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91198042217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24-05-10
책 소개
목차
제1부 구원은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믿음(sola fide)으로 얻는 것일까? / 19
제1장 오직 은혜(sola gratia)로 구원을 얻는 것일까?
행위가 필요할까? / 21
-바울 신학에 대한 새 관점 학파에 대한 비판과
오직 은혜의 교리의 중요성- / 21
서 언 / 21
Ⅰ.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믿음(sola fide)의 교리에 대한
오늘의 신학적 도전 / 23
Ⅱ. 계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란 무엇인가? / 27
Ⅲ. 계약적 율법주의는 바른 구원론의 바탕이 되는 이론일까? / 32
Ⅳ. 은혜에 대한 온전한 해석 / 38
Ⅴ. 하나님의 은혜의 통치와 죽음의 힘이 지배하는 세상 / 44
Ⅵ. 무조건적인 은혜와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삶 / 48
Ⅶ. 선한 행위를 기억하고 상을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 / 51
결 언 / 58
제2장 구원은 하나님의 예정에 근거할까?
인간의 믿음에 근거할까? / 61
-바르트(K. Barth) 신학 이후의 예정론의 새 관점- / 61
서 언 / 61
Ⅰ. 예정의 교리 개요 / 62
Ⅱ. 예정의 교리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반론들 / 66
1. 예정론은 운명론이다 / 67
2. 예정론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모순된다 / 67
3. 예정론에 의하면 하나님이 죄의 창시자가 된다 / 68
4. 예정론은 노력하려는 인간의 모든 동기를 낙심시킨다 / 68
5. 예정론은 개인을 불공평하게 대한다 / 68
6. 예정론은 선한 도덕에 비호의적이다 / 69
7. 예정론은 진지하게 복음 전하는 것을 막는다 / 70
8. 예정론은 보편 구원을 가르치는 성경 구절과 모순된다 / 70
Ⅲ. 칼 바르트(Karl Barth) 예정론의 중요 내용 / 72
1. 하나님을 예수 그리스도 밖에서 찾으면 안 된다 / 73
2.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는 하나님은 선택하시는 하나님이다 / 74
3. 하나님의 주권과 자유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파악해야 한다 / 74
4. 하나님의 이중예정은 십자가 안에서 완성되었다
하나님은 십자가 안에서 인간을 선택하고, 자신을 버리셨다 / 75
5.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을 찾으시는 하나님께
응답하는 자들은 선택된 자들이다 / 75
6. 하나님의 자비로운 부르심이 거부당하는 곳에
버림받음의 그늘이 존재한다 / 76
Ⅳ. 예정론에 대한 바른 신학적 이해 / 77
1. 무시무시한 하나님의 이중예정의 교리는 잘못되었다 / 77
2. 예정론은 복음의 총화이다 / 81
3. 예정론은 선행하는 하나님의 은총을 전하는 교리이다 / 82
4. 예정론은 신앙의 우연성(Zufalligkeit)과
무상성(Hinfalligkeit)을 반대하는 교리이다 / 84
Ⅴ. 예정론과 인간의 기도에 대한 칼 바르트의 견해 / 86
결 언 / 93
제2부 죽음 이후에는 어떻게 될까? / 97
제3장 영혼과 육체의 분리가 죽음일까? / 99
-오늘의 뇌 과학, 양자역학 및 임사체험(Near Death Experience)과
성경과의 대화- / 99
서 언 / 99
Ⅰ. 죽음의 문제와 인간론에 대한 오늘의 신학적 혼란 / 101
Ⅱ. 영혼이 없음을 입증한 로저 스페리(Roger Sperry)의
뇌 분리 실험과 영의 세계를 밝혀낸 양자역학의 거대한 도전 / 105
Ⅲ. 영혼이 있음을 밝힌 펜필드(W. Penfield)와
핀토(Y. Pinto) 교수팀의 뇌 과학 실험 / 111
Ⅳ. 죽음 이후에도 계속 존속하는 영혼 / 114
Ⅴ. 임사체험에 대한 연구로 영혼을 발견하고 있는
오늘의 과학자들과 신학자들 / 116
결 언 / 120
제4장 부활은 언제 일어나는 것일까? / 121
-죽음에서 일어나는 부활에 대한
오늘의 신학적 이론에 대한 평가- / 121
서 언 / 121
Ⅰ. 부활의 3가지 차원 / 123
1. 그리스도 재림 때 일어나는 부활 / 125
2. 죽음에서 일어나는 부활 / 125
3. 현존하는 부활의 생명 / 129
Ⅱ. 죽은 성도들의 상태 / 131
1. 천상의 의인들 / 131
2. 부활한 순교자들과 성도들 / 134
Ⅲ. 그리스도 재림과 부활한 자들의 출현 / 136
결 언 / 139
제3부 만유구원론의 등장과 구원론의
새 지평에 대한 신학적 평가 / 141
제5장 믿지 않고 죽은 자들에게도 희망이 있을까? / 143
-몰트만(J. Moltmann)의 만유구원론과 구원론의 새 지평- / 143
서 언 / 143
Ⅰ. 만인의 선택과 만인의 화해를 가르친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 / 145
1. 바르트의 예정론(Kirchliche Dogmatik II/2, 1942) / 145
2. 바르트의 화해론(Kirchliche Dogmatik IV/1-IV/4,
1953-1967) / 148
Ⅱ. 만유구원에 대한 몰트만(Jurgen Moltmann)의 희망 / 151
1. 영원한 지옥에 대한 반대 / 152
2. 그리스도의 지옥 여행과 파괴된 지옥 / 158
3. 죽은 자들에게 전파되는 복음 / 161
4. 죽음 이후에도 계속되는 삶과 변화의 가능성 / 162
5. 인간의 결정과 하나님의 결정의 차이 / 165
6. 죽은 자의 부활 / 167
7. 만유의 구원 / 170
Ⅲ.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에 대한 신학적 평가 / 172
결 언 / 175
제6장 오늘의 구원론의 새 지평들에 대한
신학적 토론과 평가 / 178
서 언 / 178
Ⅰ. 죽음에서 일어나는 믿는 자들의 부활과
역사의 마지막 날의 부활 / 179
Ⅱ. 믿지 않고 죽은 자들은 어떻게 될까? / 184
1. 하나님의 정의로운 심판 / 184
2. 죽은 자의 세계 / 187
Ⅲ. 만인의 구원은 가능할까? / 193
결 언 / 1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