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증산도
· ISBN : 9791198986320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5-09-22
책 소개
목차
머리글
^^1 대순진리회의 창도
01 대순진리회의 창설 유래
02 대순진리회의 창도 취지
^^2 강증산 성사의 생애와 사역^^
01 강증산 성사의 생애
02 미륵신앙의 일반적 이해
03 강일순 증산상제
04 강증산 성사의 사역과 화천
^^3 창도주 조정산^^
01 창도주 조정산의 생애
02 창도주 조정산의 무극도 창도
03 창도주 조정산의 활동과 화천
^^4 도전 박우당^^
01 우당 박한경 도전
02 교육기관 및 의료기관 설립
03 가르침 및 교리
04 수도
05 훈회
06 종맥종통의 위임
^^5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
01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생애
02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환강
03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호칭 및 직위
04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종맥종통
05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대관식
06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67계열 통합대표 강대훈
07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사업자등록증
^^6 대순진리회의 정의^^
01 대순진리회의 의미
02 대순진리회의 구성
^^7 대순진리회의 연혁^^
01 구천상제 강증산(강일순)
02 창조주 조정산(조철제)
03 도전 박우당(박한경)
^^8 대순진리회의 교리와 사상^^
01 개요
02 교리와 사상
03 종단의 주요 교리
^^9 대순진리회의 경전^^
01 전경
02 대순지침
03 대순진리회요람
04 도헌
05 포덕교화기본원리
06 대순성적도해요람
^^10 대순진리회의 신앙^^
01 신앙의 대상
02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
^^11 대순진리회의 4대 교훈^^
01 홍익인간
02 이웃사랑
03 사회구원
04 애국정신
^^12 대순진리회의 4대 사업^^
01 사회복지사업
02 의료사업
03 교육사업
04 애국사상 사업
^^13 대순진리회의 수칙^^
^^14 대순진리회의 도기^^
^^15 대순진리회의 도장^^
^^16 대순진리회의 도헌^^
^^17 대순진리회의 증산상제진요성해^^
^^18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도래^^
01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환강
02 증산상제미륵도전도인 강대훈의 종맥종통 증거
^^19 대순진리회의 관련 사이트^^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강일순은 강증산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증산교를 창시한 인물이다. 그는 한국 신흥종교의 기원이 되는 종교 운동의 창시자이자 수많은 증산도 계열 종교의 개조로 여겨진다. 강증산은 1900년경 깨달음을 얻어 후천개벽과 후천성경의 도래를 선포했으며, 구천상제로 숭배받고 있다. 그의 사상은 인간 존중, 선천 시대의 해원을 통한 개벽, 민족 중심의 새로운 세상 확립 등을 포함한다.
태극도의 모태는 조철제가 1918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창립한 무극대도다. 1925년에는 교명을 ‘무극대도’로 바꾸었으며, 당시 보천교와 세력을 겨룰 정도로 교세가 확장되기도 하였지만 일제 강점기에 일본의 신흥종교 탄압으로 인해 1936년 무극대도는 강제 해산되었고 교단 건물까지 철거되는 시련을 겪었다. 광복 이후 1945년에 다시 종교활동을 재개한 조철제는 1948년 부산 보수동에 본부를 세우고 교명을 ‘태극도’로 변경했다. 1955년에는 부산 감천동으로 본부를 이전하며 3천 세대가 넘는 신도들이 집단으로 이주하여 대규모 신앙촌을 형성했다.
당시 보천교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조선 민중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일제의 온갖 위협을 무릅쓰고 상해 임시정부를 비롯한 국내·외 독립운동 단체에 막대한 독립 자금을 지원하였다. 이 때문에 일제로부터 악랄한 박해와 탄압을 받게 되고, 해방 후 70년이 지난 지금도 일제가 씌워놓은 사이비 종교라는 오명 아래 그 위대한 업적마저 철저히 왜곡된 채 역사의 장막에 가려지게 되었다.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의 총본사는 민족종교였고, 김구, 윤봉길, 신채호, 조만식 등 독립운동가와 조선의 민중은 민족종교에 의지하여 독립을 꿈꾸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