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물과 토양비료

식물과 토양비료

(개정판)

김경남 (지은이)
케이에스출판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0% 0원
0원
25,2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식물과 토양비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물과 토양비료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91196318505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8-03-01

목차

제1장 식물과 환경

1. 기상환경 19
(1) 온도환경 19
(2) 광환경 25
(3) 대기환경 31
(4) 대기습도 34
(5) 강수환경 35
2. 생물환경 40
(1) 토양생물 40
(2) 토양 미생물 42
(3) 토양 미생물의 역할 44
(4) 토양 소동물류 47
(5) 기타 47
3. 토양환경 50
(1) 토양의 물리적 환경 52
(2) 토양의 화학적 환경 52

제2장 토양의 개념과 토양생성

1. 토양의 정의 56
2. 토양의 생성 56
(1) 기후요인 58
(2) 생물요인 60
(3) 모재요인 61
(4) 지형요인 61
(5) 시간요인 61
3. 토양생성 요인간 상호작용 63

제3장 토양분류와 토양구조

1. 토양분류 65
(1) 생성론적 토양분류 65
(2) 형태론적 토양분류 66
2. 토양단면과 토양층위 70
3. 토양입단과 토양구조 71
(1) 토양입단 71
(2) 토양구조 74

제4장 토양의 삼상과 입경

1. 토양의 3상 75
(1) 토양 3상의 정의 75
(2) 토양 3상의 구성 76
(3) 식물생육과 토양 3상 77
2. 토양의 입경 78
(1) 토양의 입경구분 78
(2) 입경구분의 기준 78
(3) 스포츠 잔디밭 조성과 입경구분 79
3. 토양 입경과 물리성 관계 80
(1) 자갈 80
(2) 모래 80
(3) 미사 80
(4) 점토 81

제5장 토양의 물리적 특성

1. 토성 83
(1) 토성의 정의 83
(2) 토성의 결정 84
(3) 작물생육과 토성 85
(4) 지피식물과 토성 86
2. 토양수분 87
(1) 토양수의 종류 87
(2) 식물생육과 유효수분 87
(3) 위조점, 포장용수량 및 최대용수량 89
3. 토양공기 91
(1) 토양공기의 특성:
고습도와 고농도 CO2 92
(2) 토양공기의 변화 93
(3) 토양공기의 기능: 대사작용과 물질순환 94
(4) 통기성 불량과 작물생육 94
(5) 토양공기 순환 97
4. 토양온도 98
(1) 토양온도 변화: 수열과 방열 98
(2) 토양온도와 수분함량 101
(3) 토양온도와 미생물 활동 102
(4) 지피식물과 토양온도 102

제6장 식물 영양분과 토양산도

1. 토양반응과 토양산도 103
(1) 토양반응 103
(2) 토양산도 105
2. 식물생육과 산성토양 105
(1) 산성토양과 양분의 용해도 105
(2) 산성토양과 알루미늄 독성 106
3. 알칼리성 토양과 미량원소 결핍 108

제7장 토양의 화학적 특성

1. 토양 화학성과 관련 요소 109
2. 전기전도도 111
(1) EC 의미 111
(2) EC 기준치 111
(3) 염류집적과 생육장해 111
(4) 염류집적의 강도 112
3. 양이온 치환용량 114
(1) CEC 또는 BEC 의미 114
(2) 양이온의 교환 기작 115
(3) CEC, 보비력 및 식물생육 116
(4) CEC 함량이 높은 포장의 특성 118
4. 염기포화도 119
(1) 염기포화도의 의미 119
(2) 토양산도와 염기포화도 관계 119

제8장 식물생장과 영양원소

1. 식물생장과 필수 영양원소 121
(1) 필수 다량원소 122
(2) 필수 미량원소 122
(3) 기타 원소 123
2. 필수 영양원소의 식물 체내 농도 124
(1) 필수 다량원소의 농도 124
(2) 필수 미량원소의 농도 124
3. 필수 영양원소의 역할 125
(1) 자급자족 원소의 역할: C, H, O 126
(2) 비료 3요소의 역할: N, P, K 127
(3) 기타 다량원소의 역할 128
(4) 미량원소의 역할 129

