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건강요리
· ISBN : 9791198859983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25-05-26
목차
| 일러두기 |
| 머리말 | … 10
PART. 1
유방암 치료를 위한 준비 단계
1. 진단 후 치료 전 준비 … 14
상급병원 진료 신청 … 14
상급병원 진료 신청 시 준비 서류 … 15
컨디션 관리 … 16
2. 항암요법(선행항암, 예방항암) … 26
항암 로드맵: 주치의 진료 시 물어볼 질문들 … 26
암의 유전적 타입과 기수 … 27
항암제의 부작용을 알고 준비하자 … 29
항암제 부작용별 대처 방안 … 31
페이스를 조절하자 … 49
PART. 2
수술 · 방사선 ·회복을 위한 식사관리
1. 수술 후 회복과 관리 … 52
무통 주사 … 55
수술 상처 및 배액관 관리 … 56
퇴원 후 마사지 케어 … 57
재활 운동 시작 … 59
림프부종의 예방과 치료 … 60
액와막 증후군: 마사지와 도수치료 … 63
수면장애로 인한 허리통증, 오십견 및 기타 통증 … 64
재활 식사 … 65
2. 방사선 치료와 식사 … 65
방사선 치료 시 피부 보호를 위한 팁 … 66
방사 후 강직 … 67
음식 알레르기 … 68
방사선 치료 시 식이요법 … 69
운 동 … 69
3. 전이와 재발을 막는 일상 식사 … 70
항호르몬 요법 … 71
항호르몬 투약 시기의 식사요법 … 73
표적항암 … 77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다 … 78
PART. 3
유방암환우들을 위한 힐링 레시피
1. 한 숟갈의 힘,
항암 진정 요리 (항암제 투여 중 식사) … 96
아이스 레몬 디톡스 워터 … 101
블루베리 그릭요거트 … 103
딸바 아이스크림 … 105
키위 파워 아이스바 … 107
비트 바나나 슬러시 … 109
우엉 율무 라떼 … 111
진저 라떼 … 113
들깨 미역냉국 … 115
두부 콩나물 냉국 … 117
냉바지락탕 … 119
냉녹차 밥(오차스께) … 121
참치를 얹은 냉동 오이 비빔밥 … 123
서리태 냉콩죽 … 125
도토리묵밥 … 127
새우 오이지 냉국 국수 … 129
냉김치 수육 국수 … 131
새우 두부 계란찜 … 133
깻잎 수란 … 135
내 멋대로 샐러드 … 137
두부구이와 두 가지 라페 … 139
2. 최소한의 노력으로 만드는
수술 후 항암 고단백 요리 … 138
지중해식 레몬소스의 연어 바이트(고등어) … 143
연어 밥 … 145
브로콜리를 곁들인 데리야끼 연어 … 147
사과 샐러드를 곁들인 고등어 파피요트 구이 … 149
오렌지와 머스타드를 곁들인
에프 고등어구이 … 151
광둥식 탈라 피아 찜 … 153
대구 간장구이와 양배추샐러드 … 155
대구 날치알 그라탕 … 157
명란 버섯 솥 밥 … 159
굴 무밥 … 161
전복 미나리 솥 밥 … 163
볶은 조개 양념 국수 … 165
오징어(갑오징어) 미나리무침 … 167
해산물 커리 … 169
새우 크림 마늘 … 171
녹두 누룽지 닭곰탕 … 173
레몬 페퍼 치킨 … 175
에어프라이드 파르메지아노치킨 … 177
두부 강정 … 179
무생채 두부구이 … 181
아롱사태 수육 전골 … 183
3. 전이와 재발을 막는 면역 강화식 … 182
오트 우유 … 187
오버나잇 캐럿 오트 … 189
아몬드 우유 … 191
에브리씽 레드 주스 … 193
에브리씽 그린 주스 … 195
새우 오트밀 리조또 … 197
토마토 치킨과 강황 밥 … 199
잔멸 견과 김밥 … 201
유부 초두부 … 203
두부피 라쟈냐 … 205
컬리플라워 볶음밥 … 207
가지 덮밥 … 209
토마토 계란 새우 덮밥 … 211
허니갈릭 버팔로 윙 … 213
단호박을 넣은 안동찜닭 … 215
쇠고기 스팀팩과 세 가지 소스 … 217
원 팬 해산물 냉동 파스타 … 219
가자미 미역국 … 221
컬리플라워 그라탕 … 223
치아 푸딩 … 225
PART. 4
유방암과 관련된 음식 루머와 진실
1. 석류 … 228
2. 커피 … 229
3. 강황 … 228
4. 우유 … 230
5. 콩 … 231
6. 자몽 … 236
7. 설탕 … 236
리뷰
책속에서
항호르몬 요법 중에는 어떤 식단 관리가 필요한가요?
항호르몬 요법 시기에는 건강 체중 유지와 칼슘 효율화 식사가 중요합니다. 체중 증가는 에스트로겐 생성을 늘려 재발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정상 체중 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항호르몬제는 뼈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고, 칼슘 흡수를 방해하는 짠 음식, 탄산음료,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칼슘이 뼈로 잘 흡수되도록 돕는 운동을 꾸준히 하고, 필요한 경우 정기적인 골다공증 검사와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유방암 환자가 섭취하면 도움이 되는 음식과 자제해야 할 음식은 무엇인가요?
유방암 재발과 전이를 막기 위해서는 식물성 화학물질(파이토케미컬)이 풍부한 다양한 색깔의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브로콜리, 컬리플라워와 같은 십자화과 채소, 유산균이 풍부한 발효유 제품, 콩과 두부 등의 콩류 식품은 유방암 예방과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비타민 D와 칼슘 보충도 중요합니다. 반면, 담배와 술은 절대적으로 피해야 하며, 붉은 고기와 가공육 섭취는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튀김이나 고온에서 조리한 음식, 설탕 과다 섭취도 자제해야 합니다.
유방암과 관련된 음식 루머에 대한 정보는 무엇인가요?
석류는 유방암 환자에게 금기 식품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히려 암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다만, 석류 추출물 형태의 건강보조제는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과일 자체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커피는 유방암 발생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많으며, 하루 한 잔 정도는 괜찮지만 카페인 섭취량 조절은 필요합니다. 강황은 항염, 항산화 효과가 있지만 커큐민 성분이 체내에 잘 흡수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하는 정도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우유는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와 낮춘다는 연구가 상반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우유 섭취가 유방암 발생과 반비례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비만을 피하고 유산균 섭취를 위해 저지방 유제품이나 발효유 섭취가 권장됩니다. 콩은 유방암 환자에게 안전하며 재발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인정되고 있습니다. 자몽은 항호르몬제의 효과를 떨어트릴 수 있으므로 항호르몬 요법 중인 환자는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탕은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키운다는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과다 섭취는 혈당 상승과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암세포 증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섭취가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