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전자책 > 인문학 > 동양철학 > 불교철학
· ISBN : 9791197232183
· 출판일 : 2021-08-31
목차
머릿글 3
차례 9
제1부 - 반야중관학과 선
선(禪)과 반야중관의 관계
국문초록 15
Ⅰ. 초기 선종과 삼론학파의 인적 교류 17
Ⅱ. 반야중관으로 풀어 본 선사들의 언행 21
1. 삼중이제 - 진제를 지향하는 변증적 파기 21
2. 공의 의미와 마조의 도불용수(道不用修) 25
3. 이내이제(理內二諦) - “손가락이 달이다.” 29
4. 중도불성의 구현 - 딜레마와 중화작용 31
Ⅲ. 간화선 수행의 중도적 성격 34
참고문헌 39
인도 중관학의 동아시아적 변용
Ⅰ. 중관학의 탄생과 전승 41
1. 중관학의 탄생 41
2. 중관학의 전승 44
Ⅱ. 용수 중관학의 반논리학 47
1. 개념의 실체성 비판 49
2. 판단의 사실성 비판 51
3. 추론의 타당성 비판 53
Ⅲ. 승조 사상의 특징 55
1. 노장과 현학의 수용과 극복 55
2. 제3구인 상즉의 실상론 58
Ⅳ. 승랑의 사상과 선의 탄생 60
1. 승랑 사상의 네 가지 축 60
2. 선 - 반야중관의 실천적 구현 68
참고문헌 72
제2부 - 삼론학파의 핵심사상과 인물
삼론학의 불성론 - 입파자재한 무의무득의 중도불성론 -
Ⅰ. 삼론학 불성론의 연원과 문헌 77
Ⅱ. 삼론학의 오종불성(五種佛性)과 중도불성론 83
1. 삼론학의 오종불성론 83
2. 제가(諸家)의 정인불성론과 그에 대한 비판 87
3. 삼론학 중도불성론의 근거와 방법 90
Ⅳ. 불성과 관계된 몇몇 이론에 대한 무의무득(無依無得)의 분석 95
1. 불성은 원래 있었나(本有), 새롭게 생기나(始有)? 95
2. 보살의 수행계위에 따른 견불성(見佛性)의 정도 98
3. 이내(理內), 이외(理外)의 구분과 불성의 유, 무 100
Ⅴ. 삼론학 불성론의 얼개와 특징에 대한 개관 102
삼론학의 이제설에 대한 재조명 - 이, 교, 경, 지의 관계 및 어제와 교제의 의미 분석 -
국문초록 107
Ⅰ. 삼론학의 이제설에 대한 통념과 문제점 109
Ⅱ. 삼론학 이제시교론의 의미와 기원과 특징 112
Ⅲ. 삼론학의 이제설에서 이(理), 교(敎), 경(境), 지(智)의 관계 116
Ⅳ. 삼론학의 이제설에서 어제(於諦)와 교제(敎諦)의 의미와 유래 120
Ⅴ. 약경(約境)과 약리(約理)의 이제를 포용하는 방편적 이제시교론 126
참고문헌 128
승랑과 승조 - 생애와 사상, 영향과 극복에 대한 재조명-
논문초록 129
Ⅰ. 승랑과 승조의 상반된 삶 131
Ⅱ. 승조와 승랑의 생애 133
1. ≪고승전≫을 통해 본 승조의 생애 133
2. 승랑의 본명과 행적에 대한 추정 137
Ⅲ. 승조와 승랑의 사상 145
1. 승조 - 제3구의 변용인 상즉의 비판론 145
2. 승랑 - 이원적 범주를 통한 무의무득의 구현 149
Ⅳ. 승랑에게서 보이는 승조의 영향 153
Ⅴ. 승조를 극복한 승랑의 유무론 156
참고문헌 158
제3부 - 깨달음과 선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Ⅰ. 들어가는 말 163
Ⅱ. 소승의 깨달음 164
Ⅲ. 대승의 깨달음 167
Ⅳ. 금강승의 깨달음 171
Ⅴ. 맺는 말 173
부기: 깨달은 선승은 아라한인가, 보살인가, 부처인가? 174
선(禪)의 깨달음 그 정체와 문제점
프롤로그 179
Ⅰ. ‘선’은 선인가? 179
Ⅱ. 선 수행은 성불을 지향하는가? 182
1. ‘부처 되기’와 ‘부처라는 개념을 해체하기’ 182
2. 초기불교의 아라한과 선에서 말하는 부처 185
Ⅲ. 간화선에 대한 인도불교적 조망 189
Ⅳ. 맺는 말: 의미있는 선 수행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 193
깨달음이란? - 인지와 감성의 해체
Ⅰ. 쌓는 것은 지식, 허무는 것은 지혜 197
Ⅱ. 반야의 지혜와 색즉시공 198
Ⅲ. 형상뿐만 아니라 모든 것이 공하다 199
Ⅳ. 공을 체득한 선승의 깨달음 200
Ⅴ. 눈도 없고, 죽음도 없고, 시간도 없다 202
1. 눈도 없고 시각대상도 없다 202
2. 삶도 없고 죽음도 없다 205
3.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208
Ⅵ. 모든 개념에는 테두리가 없다 211
Ⅶ. 죽었다가 살아나기 217
Ⅷ. 해체 이후의 적극적 삶 - 이타(利他)와 분별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