제9장 필수 영양원소의 공급 및 증상

1. 필수 영양원소의 공급 131
(1) 토양산도와 양분흡수 132
(2) 양분흡수: 산성토양과 Al의 용해성 132
(3) 양분흡수와 근계 133
2. 필수원소의 증상 135
(1) 필수원소의 전이성과 결핍증상 부위 135
(2) 필수 다량원소의 증상 136
(3) 필수 미량원소의 증상 138
(4) 영양원소 결핍과 시비관리 139

제10장 비료의 정의 및 분류

1. 비료의 정의 141
(1) 비료의 정의 141
(2) 비료, 보통비료, 부산물 비료의 차이점 142
2. 비료요소: 3대, 4대, 5대 요소 142
3. 비료의 분류 143
(1) 제법 및 성상에 의한 구분 144
(2) 화학적 및 생리적 반응에 의한 구분 146
(3) 시비에 의한 구분 148
(4) 비료관리법(공정규격)에 의한 분류 149
(5) 유통구조에 따른 분류 151
4. 표준 시비량 151

제11장 비료의 성질, 흡수 및 변화

1. 비료의 성질 155
(1) 고결성 155
(2) 흡습성 155
(3) 휘산성 156
(4) 입자 수중 부상성 156
2. 비료의 반응 157
(1) 비료의 화학적 반응 158
(2) 비료의 생리적 반응 159
(3) 유기질 비료의 생리적 반응 161
3. 비료의 흡수율 162
(1) 흡수율 정의 162
(2) 비료의 토양 중 변화 163
(3) 비료 3요소와 흡수율 163
4. 비료 3요소의 토양 중 변화 163
(1) 질소(N)의 변화 163
(2) 인산(P)의 변화 165
(3) 칼륨(K)의 변화 165

제12장 질소질 비료의 종류 및 특성

1. 일반적인 특성 167
(1) 암모니아태 질소 비료 167
(2) 질산태 질소 비료 167
2. 속효성 비료: 요소의 특성 169
(1) 요소의 제조 169
(2) 요소의 분해 169
(3) 요소의 흡습성 169
(4) 요소의 사용 170
3. 속효성 비료: 유안의 특성 170
(1) 유안의 제조 170
(2) 유안의 부성분 171
(3) 유안의 흡수율과 비해 가능성 172
(4) 유안의 사용 172
4. 완효성 질소질 비료 173
(1) 완효성 질소 비료 종류 174
(2) CDU 계통 175
(3) IBDU 175
(4) POLYON 계통 176

제13장 인산질 비료의 종류 및 특성

1. 일반적인 특성 179
(1) 인산의 용해도 179
(2) 인산의 기비효과 180
2. 과석(과인산석회) 181
3. 중과석(중과인산석회) 181
4. 용과린(용성인비+과석) 182
(1) 용과린의 제조 182
(2) 용과린의 유황 공급원 182
(3) 용과린의 기비효과 182
5. 용성인비(용성고토비료) 183
(1) 종합적 토양개량 비료 183
(2) 용성인비의 장점 183
(3) 용성인비의 토양개량 효과 184

제14장 칼륨질 비료의 종류 및 특성

1. 일반적인 특성 185
2. 염화칼륨 185
(1) 염화칼륨의 특성 185
(2) 염화칼륨의 시비 186
3. 황산칼륨 187
(1) 황산칼륨의 특성 187
(2) 황산칼륨의 시비 187
4. 황산칼륨고토 188

제15장 복합비료의 종류 및 특성

1. 제1종 복합비료 189
(1) 제1종 복비의 제조 189
(2) 고농도 복비: 21-17-17 190
(3) 복합비료 시비와 인산축적 190
2. 제2종 복합비료 190
(1) 제2종 복비의 제조 190
(2) 제2종 복비의 특성 191
3. 제3종 복합비료 191
4. 제4종 복합비료 192
(1) 제4종 복비의 제조 192
(2) 제4종 복비의 특성 192
(3) 제4종 복비의 시비 192
5. 복합비료와 배합비료 193

