 177
(2) 염화칼륨 178
(3) 황산칼륨 179
(4) 황산칼륨고토 180
6. 복합비료의 종류 및 특성 180
(1) 제1종 복합비료 181
(2) 제2종 복합비료 182
(3) 제3종 복합비료 183
(4) 제4종 복합비료 183
제7장 잔디밭 토양분석과 시비계획
1. 토양분석의 중요성 187
2. 토양분석 회수 및 시기 189
(1) 토양분석 회수 189
(2) 토양샘플의 채취시기 189
(3) 토양샘플 채취 시 유의사항 189
3. 채토방법 및 분석시료 190
(1) 채토방법 190
(2) 분석시료 190
4. 토양분석 결과 192
(1) 토양분석 시 진단항목 193
(2) 토양분석 결과의 활용 193
5. 잔디밭의 토양분석사례 194
(1) 잔디 토양분석 결과 194
(2) 잔디밭 토양 영양분 상태와 시비량 결정 196
(3) 잔디밭 시비프로그램 처방 196
(4) 잔디밭 시비 시 유의사항 197
제8장 잔디밭 시비 관리의 실무
1. 적절한 비료 선택 199
(1) 질소질 비료의 시비 200
(2) 인산 비료의 시비 202
(3) 칼륨 비료의 시비 202
(4) 미량원소의 시비 203
2. 시비량 및 시비시기 203
(1) 잔디 초종별 기준 시비량 204
(2) 잔디생육 상태와 시비 206
(3) 잔디환경 조건과 시비 208
(4) 잔디관리, 기대품질 및 관리체계와 시비 209
3. 잔디밭 시비방법 211
(1) 입상 알 비료의 시용 212
(2) 액비 시용 215
4. 잔디밭 엽면시비 217
(1) 엽면 살포의 특징 217
(2) 엽면 살포 농도와 흡수 218
(3) 엽면 살포의 효과와 주의사항 219
5. 잔디밭 시비프로그램의 실제 220
(1) 연구포장의 시비프로그램 사례 221
(2) 경기장의 시비프로그램 사례 221
제2부 IMF 잔디관리 응용편
제9장 잔디밭과 대취층 관리
1. 대취의 정의 225
(1) 대취층 225
(2) 위장 대취층과 매트층 227
2. 대취층의 발달 228
(1) 잔디생장 속도와 대취층 발생 228
(2) 토양 미생물 분해와 대취층 230
3. 잔디 초종, 품종 및 조직과 대취층 형성 능력 232
(1) 초종 및 품종 차이 232
(2) 잔디 조직 차이 235
4. 잔디밭 대취층의 특성 236
(1) 대취층의 장점 237
(2) 대취층의 단점 238
5. 대취층 조사 및 제거방법 242
(1) 대취층의 조사방법 242
(2) 대취층 제거방법 243
6. STM 컨셉과 대취층 발생 속도 조절 248
(1) STM 컨셉과 대취층 249
(2) IMF 관리와 대취층 발달 249
(3) 농약 및 지렁이와 대취층 발달 251
(4) IMF 종합관리 252
제10장 그늘 지역의 잔디밭 관리
1. 음지 환경과 잔디생육 254
(1) 그늘 지역 잔디의 환경 254
(2) 음지 환경에서 잔디생육 256
2. 전천후 경기장과 잔디생육 257
(1) 경기장의 설계컨셉 257
(2) 지붕구조와 그라운드 남쪽의 생육 특성 261
3. 내음성 잔디의 선택 262
(1) 한지형 잔디의 내음성 차이 262
(2) 난지형 잔디의 내음성 차이 263
(3) 내음성 잔디: 화인 훼스큐류 263
4. 국내 기후 조건에서 내음성 잔디 264
(1) 내음성 지수 비교 265
(2) 국내 기후 조건에서 내음성 우열 비교 266
5. 음지 환경과 잔디밭 품질 개선 267
(1) 광선 차단이 심한 지역 267
(2) 광선 차단이 적은 지역 267
6. 음지 환경에서 잔디밭 관리 268
(1) 잔디관리 268
(2) 수목관리 270
제11장 잔디밭의 품질 저해 요인 및 개선
1. STM 컨셉과 잔디품질 저해 요인 273
(1) 토양과 잔디품질 저하 273
(2) 초종과 잔디품질 저하 275
(3) 관리와 잔디품질 저하 275
(4) 기타 잔디품질 저해 요인 276
2. 경사지 276
(1) 경사지 잔디밭의 특성 276
(2) 경사지에 적합한 잔디 278
