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적 심신의학과 생명윤리

불교적 심신의학과 생명윤리

김성철 (지은이)
도서출판 오타쿠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870원
25,2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적 심신의학과 생명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적 심신의학과 생명윤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92723006
· 쪽수 : 417쪽
· 출판일 : 2022-11-08

목차

책머리에 3
차 례 7

제1부 - 불교로 푸는 뇌과학과 진화생물학 13

불교와 뇌과학으로 조명한 자아와 무아 15
Ⅰ. 뇌과학, 무엇이 문제인가? 17
Ⅱ. 자아의 기원에 대해 - 주관이란? 마음이란? 의식이란? 26
1. 화엄으로 푸는 주관성의 기원 26
2. 불교에서 보는 생명과 마음의 기원 33
3. 의식의 다양한 스펙트럼 41
Ⅲ. 무아에 대한 통찰 - ‘상일주재(常一主宰)’한 자아는 없다. 47
1. 무상하게 명멸하는 한 점 식의 흐름 47
2. 뇌과학의 무아론(無我論) - 좌뇌 해석기가 만드는 가아(假我) 59
3. 불전 속의 무아론 - 아함, 중론, 유식 64
Ⅳ. 마음의 정체, 그리고 윤회와 해탈 70

진화론과 뇌과학으로 조명한 불교 79
Ⅰ. 모든 생명의 공통점 - 십이연기의 순환 81
Ⅱ. 약육강식을 대하는 상반된 태도 - 폭력과 자비 87
서구불자들의 채식주의 - 폭력성에 대한 반발 87
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 - 다윈의 진화론 89
생명 세계의 비정함 대한 싯다르타 태자의 통찰 90
Ⅲ. 자유의지가 있다면 윤회는 가능하다 93
중생과 무생물의 차이 - 식(識)의 유, 무 93
모든 생명체의 식은 1차원적인 흐름이다. 95
뇌과학의 유물론과 증명 불가능한 자유의지 98
가언명제(假言命題)에 의한 윤회의 논증 103
Ⅳ. 뇌의 허구를 폭로하는 반야중관학 108

제2부 - 불교적 상담과 명상 113

연기론의 인지치료적 활용 115
Ⅰ. 심리치료와 불교수행론의 만남 117
Ⅱ. 불전에 등장하는 연기론적 인지치료 126
1. 아공(我空)의 연기와 법공(法空)의 연기 126
2. 난다의 예화와 이열치열(以熱治熱)의 유전연기(流轉緣起) 128
3. 고따미의 예화와 동병상련(同病相憐)의 환멸연기(還滅緣起) 134
Ⅲ. 연기론적 상담사례와 바람직한 상담기법 137
Ⅳ. 불교적 인지치료의 궁극 목표 -‘인지의 완전한 해체’ 140

불교의 구사학으로 풀어 본 무의식과 명상 145
Ⅰ. 무의식이란 무엇인가? 147
1.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 147
2.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1975-1961) 150
Ⅱ. 무의식, 아뢰야식, 번뇌 155
1. 아뢰야식이 무의식인가? 156
2. 무의식과 ≪구사론≫의 번뇌 160
3. 번뇌의 정체 165
Ⅲ. ≪구사론≫의 명상수행과 번뇌론 167
1. 사성제 명상을 통한 번뇌의 제거 167
2. 명상수행에 근거한 번뇌의 분류 173
Ⅳ. 심리적 문제의 해소 - 상담인가 명상인가? 178
1. 논의의 혼란 179
2. 의식이란 무엇인가? 181
3. 무의식을 드러낼 때 치유되는가? 183
4. 예화를 통한 비교 185

제3부 - 명상 기기의 개발과 실험 189

사띠(Sati) 수행력의 측정과 향상을 위한 기기와 방법 191
요약문 193
Ⅰ. 기기의 고안을 위한 이론적 토대 194
1. 주의(Attention) - 동시에 여러 가지를 파악할 수 없다. 194
2. 마음의 정체 - 선화륜(旋火輪)과 같은 ‘한 점 식의 흐름 198
3. 주의 용량의 한계는 찰나의 길이에 의존한다. 206
4. 사띠(Sati)의 출발점 - 신근(身根)에서 일어나는 촉경을 주시하기 210
Ⅱ. 사띠 수행력을 측정하고 훈련하는 기기 - 촉각자극분배장치 215
1. 사띠 수행력의 측정을 위한 장치의 고안 215
2. 촉각분배장치의 개량과 실험의 고안 221
Ⅲ. 촉각자극분배기의 활용 전망 224
1. 사띠 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적 훈련 224
2. ADHD나 치매와 같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한다. 227
참고문헌 229