부 록 / APPENDIX

STM 구성 3요소 197

제1요소: SOIL COMPONENT 200
ㆍ잔디지반: 다양한 유형의 지반구조 201
ㆍ잔디지반: 토양물리?화학성 비교 (Ⅰ) / 토양물리성 202
ㆍ잔디지반: 토양물리?화학성 비교 (Ⅱ) / 토양화학성 203
ㆍ잔디지반: 잔디 적응력 비교 (Ⅰ) / 잔디품질 204
ㆍ잔디지반: 잔디 적응력 비교 (Ⅱ) / 뿌리생장 205
ㆍ골프장: 조성 시대별 지반 개요 / 제주지역 골프장 206
ㆍUSGA Soil System (Ⅰ) / 골재종류 및 분석내용 207
ㆍUSGA Soil System (Ⅱ) / 식재층: 분석내용 및 기준 208
ㆍUSGA Soil System (Ⅲ)
/ 중간층 및 배수층: 분석내용 및 기준 209
ㆍUSGA Soil System (Ⅳ)
/ 중간층 생략 시 분석내용 및 기준 210
ㆍ스포츠 잔디: 식재층 토양 개량재 분석 / 월드컵 경기장 211
ㆍ골프장: 벙커사 조사 항목 및 기준 212
ㆍ골프장: 벙커사 분석 사례 213
ㆍ골프장 조성: 종자파종 사례 / Green, Collar & Tee 214
ㆍ골프장 조성: 스프릭 식재 사례 / WSG Fairway 215
ㆍ골프장 조성: 자재 투입 사례 / WSG Fairway 216
ㆍ골프장 조성: Hydroseeding 사례 / CSG Fairway 217

제2요소: TURF COMPONENT 218
ㆍ잔디초종: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적응력 비교 (Ⅰ)
/ 계절별 적응력 219
ㆍ잔디초종: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적응력 비교 (Ⅱ)
/ 뿌리생장 220
ㆍ잔디초종: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적응력 비교 (Ⅲ)
/ 잔디품질 및 근계형성 221
ㆍ잔디초종: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적응력 비교 (Ⅳ)
/ 토양물리성 222
ㆍ잔디초종: 한지형 잔디의 적응력 비교 (Ⅰ) / 하고현상 223
ㆍ잔디초종: 한지형 잔디의 적응력 비교 (Ⅱ) / 잔디색상 224
ㆍ월드컵 경기장 조성 및 생육환경 / 전국 10개 도시 225
ㆍ잔디구장 조성: 초종 및 파종량 / 주요 월드컵 경기장 226
ㆍ골프장: 조성 시대별 초종 개요 / 제주지역 주요 골프장 227
ㆍ국내 대표적인 한지형 골프장 / 지역별 초종 현황 228
ㆍ한지형 잔디: 종자파종 및 뗏장생산 프로세스 229
ㆍ한지형 잔디: 잔디피복 및 뗏장 형성력 비교 233

제3요소: MANAGEMENT COMPONENT 236
ㆍSTM 잔디관리 전략(Ⅰ)
/ 환경경영이 필요한 시대적 배경 237
ㆍSTM 잔디관리 전략(Ⅱ)
/ 환경친화적인 저공해 잔디관리 전략 238
ㆍ잔디밭 예초프로그램 / 예고단위 239
ㆍSI System Prefixes 240
ㆍSI/Non-SI Units: Conversion Factors (I) 241
ㆍSI/Non-SI Units: Conversion Factors (II) 242

참고문헌 / REFERENCES 243
찾아보기 / INDEX 249

저자소개

김경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학력 서울대학교 원예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 화훼원예 미국 네브라스카주립대학교 (Ph.D.) / 잔디생리 및 관리 미국 네브라스카주립대학교 (Post Doc.) / 식물병리 ▶경력 한농종묘주식회사 화훼부 미국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원예학과 연구원 미국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식물병리학과 선임연구원 삼성에버랜드(주) 잔디?환경연구소 팀장 삼성에버랜드(주) 환경개발사업부 기술고문 뉴멕시코주립대학교 식물환경과학부 교환교수 등 ▶자문경력 2002년월드컵축구대회조직위원회 잔디연구위원 수원시 설계자문위원 대전월드컵경기장 잔디전문위원 인천광역시문학경기장 잔디그라운드자문위원 광주월드컵축구경기장 잔디그라운드조성자문위원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그라운드 자문 및 연구위원 2002년월드컵축구대회조직위원회 경기장잔디전문위원 송도 국제도시 Jack Nicklaus Golf Club-Korea Agronomist 등 ▶수상경력 미국 Hardin Distinguished Graduate Fellowship 미국 Widaman Trust Distinguished Graduate Student Award 문화관광부 장관상 등 ▶연구실적 국내/해외 논문발표 및 투고 등 90여 편 ▶현 재 삼육대학교 환경디자인원예학과 교수 한국잔디학회 회장 ASTRI 연구소장(Asia Sports Turf Research Institute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