(3) 경사지의 잔디밭 품질 개선 280
3. 답압과 토양고결 282
(1) 잔디마모 282
(2) 토양고결 284
(3) 토양 고결화의 개선 285
4. 이끼류 287
(1) 이끼류의 발생 287
(2) 이끼류의 개선 287
5. 조류 288
(1) 조류의 발생 288
(2) 조류의 개선 289
6. 동절기 휴면 291
(1) 동절기 잔디의 엽색 품질 291
(2) 동절기 잔디의 색상 향상 291
(3) 착색제 사용 293
7. 잔디밭의 갱신 294
(1) 갱신작업의 유형 295
(2) 전면 교체를 하는 경우 295
(3) 부분적인 개선을 하는 경우 296
(4) 잔디밭의 갱신 시기 297
(5) 잔디밭 갱신작업의 실례 297
제12장 토양 물리성 개선 및 갱신작업
1. 갱신작업의 특성 299
(1) 정의 299
(2) 갱신작업의 필요성 300
(3) 갱신작업의 종류 300
2. 코어링 301
(1) 코어링의 특성 301
(2) 코어링의 작동방식: 스푼형과 할로우형 302
(3) 코어링의 효과 305
(4) 코어링 작업효과의 극대화 307
(5) 코어링 갱신작업 시기 308
(6) 코어링의 회수 310
3. 슬라이싱 312
(1) 슬라이싱의 특성 312
(2) 슬라이싱의 효과 312
(3) 슬라이싱 용도 및 사용회수 315
4. 스파이킹 315
(1) 스파이킹의 특성 315
(2) 스파이킹의 효과 315
(3) 스파이킹 용도 및 사용회수 316
5. 버티컷팅 316
(1) 버티컷팅의 특성 316
(2) 버티컷팅의 목적 316
(3) 버티컷팅 작업 319
(4) 버티컷팅의 작업시기 321
(5) 버티컷팅 작업 후 회복 기간 323
6. 다짐작업 324
(1) 다짐작업의 효과 324
(2) 다짐작업 시 조건 325
(3) 롤러 325
7. 배토작업 327
(1) 배토작업의 특성 327
(2) 배토작업과 이질층 발생 328
(3) 배토사의 품질 요건 329
(4) 배토작업 프로세스 331
8. 매트 끌기 작업 333
(1) 매트작업의 일반적 특성 333
(2) 매트 끌기 작업 장비 334
제13장 잔디밭 관리장비
1. 관수장비 335
2. 예초장비 336
3. 살포장비 337
4. 운반장비 337
5. 갱신 및 기타장비 338
6. 보조용구 339
7. 일반도구 339
8. 수작업 도구 340
제14장 골프 코스의 잔디관리 시스템
1. High-level Cultural System: Green 343
A. 벤트그래스 그린의 관리시스템 343
(1) 벤트그래스 그린의 IMF 관리프로그램 343
(2) 벤트그래스 그린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44
(3) 벤트그래스 그린의 갱신작업 344
(4) 벤트그래스 그린의 기타 관리 345
B. 버뮤다그래스 그린의 관리시스템 345
(1) 버뮤다그래스 그린의 IMF 관리프로그램 345
(2) 버뮤다그래스 그린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46
(3) 버뮤다그래스 그린의 갱신작업 346
(4) 버뮤다그래스 그린의 기타 관리 347
2. Medium-level Cultural System: Tee 347
A. 벤트그래스 티의 관리시스템 347
(1) 벤트그래스 티의 IMF 관리프로그램 347
(2) 벤트그래스 티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48
(3) 벤트그래스 티의 갱신작업 348
(4) 벤트그래스 티의 기타 관리 349
B. 켄터키 블루그래스 티의 관리시스템 349
(1) 켄터키 블루그래스 티의 IMF 관리프로그램 349
(2) 켄터키 블루그래스 티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50
(3) 켄터키 블루그래스 티의 갱신작업 350
