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98669766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5-08-20
책 소개
목차
서문 5
제1부 이야기식 설교는 어떤 것이며 어떻게 하는 것인가? 15
01 성경 해석학으로서의 설교학과 다양한 설교 유형 17
1. 해석학으로서의 설교학 19
2. 설교의 다양한 유형 20
02 이야기식 설교 25
1. 이야기 설교를 다루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27
2. 이야기와 내러티브 29
3. 테일로서의 이야기, 내러티브로서의 이야기,
그리고 일화로서의 이야기 30
4. 이야기식/ 이야기체 설교 31
5. 이야기 설교, 이야기식 설교, 그리고 내러티브 설교 34
6. 이야기식 설교의 기본 유형과 다양한 형태들 35
03 이야기의 특징과 위력 41
1. 이야기의 특징 43
2. 이야기의 위력 49
04 이야기식 설교의 특징 53
1. 성경 자체의 이야기 방식을 사용하는 설교 55
2. 느끼도록 하는 설교 55
3. 사건의 재구성으로서의 설교 57
4. 단순한 이야기들의 나열이 아니다. 57
5. 기억에 오래 남도록 하는 설교 58
6. 동기부여까지 인도하는 설교 59
05 이야기식 설교를 준비하는 설교자의 성경 읽기 61
1. 앞뒤 문맥을 중시하라. 63
2. 주어진 본문을 한 구절 한 구절 정확하게 읽어야 한다. 65
3. 기록자/ 성령의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66
4. 주어진 본문의 상황(역사적 정황)과 배경(공간적, 시간적)과
환경(지리)을 파악해야 한다. 67
5. 핵심 사건과 주변 사건을 구별한다. 69
6. 이야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이해한다. 69
7. 암시된 의미를 찾는다. 70
8. 상상력을 활용하라. 72
06 설교가 일반적으로 지루하게 여겨지는 이유 75
1. 설교가 회중의 삶과 연결성이 없기 때문이다. 77
2. 성경 본문을 깊이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78
3. 설교의 내용 구성에 극적인 면이 없기 때문이다. 81
4. 논문과 같은 긴 설교 혹은 적용도 어려운 교리적인
긴 설교를 하기 때문이다. 82
07 이야기식 설교의 장단점, 그리고 단점에 대한 보완책 85
1. 이야기식 설교의 장점 87
2. 이야기식 설교의 단점과 그 보완책 89
08 이야기식 설교의 기본 구조 93
1. 내용 95
2. 역동성 96
3. 방향성 96
4. 구성 97
5. 참여성 98
09 이야기식 설교의 다양한 유형 101
1. 유진 로우리(Eugene Lowry)의 이야기 설교 구성 제안 103
2. 웨인 로빈슨(Wayne Robinson)의 설교 구성 제안 110
3. 일인칭 내러티브, 이야기식 설교 준비와 설교 구성 114
10 이야기식 강해(강해식 이야기) 설교 구성 121
1. 강해 설교의 장점들 123
2. 이야기식 강해 설교(강해식 이야기체 설교)의 구성 124
11 이야기식 설교 준비 가이드라인과 훌륭한 설교자의 조건과
노력 127
1. 이야기식 설교 준비의 가이드라인 129
2. 훌륭한 이야기식 설교자의 조건 133
3. 이야기식 설교자의 자기 계발을 위한 노력 137
4. 이야기식 설교에서 성경 본문을 감동 있게 전달하는 방법 140
5. 이야기꾼으로서 설교자 자질들 143
6. 청중과 함께 가는 이야기식 설교자의 설교 여정 가이드 144
12 성경 이야기를 사용하는 10가지 유형의 이야기식 설교 제안
149
1. 이야기 진행식 151
2. 이야기 보류식 152
3. 이야기 유예식/ 대체식 153
4. 이야기 전환식 154
5. 이야기 회귀식 155
6. 이야기 마무리식 155
7. 이야기 강해식 156
8. 이야기 적용식 156
9. 이야기 대조식 157
10. 이야기 관점 비교식 158
제2부 이야기식 설교의 실제 159
1. 이야기 진행식 161
기적을 바라시나요?(요한복음 2:1-11)
설교 분석 171
2. 이야기 보류식 173
하나님의 쓰임 받음과 신앙적인 성숙(사사기 16:23-31)
설교 분석 188
3. 이야기 대체식 191
심는 대로 거둔다!(갈라디아서 6:1-10)
설교 분석 199
이 본문에 대한 일반적인 강해 설교 201
설교 분석 211
4. 이야기 전환식 213
나사로의 부활과 부활 신앙(요한복음 11:20-27)
설교 분석 226
5. 이야기 회귀식 229
닫힌 인생을 향한 주님의 초청(마가복음 7:31-37)
설교 분석 244
6. 이야기 마무리식 247
향유 옥합을 깨뜨린 여인(마가복음 14:3-9)
설교 분석 260
7. 이야기 강해식 263
믿음의 본질(누가복음 17:1-10)
설교 분석 274
8. 이야기 적용식 277
왼손잡이 사사 에훗(사사기 3:12-30)
설교 분석 288
9. 이야기 대조식 291
사사 기드온의 300 용사와 영화 “300”
(사사기 7:1-8, 16-23)
설교 분석 305
10. 이야기 인물 관점 비교식 307
오병이어 이야기(요한복음 6:1-15)
설교 분석 317
이야기식 설교 유형별 비교 319
참고문헌 323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문
서로 다른 교회를 다니는 두 절친 여집사가 서로 자기 교회 목사의 설교에 대해 자랑했다. 한 사람이 먼저 말했다. “우리 목사님은 정말 대단하셔. 우리 목사님은 어떤 주제를 택하시든지 그에 대해 한 시간씩 말씀하실 수 있는 분이야!” 그러자 그 이야기를 듣던 친구가 말했다. “얘, 그 정도는 우리 목사님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냐. 우리 목사님은 아무 주제 없이도 한 시간씩 말씀하시는 분이야!”
