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새
· ISBN : 9791196747220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2-02-02
책 소개
목차
제1부. 소개와 요약 5
<꼬마물떼새 소개> 6
<꼬마물떼새의 왕국> 11
<꼬마물떼새의 육아 일기 요약> 14
제2부. 꼬마물떼새 육아 일기 15
<4월 14일 수. 포란 1일> 알을 처음 발견하다. 16
<4월 25일 일. 포란 11일> 포란의 암수 교대 18
<5월 1일 토. 포란 18일> 위장술. 세력권 방어. 포란 교대 20
<5월 2일 일. 포란 19일> 포란 교대. 암수 구별 24
<5월 3일 월. 포란 20일> 깝작도요를 쫓아내다, 번식지 지도 26
<5월 4일 화. 포란 21일. 생후 0일째> 비. 부화하다. 28
<5월 5일 수. 생후 1일째> 뛰어다니는 어린새. 아빠새도 품는다. 30
<5월 6일 목. 생후 2일째> 빨라진 어린새들. 32
<5월 7일 금. 생후 3일째> 제2섬에서 발견되다 34
<5월 8일 토. 생후 4일째 관찰일기> 수영. 제3섬으로 이동. 39
<5월 9일 일. 생후 5일째 관찰일기> 한 마리 사망. 다시 수영. 42
<5월 10일 월. 생후 6일째 관찰 일기> 노랑발도요와 싸움 46
<5월 11일 화. 생후 7일째> 숨어 지내는 어린새들 50
<5월 14일 금. 생후 10일째> 어린새 2마리뿐 51
<5월 15일 토. 생후 11일째> 비. 품는 행동 54
<5월 16일 일. 생후 12일째> 비. 다시 수영. 56
<5월 17일 월. 생후 13일째> 평화로운 일상. 품기. 59
<5월 18일 화. 생후 14일째> 어린새 한 마리 사망? 61
<5월 19일 수. 생후 15일째> 두 어린새. 품지 않는다. 62
<5월 20일 목. 생후 16일째> 비. 어미 품으로 68
<5월 21일 금. 생후 17일째> 엄마의 “삑” 소리 71
<5월 22일 토. 생후 18일째> 제3섬 물에 잠기다 73
<5월 23일 일. 생후 19일째> 수영 80
<5월 24일 월. 생후 20일째> 제비 날아들다. 85
<5월 25일 화. 생후 21일> 뽕이 익다 88
<5월 26일 수. 생후 22일째> 수영. 90
<5월 27일 목. 생후 23일째> 부모새의 짝짓기 춤. 94
<5월 28일 금. 생후 24일째> 첫 비행. 짝짓기 춤 99
<5월 29일 토. 생후 25일째> 새로 알 1개를 낳다. 마지막 돌봄? 102
<5월 30일 일. 생후 26일째> 비행 연습? 106
<5월 31일 월. 생후 27일째> 알이 두 개. 부모새 돌봄 종료. 107
<6월 1일 화. 생후 28일째> 알이 세 개. 108
<6월 2일 수. 생후 29일째> 알 세 개 111
<6월 3일 목. 생후 30일째. 포란 1일> 알 네 개, 어린새 소리 115
<6월 4일 금. 생후 31일째. 포란 2일째> 높이 5미터 비행, 돌봄 120
<6월 5일 토. 생후 32일째. 포란 3일째> 유입 하천: 상삼천 123
<6월 6일 일. 생후 33일째. 포란 4일째> 교육은 아빠새가 한다 129
<6월 9일 수. 생후 36일째. 포란 5일째> 더운 날에 알 식히기 131
<6월 10일 목. 생후 37일째. 포란 6일째> 이웃 새들의 싸움 134
<6월 11일 금. 생후 38일째. 포란 7일째> 비 137
<6월 12일 토. 생후 39일째. 포란 8일째> 또 비. 돌봄 활동 138
<6월 13일 일. 생후 40일째. 포란 9일째> 10마리 꼬마물떼새 142
<6월 14일 월. 생후 41일째. 포란 10일째> 알의 존재를 숨겨라. 143
<6월 15일 화. 생후 42일째. 포란 11일째> 장맛비에 괜찮을까? 147
<6월 16일 수. 생후 43일째. 포란 12일째> 어린새는 어디에? 149
<6월 17일 목. 생후 44일째. 포란 13일째> 포란 잠시 중단. 151
<6월 23일 수. 포란 19일째> 살아있네 155
<6월 27일 일. 포란 23일째> 부화 실패. 156
<12월 9일 목> 꼬마물떼새 왕국에 멸종위기종 저어새 등장 158
<12월 어느 날들> 꼬마물떼새 왕국의 해양쓰레기를 청소하다. 161
제3부. 꼬마물떼새 논문 이야기 165
<1> 꼬마물떼새와 새에 대한 상식: 청소년을 위한 퀴즈 166
<2> 꼬마물떼새 논문의 주요 내용 173
<3> 행정학 박사가 조류 생태학 논문을 쓴 이유는? 181
<4> 꼬마물떼새 생태 관련 용어들 189
<5> 도대체 장용창은 뭐 하는 사람이지? 195
* 이 책에 실린 다른 종의 새 사진들 찾아보기
깝작도요 26
붉은머리오목눈이 29
중부리도요 45
노랑발도요 48
뿔논병아리 56, 123
제비 86
청머리오리 92, 125
팔색조 131
파랑새 131
왜가리 147
흰뺨검둥오리 150
저어새 158
저자소개
책속에서
5월 20일 목요일. 알에서 태어난지 16일째. 대학교 강의를 갔다 오니 3시 반. 집 대신 꼬마물떼새한테로 달려갔다. 어제는 맑더니, 오늘은 새벽부터 비가 내렸고, 오후에도 비가 부슬부슬 내렸다. 어제는 한 시간을 봐도 어린새들이 어미 품으로 들어가는 일이 전혀 없었는데, 오늘은 어린새들이 어미 품에서 지내는 시간이 길었다. 최대 6분을 넘긴 경우도 있었다. 어린새들이 부모새의 품으로 가는 것은, 아마도 비가 오고 으슬으슬 춥기 때문인 것 같다. 특히, 깃털에 아무리 기름샘이 있다 한들, 비를 많이 맞으면 체온이 떨어질 것이다. 이런 날엔 역시 엄마품이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