(4) 켄터키 블루그래스 티의 기타 관리 351
C. 버뮤다그래스 티의 관리시스템 351
(1) 버뮤다그래스 티의 IMF 관리프로그램 351
(2) 버뮤다그래스 티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52
(3) 버뮤다그래스 티의 갱신작업 352
(4) 버뮤다그래스 티의 기타 관리 353
D. 조이시아그래스 티의 관리시스템 353
(1) 조이시아그래스 티의 IMF 관리프로그램 353
(2) 조이시아그래스 티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54
(3) 조이시아그래스 티의 갱신작업 354
(4) 조이시아그래스 티의 기타 관리 355
3. Medium-level Cultural System: Fairway 355
A. 벤트그래스 훼어웨이의 관리시스템 355
(1) 벤트그래스 훼어웨이의 IMF 관리프로그램 355
(2) 벤트그래스 훼어웨이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56
(3) 벤트그래스 훼어웨이의 갱신작업 356
(4) 벤트그래스 훼어웨이의 기타 관리 357
B. 켄터키 블루그래스 훼어웨이의 관리시스템 357
(1) 켄터키 블루그래스 훼어웨이의
IMF 관리프로그램 357
(2) 켄터키 블루그래스 훼어웨이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58
(3) 켄터키 블루그래스 훼어웨이의 갱신작업 358
(4) 켄터키 블루그래스 훼어웨이의 기타 관리 359
C. 버뮤다그래스 훼어웨이의 관리시스템 359
(1) 버뮤다그래스 훼어웨이의
IMF 관리프로그램 359
(2) 버뮤다그래스 훼어웨이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60
(3) 버뮤다그래스 훼어웨이의 갱신작업 360
(4) 버뮤다그래스 훼어웨이의 기타 관리 361
D. 조이시아그래스 훼어웨이의 관리시스템 361
(1) 조이시아그래스 훼어웨이의
IMF 관리프로그램 361
(2) 조이시아그래스 훼어웨이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62
(3) 조이시아그래스 훼어웨이의 갱신작업 362
(4) 조이시아그래스 훼어웨이의 기타 관리 363
4. Low-level Cultural System: Rough 363
(1) 러프지역의 IMF 관리프로그램 363
(2) 러프지역의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64
(3) 러프지역의 갱신작업 364
(4) 러프지역의 기타 관리 365
제15장 STM 잔디 컨셉과 구성 요소
1. STM 잔디 컨셉의 3 요소 368
2. STM 컨셉의 제1요소: Soil 369
(1) 골재선정 370
(2) 지반구조 결정 371
3. STM 컨셉의 제2요소: Turfgrass 372
(1) 잔디의 특성 및 유용성 373
(2) 잔디의 종류 및 원산지 373
(3) 잔디밭 품질 요소 376
(4) 잔디의 분류요인과 초종현황 377
(5) 잔디의 형태적 특성 379
4. STM 컨셉의 제3요소: Management 384
(1) Primary Practices: IMF 기본프로그램 385
(2) Secondary Practices: 갱신 및 관련 작업 386
(3) Pest Management: 잡초 및 병해충 방제법 388
부 록 / APPENDIX
▣ STM 관리전략 (I):
환경경영이 필요한 시대적 배경 405
▣ STM 관리전략 (II):
환경친화적인 저공해 잔디관리 전략 406
▣ 다양한 지반구조 407
▣ 잔디관리장비 408
411
참고문헌 / REFERENCES
찾아보기 / INDEX
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