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8613653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4-08-12
책 소개
목차
글을 시작하며
Chapter 1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원리
01 디지털 전환이란 무엇인가
02 디지털 전환과 IT
03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팩토리
04 디지털 전환의 효과
05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핵심 기술
06 디지털 전환의 영역과 방향성
07 디지털 전환 수준과 혁신 사례
Chapter 2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 - 클라우드
01 클라우드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02 온프레미스,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03 온프레미스와 서버 룸
04 데이터센터
05 서버 가상화
06 블레이드 서버
07 클라우드의 사업화
08 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
09 프라이빗 클라우드
10 퍼블릭 클라우드 - IaaS
11 퍼블릭 클라우드 - PaaS
12 퍼블릭 클라우드 - SaaS
13 하이브리드 & 멀티 클라우드
Chapter 3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 - AI/ML
01 AI와 모라벡의 역설
02 AI와 데이터 애널리틱스
03 머신러닝과 딥러닝
04 AI에서 알고리즘과 모델의 의미
05 AI와 학습
06 AI 프로젝트 수행 과정
07 AI 모델의 성능 평가
08 AI 모델의 성능 평가 사례
09 AI 모델 학습과 성능 평가를 위한 테스트 데이터
10 머신러닝의 3대 요소
11 AI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 엔지니어, AI 엔지니어의 역할
12 AI를 기업에 적용하는 방법
Chapter 4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 - 생성형 AI
01 생성형 AI의 개념
02 챗GPT의 개념 및 특징
03 생성형 AI의 종류
04 LLM과 sLLM
05 RAG
06 백터화(임베딩)
07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08 생성형 AI 적용 사례
09 생성형 AI의 이슈 - 환각 현상과 저작권
글을 마치며
참고 자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디지털 전환 조직을 IT 조직과 별도의 조직으로 구성하거나, 현업 인재를 선발하여 디지털 전환 과제를 수행하게 하는 조직이 대부분 이와 유사한 시행착오를 경험한다. 이런 경험은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한 현상이기도 하다. 가트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조직 모델로 ‘퓨전 팀’을 제안했다. 이는 현업의 도메인 지식을 보유한 인재, 데이터 분석가, 기존 IT 인력(개발자, 인프라 전문가, DBA 등) 을 혼합하여 조직을 구성해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이는 애자일 조직과도 유사한 면이 있다. 즉, 기존 조직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과제에 필요한 다양한 인력을 모아 태스크포스 형태로 조직을 운영하거나, 아예 퓨전 조직을 새롭게 구성하는 방법이다.
PaaS는 프로젝트의 근본 목적을 달성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다. 예를 들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대시보드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가정하면, 업무 영역은 크게 데이터 분석 플랫폼과 시각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이 시각화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렵다. 확보된 자원과 역량이 충분하다면, 자체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좋지만, 서비스 방식으로 제공되는 PaaS를 활용하면 플랫폼 구축에 드는 시간, 비용, 그리고 리스크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플랫폼을 구축하기가 부담스럽다면, PaaS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검증된 PaaS를 활용하면, 도구를 구축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프로젝트의 핵심에 집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