여기에 언급된 두 분의 설교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 두 분이 모두 말씀을 잘하시는 분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부정적으로 보자면 한 분은 어떤 주제를 만나든지 지루하게 한 시간씩 말하는 설교자이고, 다른 분은 말을 잘하기는 하는데 정해진 주제나 내용에 대한 논리적인 정리 없이 한 시간씩 장황하게 말을 많이 하는 설교자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스토리텔링 워크숍을 이제는 10년 넘게 진행하면서 여러 교회에서 오신 성도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고 그들로부터 종종 그들이 다니는 교회 설교자의 설교에 대해 듣게 되었다. 그리고 상당히 많은 분이 그들 교회 설교자의 설교에 대해 칭찬하는 것을 자주 듣게 되었다. 그들의 칭찬은 “우리 목사님은 설교를 너무 잘하세요. 어떤 본문의 말씀이든지 기가 막히게 잘 쪼개세요.” 혹은 “우리 목사님은 강해 설교의 대가 세요. 주일마다 얼마나 은혜가 되는지 몰라요!”와 같은 것들이다.
그럴 때 필자는 보통은 그러느냐고 동조하고 넘어가지만 가끔은 이런 반응을 보이기도 했었다. “집사님이 다니시는 교회 목사님의 설교가 대단한 것 같아요. 정말 감사한 일이에요. 그렇지 않은 교회들도 꽤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궁금한 것이 있어요. 혹시 지난주 설교가 어떤 내용이었는지 조금만 소개해 주실 수 있나요?” 필자가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의 성도는 “그런데 잘 생각은 나지 않아요. 그래도 들을 때에 큰 은혜를 받았어요.”
미국의 한 기독교에 관한 통계 회사에서 설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된 적이 있었다. 그것은 수요일에 그 바로 전주에, 그러니까 3일 전에 들었던 설교의 내용에 대한 설문이었다. 놀랍게도 82%의 사람들이 3일 전에 들었던 설교 내용을 거의 기억하지 못했다. 18%의 사람들이 제목이나 주제, 핵심 내용 등에 대해 기억하고 있었고 그들 중에서 3%의 사람들만이 설교의 흐름이나 내용의 골격을 제대로 기억하고 있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같은 응답자들의 80%의 사람들이 설교자가 사용했던 예화나 재미있는 이야기는 다 기억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우리가 모두 인정하듯이, 설교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청중에게 잘 전달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설교자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을 잘 준비해서 성도들에게 잘 전달해야 하는 중요한 사명이 주어져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설교자의 의무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야 할 것은 그 전해진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성도들의 삶이 변화되고 성숙해 가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해진 말씀이 청중에게 되도록 오래 기억되어 그 기억된 말씀 때문에, 그 말씀의 계속되는 도전 때문에 그들의 삶이 조금씩 바뀌어 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야기의 가장 주요한 장점 중의 하나는 역시 이야기를 듣게 되면 그것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는 것이다. 심리학자인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는 일반적인 통계나 숫자나 논리적인 정보보다 이야기 형태로 전달된 정보는 사람의 기억에 20배 이상 오래 남는다고 주장했으며, 다른 심리학자인 페그 노이하우저(Peg Neuhauser)는 잘 다듬어진 이야기는 그것을 들은 사람으로 하여금 사실의 나열이나 도표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오랫동안 기억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그런 점에서 예수님께서 이야기나 비유를 사용하심으로 그 당시 청중에게 전해진 말씀이나 그 안에 담긴 메시지가 청중에게 오랫동안 기억되게 하셨던 것도 바로 그 이유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