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재생에너지 계통연계기술

신재생에너지 계통연계기술

이순형 (지은이)
에너지시간신문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재생에너지 계통연계기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재생에너지 계통연계기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91198894816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5-02-10

책 소개

국내 전력·에너지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립해 온 이순형 교수님이 선보이는 이 책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탄소중립과 RE100 달성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혁신적인 해법을 제시한다.

목차

제1장 전력계통의 변화와 신·재생에너지의 역할 / 9
1. 계통연계기준 및 관련 법규 / 10
2. 지구 온난화와 신·재생에너지 / 16
3. 세계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 24
4. 향후 보급 속도와 계획 / 26
5. 전력계통에 미치는 시사점 / 31
6. 기술적 도전과 해결 방안 / 34
7. 분산형 전원의 등장과 전력계통의 도전 과제 / 38
8. 계통 해석·시뮬레이션 / 43
제2장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출력제어 문제 / 49
1. 간헐성의 정의와 그 영향 / 50
2. 간헐성이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 / 50
3. 간헐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대응 방안 / 51
4. 무효 전력 관리와 보조 서비스의 역할 / 54
5. 출력제한 / 55
제3장 분산형 전원의 통합을 위한 새로운 기술 / 73
1. 에너지저장시스템 / 75
2. 슈퍼커패시터 / 104
3. AI 기반 지능형전력망 구축 / 111
4. 수요 반응 프로그램 / 115
5. VPP(가상발전소) / 121
6. 수직형 태양광발전 / 128
7. 스마트 인버터 / 133
8. V2G / 138
9. 무효 전력 제어 / 144
10. P2G / 148
11. 섹터 커플링 / 155
12. 초고압 직류송전 / 160
13. 에너지고속도로 / 166
14. 수소에너지와 그린수소 / 171
15. 연료전지 / 179
제4장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 제어 및 보호 / 187
1. 시스템 제어 및 보호 / 188
2. 전력망의 탄력성 증대 방안 / 194
3. 전력계통의 유연성 증대 방안 / 202
4. 전력계통 운용의 유형 / 207
5. 전력계통의 능동적 관리 방안 / 221
6. 탄력성, 유연성 능동적 관리 방안 비교 / 229
7. FRT와 LVRT의 역할과 기능 / 231
제5장 분산형 전원 통합을 위한 규제와 정책적 고려사항 / 239
1.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의의와 초기 취지 / 240
2. 각국의 분산형 전원 도입 정책 비교 / 245
3. 규제와 시장 설계가 전력계통 품질에 미치는 영향 / 247
4. 신·재생에너지 통합을 위한 인센티브와 제한사항 / 249
제6장 풍력발전과 계통연계 / 251
1. 풍력발전의 불안정성 / 253
2. 균형유지 / 256
3. 과도안정 시스템의 필요성 / 259
4. 제주 전력계통의 사례 / 261
5. 상승하는 불안정성 / 264
6. 전력품질 불균형의 심화 / 267
7. 잉여 전력의 처리와 계통 안정성 강화 방안 / 271
8. 계통 안정을 위한 무효전력의 역할과 과제 / 274
9. 전력계통 신뢰성과 신·재생에너지 통합 운영의 과제 / 278
10. 계통 연계 방식 선택 / 281
제7장 직류 송·배전 / 289
1. 직류 송·배전 기술 / 290
2. HVDC(고전압 직류송전) / 296
3. 중전압 직류 전력망 / 304
4. LVDC(저전압 직류송전) / 316
5. 해저케이블 공사 / 321
제8장 우리 나라의 전력계통 / 329
1. 제6차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 / 330
2. 제7차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 / 332
3. 제8차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 / 333
4. 제9차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 / 336
5.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 / 339
6. 동해안 전력계통 / 344
7. 전력계통 수급 대란 / 345
8. 에너지고속도로 / 347
제9장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 355
1.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 356
2. 지역별 차등요금제 / 360
3. VPP(가상발전소) / 368
4.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전략 및 제안서 작성 / 373
5. ‘전력계통영향평가’ 준비, 수행 및 평가 작성 요소 / 381
부록 / 385
1. 에너지전환 / 386
2. RE100 / 390
3.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세 요약 및 분석 / 395
4.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세부 정리 / 402
5.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안) / 405
6. 제5차 국가 녹색성장 기본계획 정리 / 407
7. 호남 지역 전력계통의 현황, 문제점, 해결 방안 / 409
8. 호남지역 전력계통 포화문제 해결을 위한 ESS 및 무효전력 보상장치 설치 방안 / 413
9. 공유경제, 이익공유제, 공유부 이익공유제 개념 정리 / 420
10. 영농형태양광발전 / 426
11. 2030년 및 2050년 신·재생에너지 일자리 전망 / 433
12. 데이터센터 기본 계획 및 설계 / 436
13. 에너지믹스 / 452
14. 국내 발전설비 및 사용량 데이터 / 457

저자소개

이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신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며, 평생을 전기와 에너지 분야의 발전에 헌신해 온 전문가입니다. 저자는 엔지니어링 분야의 선구자로서 다수의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전국의 대학과 연구소에서 연구와 강의 활동을 활발히 펼치며 후학 양성에 힘써 왔습니다. 또한, 다양한 국가적 과제와 대규모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대한민국 전기공학과 에너지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바 있습니다. 그의 경력과 전문성은 전기 및 에너지 분야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학문적·실무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수십 년간 대규모 플랜트와 민간 및 공공 프로젝트를 직접 설계하고 감리하며, 실질적이고 입체적인 현장 경험을 축적해 왔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초대형 데이터센터와 345kV 초고압 변전소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부하 말단까지의 전기설비 구성과 운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고도화 기술을 직접 적용하고 있습니다. 저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획과 설계, 태양광발전 뇌(낙뢰) 보호 기술 지침, 탄소중립수소혁명, 풍력발전, 수변전설비의 계획과 설계, 전기설비 점검 데이터 북,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규, 전기설비사전 등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