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해양생물
· ISBN : 9791196696689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24-12-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2
발간사 4
추천사 6
Chapter 1. 바다의 가치
1 우리 바다가 특별한 이유 16
2 K-갯벌의 경제적 가치 29
3 K-해양생물다양성 40
4 제주 바다의 해양생물다양성 51
5 울릉도?독도의 해양생물다양성 64
6 바다의 가치 재조명 75
Chapter 2. 해양생태계의 위기
1 간척의 희생양 갯벌 생물 88
2 해양오염과 연안 생태계 파괴 100
3 K-철새의 처절한 비상 112
4 아열대 생물의 남해 상륙 122
5 중국 갯끈풀의 서해 상륙 134
6 남극 해양생태계의 위기 144
Chapter 3. 개발과 보전의 화두
1 해상풍력발전 득과 실 155
2 스마트 혁신기술 아쿠아포닉스 167
3 기후위기 해결사 K-갯벌 179
4 K-리빙 쇼어라인 191
5 해양쓰레기 이슈와 해법 202
6 Blue-ESG의 서막 214
Chapter 4. 숙제와 도전
1 글로벌 해양 이슈 전망 224
2 청년 해양학도의 열정 236
3 치열했던 바다 연구 40年 249
4 경계를 허문 융복합 해양학 연구 260
5 해양과학의 대중화 소명 273
6 바다로, 세계로, 미래로 285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근 바다의 새로운 가치가 꽤 많이 알려졌다. 빙산의 일각일 수 있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간 바다와 관련된 좋은 책들이 많았다. 그래서 이번 책은 ‘사례’ 연구로 차별성을 두고 싶었다. 바다는 지금 아프고 화가 났다. 그리고 과거와 달리 너무 많이 변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기후변화와 해양생태계 붕괴란 ‘이중위기’는 우리의 지극한 현실이다.
바다의 미래가 궁금하다. 개발과 보전의 ‘딜레마’는 여전히 큰 숙제다. 그러나 ‘개발’만 내세우던 구시대적 발상과 명분은 이제 통하지 않는 시대가 됐다. 선택은 늘 우리의 몫이었다. 바다 알기를 넘어 바다 구하기에 전 인류가 동참해야 할 때다. 우리가 망가뜨린 바다, 우리 손으로 다시 건강한 상태로 돌려놔야 하는 것에 특별한 이유는 없을 것 같다.
-머리말 중에서
바다가 주는 특별함은 과학적으로 ‘생태계서비스’란 개념으로 풀어볼 수 있다. ‘생태계서비스’는 바다와 같이 ‘자연환경과 건강한 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말한다. 크게 ‘공급’, ‘조절’, ‘문화’, ‘지지’ 서비스 등이 있다. 공급서비스로 우리는 수산물, 천연자원 등의 귀중한 물자를 바다로부터 얻는다. 조절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는 바로 갯벌이다. 갯벌은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연안 침식을 방지해 주며, 최근에는 기후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잘 흡수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기후변화 해결사로 떠올랐다. 문화서비스로 바다는 우리에게 휴식, 체험, 교육, 관광과 같은 즐겁고 유익한 삶을 선사해 준다. 바다로부터 영감을 얻고 힐링을 느끼는 정신적 혜택도 물론 포함된다.
-제1장 바다의 가치 중에서
우리 연구진은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우리는 이전 해양생태계서비스 평가항목에서는 빠졌던 몇 가지 중요한 조절, 지지서비스 기능에 관한 항목을 평가하였다. 덕분에, 탄소흡수, 자연정화와 같은 조절서비스 기능에 대해 국내 최초로 평가한 결과를 국제 학계에 보고할 수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단일 국가 규모에서 갯벌의 생태계서비스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최초의 연구 결과란 점에서 해외 유수 과학자들도 큰 관심을 보였다. 해당 연구는 갯벌을 대상으로 공급, 조절, 문화, 지지란 네 가지 해양생태계서비스를 종합 평가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그러나 수많은 해양생태계서비스를 생각하면 그동안 발견한 K-갯벌의 매력과 놀라운 가치는 아직 빙산의 일각이란 생각도 든다. 향후 관련 연구가 계속된다면 머지않아 K-갯벌의 가치와 실체가 더 정확하게 드러날 것이라 확신한다.
-제1장 바다의 가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