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96514358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4-03-05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목적 11
2. 선행연구 29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1
Ⅱ. 대승경전에서 여래(如來) 35
1. 반야경에서 여래 37
1) 여여(如如) 39
2) 반야지(般若智) 42
3)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44
2. ??법화경??에서 여실지견(如實知見) 48
1) 무가보주(無價寶珠) 53
2) 큰 백우의 수레[大白牛車]와 상투속의마니보주[?珠] 55
3) 훌륭한 의사의 자식치료[良醫治子] 56
3. 화엄경에서 여래(如來)출현(出現) 61
1) 법신이 여래 61
2) 보살의 가지력 63
3) 마음이 모든 여래를 만든다[心造諸如來] 66
Ⅲ. 선어록에서 본래인 72
1. 달마어록에서 두인(頭人) 72
1) 벽관(壁觀) 79
2) 안심(安心) 81
3) 평등법(平等法) 83
2. 입도안심요방편법문에서 부처 90
1) 염불하는 마음이 곧 부처 90
2) 안심이 곧 부처 92
3) 일행삼매(一行三昧) 93
3. 돈황본 육조단경에서 자성(自性) 97
1) 자성의 심지(心地)가 본성 100
2) 식심(識心)이 견성(見性) 104
3) 반야바라밀행이 부처 107
4. ??마조어록??에서 부처 111
1) 청정한 마음이 도(道) 111
2) 자신의 본심이 부처 114
3) 일체처가 부처 117
5. 돈오입도요문론에서 해탈 121
1) 돈오(頓悟)하면 해탈 122
2) 무주심이 불행(佛行) 123
3) 대상경계에 무심(無心)하면 해탈 125
6. 전심법요와 완릉록에서 부처 129
1) 무심이 도인 130
2) 자신의 본성을 친견하고 생활하면 부처 132
3) 일심이 부처 134
Ⅳ. 임제어록에서 무의도인 141
1. 임제의 선사상형성 배경 141
1) 남종선의 형성 145
2) 조사선의 성립 153
3) 도인의 출현과 임제의 선사상 157
2. 임제의 선수행과 돈오 172
1) 임제의 선수행 172
2) 임제가 돈오한 기연 176
3) 임제의 돈오 178
(1) 임제어록에서 돈오 179
(2) 조당집에서 돈오 182
(3) 송고승전에서 돈오 189
(4) 경덕전등록에서 돈오 191
3. 임제가 교화하는 방편 197
1) 본심이 도인 197
(1) 일구(一句) 201
(2) 이구(二句)와 삼구(三句) 204
2) 방편을 사용하는 도인 206
(1) 체중현 211
(2) 구중현 215
(3) 현중현 219
(4) 삼요 223
3) 도인을 자각하게 하는 교화법 227
(1) 사료간 227
(2) 사조용 230
(3) 사빈주 233
(4) 임제의 할 237
(5) 도인의 경지 242
4. 임제어록에서 도인 250
1) 임제어록에서 인(人)의 종류 250
(1) 진정견해를 구족한 본래인 250
(2) 좌주와 수행자 251
(3) 소신근인(少信根人)과 외도 254
2) 임제어록에서 인(人)의 내용 257
(1) 차별분별이 없는 참사람이 진인 257
(2) 의지함 없이 생활하면 도인 259
(3) 공을 실천하여 일상생활을 하는 사람 264
Ⅴ. 현대에서 도인의 표상 270
1. 도인의 가치관 270
2. 도인으로 살아가는 방법 274
3. 도인으로서 교화법 280
Ⅵ. 결론 297
참고문헌 303
색인목록 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