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인물
· ISBN : 979119841441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4-08-15
책 소개
목차
1장 사제가 되기까지
1) 부모님, 순교자의 믿음으로
2) 학창 시절
소신학교 시절 / 대신학교 시절 / 어쩔 수 없이 군대로
3) 카투사(KATUSA)에서 만난 미국
주한미군 / 군대생활
4) 이사 그리고 신학생
이사, 아버지의 뜻 / 신학생
5) 형님 문정현 신부
2장 사제 문규현
1) 사제 서품
2) 고산성당, 농촌 농민
신명 나는 고산성당 / 당당한 농민 되기 / 노풍 피해보상 운동 / 아버지
3) 천주교의 사회 참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으로 / 천주교 전주교구 / 5·18 광주
4) 군산 지역 민주화 운동의 거점, 팔마성당
본당 공동체의 활성화 / 오송회 사건
5) 교육국에서
6) 소몰이 투쟁
3장 휴전선을 넘어 통일의 길로
1) 미국 유학
아일랜드 연수 / 미국으로 떠나라 / 뜻하지 않은 미국 생활 /
2) 아, 조성만
3) 1차 방북
지금이 때다 / 길고 긴 여정 / 또 하나의 조국 / 장충성당 남북통일염원미사 / 합법적인 방북
4) 2차 방북
깨어진 형제의 약속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부름 / 함께 십자가를 지고자 / 길이 막혀 단식으로 / 통일의 꽃 임수경 / 분단의 벽을 넘다 / 누구를 위한 국가보안법인가
5) 투쟁의 길
법정 투쟁 / 역사의 심판, 하느님의 심판 / 항소이유서, 분단의 장벽을 넘어서 / 감옥살이 / 편지로 소통하다
6) 한국천주교회사
민족과 함께 쓰는 한국천주교회사 / 열린 교회 요촌성당
7) 3차 방북
청년들의 서학동성당 / 국민의 정부 출범 / 3차 방북 / 또다시 국가보안법
4장 생명과 평화
1) 삼보일배
새만금 개발의 민낯 / 새만금 개발 반대 운동에 뛰어들다 / 비폭력 시위 삼보일배 / 삼보일배의 시작 / 우리도 미물이다 / 4대 종단 화합으로 / 희망의 순례길 시속 1km / 생명 파괴의 땅 / 함께 한 사람들 / 수경이 쓰러졌다 / 큰 강을 이루어 서울로 / 죽으면 산다 / 새만금 투쟁은 아직도 진행형
2) 핵폐기장
부안 속의 부안성당 / 핵폐기장 반대 투쟁 / 생명과 평화를 이루는 힘 / 부안에서 배운 것
3) 오체투지
다시 나서는 생명 평화의 길 / 지리산에서 묘향산까지 / 온몸으로 / 길에서 배우다 / 계룡산에서 묘향산까지 / 길은 무엇인가 / 용산 참사 현장 / 생명의 근원으로
4) 다시 살리신 그 뜻은
5장 너 어디 있느냐
1) 평화동 신부
2) 그가 있는 곳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 평화와 통일을 이루는 사람들 / 생명평화마중물
3) 그래도 희망입니다
리뷰
책속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다음 날, 규현은 구속된 문정현 신부의 면회를 간다. 그날 문정현 신부는 새로이 사제가 된 동생에게 첫 강복을 청하였다. 문정현 신부가 사제의 길은 이렇게 고난의 길인데 함께 하겠느냐고, 기쁨 반 염려 반으로 동생에게 물었다. 이에 문규현 신부는 “형님은 그렇게 외롭고 힘들어도 가야 할 길이니까 가는 거 아니에요? 나도 내 가야 할 길이라면 내가 잘 알아서 갈게요. 어렵고 힘든 길에 동반자 하나 생겼으니 우리 함께 갑시다.”라는 말로 사제로서 자신이 가야 할 길을 다시 확인하였다. (1장 사제가 되기까지)
문 신부도 역시 변하고 있었다. “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더 나은 삶을 가져다 주는 사제로서의 나의 사명을 깨달았습니다.”라는 고백처럼 자신이 있어야 할 곳에서 가야 할 길을 오롯하게 뚜벅뚜벅 가고 있었다. (2장 사제 문규현)
문 신부는 고산성당, 군산 팔마성당의 주임신부와 전주교구 교육국장 등을 거치면서 현장의 민중들과 발걸음을 같이 했다. 그는 가난하고 힘없는 자들에게는 한없이 자애로운 신부였지만, 부당한 권력의 편에 서는 자에게는 거친 투쟁가의 모습을 보였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현실 개혁이 시급하다고 외치는 사람들에게는 ‘우리들의 신부님’이었고, 현실 순응과 질서 유지가 먼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깡패 신부’였다. (2장 사제 문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