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과 윤리

공과 윤리

김성철 (지은이)
도서출판 오타쿠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과 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과 윤리 
· 분류 : 전자책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97232169
· 출판일 : 2021-05-07

목차

책머리에 3
차례 9

공과 반야중관에 대한 오해와 이해

공과 윤리
Ⅰ. 들어가는 말 - 공과 윤리는 갈등하는가? 15
Ⅱ. 윤리의 공관적 근거 18
1. 교리적 근거 ? 세속제(世俗諦) 18
2. 논리적 근거 - 자타평등(自他平等)과 이고득락(離苦得樂) 21
Ⅲ. 공과 윤리의 구조적 동질성 24
1. 공의 역설적 구조 ? 자가당착 24
2. 윤리의 역설적 구조 ? 인과응보 32
3. 공과 윤리의 합일 ? 동체대비(同體大悲) 35
Ⅳ. 공에 대한 네 가지 이해와 윤리 35
1. 아유법유(我有法有) - 위선적 윤리 35
2. 아공법유(我空法有) - 형식주의적 소승윤리 36
3. 아유법공(我有法空) - 막행막식적 비윤리 37
4. 아공법공(我空法空) - 무주상적(無住相的) 대승윤리 39
Ⅴ. 끝맺는 말 - 공은 진정한 윤리를 산출한다 41

중관사상에 대한 마츠모토의 곡해
Ⅰ. 들어가는 말 45
Ⅱ. <공에 대하여>에 대한 비판적 검토 49
1. 공사상의 의의 50
2. ≪중론≫의 연기와 공 54
3. ≪중론≫에서의 자성(自性)과 실의(實義) 58
⑴ 나가르주나는 자성의 의미를 변질시켰나? 59
⑵ tattva와 자성(svabh?va)은 그 의미가 같은가? 60
4. ≪중론≫ 제26장 <관십이인연품>의 의의 65
Ⅲ. 맺는 말 69

≪중론≫ 주석가들의 연기관 - 귀경게 주석에 등장하는 연기의 어의분석에 대한 연구
Ⅰ. 문제의 제기 73
Ⅱ. 연기의 어의에 대한 전통적 해석 75
Ⅲ. 연기의 어의에 대한 세 주석가의 해석 78
1. 안혜의 해석 78
2. 청변의 해석 79
3. 월칭의 해석 85
Ⅳ. 종합적 고찰 94

무르띠의 중관 해석; 비판적 절대론
Ⅰ. 들어가는 말 99
Ⅱ. 서구 중관학 연구의 변천사 101
Ⅲ. 무르띠의 중관 해석 104
1. 중관사상의 탄생 배경 104
2. 중관사상의 구조 105
3. 중관사상에 대한 비교철학적 고찰 107
4. 중관사상의 종교성 111
Ⅳ. 현대 학자들의 무르띠 비판에 대한 검토 112
1. 오독으로 인한 부당한 비판 113
2. 해석 틀의 변화로 인한 비판 115
3. 칸트적 중관 해석에 대한 비판 118
V.무르띠의 중관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120
1. 무르띠의 문헌학적 오류 120
2. 중관사상 해석의 문제점 122
Ⅵ. 무르띠 중관학의 가치 126
Ⅶ. 맺는 말 130

중관논리의 이해

N?g?rjuna의 운동부정론 - ≪중론≫ 관거래품을 중심으로
I. 서론 135
1. 문제의 제기 135
2. 연구의 목적과 범위 137
Ⅱ. 서양 철학적 관점에서 본 운동의 인식 기제(機制) 139
Ⅲ. 관거래품의 사상적 배경 145
1. ≪중론≫의 취지 145
2. 반야경에서의 거래 부정론 148
3. 팔불게와 불래불거 152
4. 거래의 의미 157
Ⅳ. 관거래품에 나타난 운동 부정의 논리 159
1. 운동과 지각의 괴리 159
⑴ 시간과 지각의 괴리 159
⑵ 지각과 실재의 괴리 163
2. 운동체와 운동의 연기적 관계 166
⑴ 운동체와 운동의 불일불이 167
⑵ 운동체가 운동한다는 분별의 오류 171
3. 운동의 삼상(三相) (출발 - 운동 ? 멈춤) 174
⑴ 출발의 부정 174
⑵ 멈춤의 부정 176
Ⅴ. 관거래품 논리의 응용과 그 특징 177
1. 운동에 대한 통시적 고찰 178
2. 운동에 대한 공태적 고찰 181
⑴ 모습과 실재의 분열에 대한 논파 181
⑵ 주체와 작용의 분열에 대한 논파 182
Ⅵ. 결론 184
참고문헌 187

용수의 무기관(無記觀)
Ⅰ. 무기설(無記說)의 의의 191
Ⅱ. 정형적 난문에 대한 ≪중론≫적 해석 196
1. 세간 변(邊), 무변(無邊)의 문제 197
2. 세간 상(常), 무상(無常)의 문제 201
3. 여래 사후(死後)의 문제 202
4. 자아와 몸의 일(一), 이(異) 문제 204
5. 고(苦)의 자작자각(自作自覺), 타작타각(他作他覺) 문제 205
Ⅲ. 용수의 무기관(無記觀) - 무기의 확장 207
Ⅳ. 결론 209

중관논리란?
Ⅰ. 중관논리의 종교성 213
Ⅱ. 중관논리의 구조 214
Ⅲ. 중관논리의 정당성에 대한 해명 - ≪회쟁론≫ 218

중관논리의 응용

중관적 연기론과 그 응용
Ⅰ. 중관(中觀)이란? 225
Ⅱ. 중관적 연기론에 대한 재해석 228
1. 중관적 연기론과 사성제 228
2. 분별의 발생과 소멸 232
3. 순환구조 236
Ⅲ. 중관적 연기론의 응용 239
1. 환경문제의 원인과 해결 240
2. 사회적 처벌과 규범의 역할 244
3. 상담(相談)에 대한 연기론적 조망 245

용수의 중관학으로 분석한 마음
Ⅰ. 중관학의 탄생 - 소승 아비달마 비판 249
Ⅱ. 보편학문으로서의 중관학 ? 반논리학 252
Ⅲ. ‘마음’을 분석하기 위한 준비 - ‘짝 개념’ 찾기 256
Ⅳ. ‘물질’ 없이 ‘마음’ 없고, ‘마음’ 없이 ‘물질’ 없다.‘ 258
Ⅴ. ‘마음’이랄 것도 없고 ’물질’이랄 것도 없다. 260
Ⅵ. '마음'과 '몸'의 관계에 대한 중관논리적 분석 263
더 읽을 거리 267

찾아보기 269

저자소개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법명은 도남(圖南). 1957년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한 후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대학원에서 인도불교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22년 현재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명예회장이다.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장, 불교문화대학원장, 불교사회문화연구원장, 티벳장경연구소장과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제23대 회장 겸 이사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여 권의 저·역서와 8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저서 가운데 ≪원효의 판비량론 기초 연구≫ 등 3권이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고, ≪승랑 - 그 생애와 사상의 분석적 탐구≫는 한국연구재단 10년 대표 연구 성과로 선정된 바 있다 제6회 가산학술상(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제19회 불이상(불이회, 2004), 제1회 올해의 논문상(불교평론, 2007), 제6회 청송학술상(청송장학회, 2012), 제10회 반야학술상(반야불교문화연구원, 2020), 제2회 탄허학술상(한국불교학회, 2021)을 수상하였다. 홈페이지 다음 카페 - 김성철 교수의 체계불학(www.kimsch.net)를 운영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