명상수련자의 촉각 주의력에 대한 실험적 연구 233
한글요약 235
Ⅰ. 심리치료의 새로운 흐름과 과학화의 필요성 236
1. 저항문화운동이 야기한 심리치료의 새로운 흐름 236
2. 명상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학화의 필요성 238
3. 위빠싸나 수행의 공통점 - 촉각에 대한 주의 242
Ⅱ. 명상수련자의 촉각 주의력 측정을 위한 실험 244
1. 실험 장치의 작동 원리와 부품의 기능 244
2. 실험의 대상과 목적 및 실험의 방법과 절차 249
⑴ 실험의 대상과 목적 249
⑵ 실험의 방법과 절차 252
Ⅲ.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과 가설적 해명 255
1. 실험결과의 통계 분석 256
2. 분석 결과에 대한 가설적 해명 261
⑴ 촉각 주의력에 대한 종합적 분석 261
⑵ 촉각 주의력의 좌우 차이에 대한 분석 263
⑶ 촉각 주의력의 좌우 차이에 대한 뇌과학적 해명 266
Ⅳ.요약 및 앞으로의 과제 268
참고문헌 274

Sati 명상장치를 이용한 훈련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277
요약문 277
Ⅰ. 서론 279
Ⅱ. 방법 284
1. 연구 대상 284
2. 훈련 방법 286
3. 측정 도구 288
4. 자료 분석 296
Ⅲ. 고찰 303
참고문헌 305

제4부 - 불교의 생명윤리 309

윤회의 공간적, 시간적 조망 311
Ⅰ. 윤회, 무엇이 문제인가? 313
Ⅱ. 윤회는 어떻게 증명되는가? 316
Ⅲ. 윤회는 어디서 어떻게 진행되는가? 323
1. 윤회에 대한 공간적 조망 324
2. 윤회에 대한 시간적 조망 - 십이연기 330

생명공학에 대한 불교윤리적 조망 339
Ⅰ. 과학과 불교 - 적인가, 동지인가? 341
Ⅱ. 생명공학 기술의 현황 345
줄기세포를 이용한 장기의 재생 345
유전자 치료 347
가축의 유전자 조작을 통한 약품과 장기의 생산 348
Ⅲ. 생명공학 기술의 문제점 349
Ⅳ. 생명공학만 문제인가? 354

배아연구와 생명윤리 359
프롤로그 361
Ⅰ. 논의의 전제 361
Ⅱ. 문제의 제기 364
Ⅲ. 불교의 생명관 367
Ⅳ. ‘인간’ 개념과 살생의 범위 371
Ⅴ. 인식의 극한에서는 가치가 존재를 변화시킨다. 381
Ⅵ. 배아연구와 그 활용기술의 바람직한 방향 385

불교에서 본 생명 개념과 불살생계 389
Ⅰ. 생명과 불살생계, 그 의미와 범위는 확실한가? 391
Ⅱ. 생명 개념의 정립을 위한 현대 생물학의 시도 396
Ⅲ. 불교와 생물학의 생명 개념, 어떻게 다른가? 401
Ⅳ. 불교의 생명관과 불살생계의 지범개차(持犯開遮) 410

저자소개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법명은 도남(圖南). 1957년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한 후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대학원에서 인도불교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22년 현재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명예회장이다.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장, 불교문화대학원장, 불교사회문화연구원장, 티벳장경연구소장과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제23대 회장 겸 이사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여 권의 저·역서와 8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저서 가운데 ≪원효의 판비량론 기초 연구≫ 등 3권이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고, ≪승랑 - 그 생애와 사상의 분석적 탐구≫는 한국연구재단 10년 대표 연구 성과로 선정된 바 있다 제6회 가산학술상(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제19회 불이상(불이회, 2004), 제1회 올해의 논문상(불교평론, 2007), 제6회 청송학술상(청송장학회, 2012), 제10회 반야학술상(반야불교문화연구원, 2020), 제2회 탄허학술상(한국불교학회, 2021)을 수상하였다. 홈페이지 다음 카페 - 김성철 교수의 체계불학(www.kimsch.net)를 운영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