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91197231315
· 쪽수 : 147쪽
· 출판일 : 2022-05-31
책 소개
목차
첫 번째 만남, 하나님의 존재 (Knowledge of God) - 9페이지
두 번째 만남, (Human Attribute) - 19페이지
세 번째 만남, 예수 그리스도 (Savior, Jesus Christ) - 33페이지
네 번째 만남, 성화 (Sanctification) - 45페이지
다섯 번째 만남, 상처와의 만남 (Wound Recovery) - 55페이지
여섯 번째 만남, 일상과 영적전쟁 (Spiritual Encounters) - 65페이지
일곱 번째 만남, 종말론적 신앙 (Apocalypse) - 77페이지
여덟 번째 만남, 목자와 양 (Shepherdship) - 87페이지
아홉 번째 만남, 교회의 영광 (Ecclesiology) - 97페이지
열 번째 만남, 관계와 소통 (Relationship & Communication) - 109페이지
열 한 번째 만남, 전도와 선교(Evangelism & Mission) - 117페이지
열 두 번째 만남 역동적인 소그룹 (Small group) - 127페이지
부록
1. 인터뷰 질문지 - 138페이지
2. 과제물 점검표 - 146페이지
저자소개
책속에서

저자 서문
신학에 입문하여 목사안수를 받고 18년 동안 수많은 성도들에게 하나님 말씀을 가르쳐 왔습니다. 그러나 내 안에 풀리지 않는 질문은 성도들이 잘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교회에서 성경공부도 하지만 세상으로 돌아가면 여지없이 무너지는 모습을 참으로 많이 보았습니다. 오랜 고민 끝에 세 가지 이유를 발견했습니다. 첫째는 성경공부가 너무 어렵다는 것입니다. 생소한 신학적인 용어와 어려운 질문들로 인해서 성경공부를 들어가기도 전에 이미 흥미를 잃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둘째는 균형 잡힌 교리체계와 신앙실천을 상실했기 때문입니다. 누가복음 10장에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통해서 먼저 ‘강도 만난 자가 누구인지‘를 가르쳐 주시고, 그 뒤에 ’너희도 이와 같이 하라‘고 하신 말씀은 교리와 실천의 균형을 강조하신 것입니다. 바울도 서신서 전반부는 교리부분, 후반부는 신앙실천을 강조했듯이 양육의 핵심은 탄탄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신앙실천의 균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성경공부들이 사변적인 이론에만 치우치거나 또는 실천만 강조한 나머지 행위신앙으로만 치우친 모습을 보여 왔습니다. 셋째는 소그룹의 역동성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소그룹에는 사람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힘이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교재들이 닫힌 질문들로만 이루어져 있어 역동적인 성경공부를 경험하지 못했고, 깊이 있는 삶을 나누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 왔기 때문입니다.
필자는 이러한 고민 끝에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이론과 실천에 균형을 갖출 뿐 아니라 역동적인 소그룹을 경험할 수 있는 교재를 만들고자 고민 끝에 본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첫째, 어려운 신학용어와 성경 이야기를 쉽게 풀이하여 본문에 접근하였습니다. 둘째, 전반부에 수록된 탄탄한 교리체계를 바탕으로 후반부에 신앙실천을 다루었습니다. 셋째, 역동적인 소그룹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닫힌 질문과 열린 질문을 조화롭게 배치하였습니다. 이 교재는 12주 과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새가족 과정을 이수한 분들과 신앙에 관심을 가진 분들이라면 어렵지 않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자 훈련에 들어가기 전에 역동적인 소그룹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자들에게 매우 유익합니다.
바라건대 ‘Becoming Happy Christian’(행복한 신앙생활을 위한 첫걸음) 교재을 통해서 한국교회에 다시 한 번 건전한 성경공부 모임이 일어나고, 경직되어진 소그룹이 생명력을 얻어 모든 교회가 건강하게 세워지길 소망합니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새벽마다 기도로 후원하시는 부모님과 영적 아버지로서 지도해 주신 한성교회 도원욱 목사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뿐만 아니라 언제나 위로와 격려를 아끼지 않으시는 권호 교수님과 임도균 교수님에게도 감사를 전합니다. 늘 바쁜 남편을 위해서 기도로 내조하고 가정을 지켜가는 이숙현 아내와 세 자녀 은수, 서은, 은규에게도 사랑을 전합니다. 교재를 엣지있게 디자인 해준 김예은 자매님에게도 감사를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