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91199008502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4
1장 선사 시대
1. 선사 시대란? 12
2. 뗀석기를 사용하다 14
3. 구석기인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7
4. 뗀석기 대신 간석기가 나타났다고? 20
5. 신석기 시대의 대표 유물, 빗살무늬 토기 22
6. 신석기 시대, 혁명이 일어나다 25
7. 신석기 시대의 종교 28
8. 신석기인들의 생활 모습 31
2장 청동기 시대와 고조선
1. 청동기 시대란? 36
2. 계급 사회가 시작되다 39
3. 정복 전쟁과 국가의 탄생 42
4. 우리 민족 최초의 나라, 고조선 45
5. 고조선은 법치 국가? 48
6. 고조선은 어디에 있었을까? 50
7. 고조선의 성장과 멸망 53
3장 철기 시대와 여러 나라들
1. 철기 시대의 시작 58
2. 부여의 등장 60
3. 옥저와 동예, 초기 국가로 성장하다 63
4. 삼국의 기초를 마련한 삼한 65
4장 삼국 시대
1. 알에서 나온 박혁거세, 신라를 열다 70
2. 주몽 고구려를 건국하다 72
3. 백제를 세운 고구려 왕자, 온조 74
4. 구지봉의 김수로, 가야를 세우다 76
5. 고구려의 발전 79
6. 백제는 어떻게 발전했을까? 81
7. 백제의 전성기는 언제일까? 83
8. 신라를 어떻게 발전했을까? 86
9. 불교는 언제 전해졌을까? 88
10. 고구려의 전성기 90
11. 장수왕의 꾀 94
12. 백제와 신라가 손을 잡았다고? 96
13. 신라의 전성기를 준비한 왕은 누구? (1) 98
14. 신라의 전성기를 준비한 왕은 누구? (2) 101
15. 신라의 독특한 신분 제도, 골품제 103
16. 신라의 전성기는 언제일까? 105
17. 화랑도와 화백 회의 108
18. 못다 이룬 꿈, 가야 111
19. 백제를 다시 강국으로, 무령왕 113
20. 실패한 백제 중흥의 꿈, 성왕과 무왕 115
21. 수나라의 침공과 을지문덕 118
22. 삼국 통일의 주역들 121
23. 당나라의 고구려 공격과 연개소문 124
24. 의자왕, 신라를 공격하다 127
25. 황산벌 전투와 계백 그리고 백제의 멸망 129
26. 고구려의 분열과 멸망 132
27. 고구려의 문화유산 135
28. 백제의 문화유산 138
29. 신라의 문화유산 141
30. 가야의 문화유산 144
5장 남북국 시대
1. 신라와 당나라가 싸웠다고? 148
2. 삼국 통일의 의의와 한계 150
3. 통일 후 나라의 기초를 놓은 신문왕 152
4. 대조영, 발해를 세우다 154
5. 왕권이 약해지다 157
6. 다시 강한 왕을 꿈꾸다 160
7. 대공의 난과 혜공왕의 죽음 162
8. 신라 하대의 사회 변동 164
9. 해동성국이라 불린 발해 167
10. 해상왕, 장보고 170
11. 비운의 천재, 최치원 173
12. 견훤과 후백제 176
13. 궁예와 후고구려 178
14. 왕건, 고려를 건국하다 180
15. 발해의 멸망 182
16. 견훤의 포석정 습격 사건 184
17. 후백제의 압도적 승리, 공산 전투 186
18. 고려의 결정적인 승리, 고창 전투 188
19. 후삼국을 통일한 왕건 190
20. 통일 신라의 문화유산 192
21. 발해의 문화유산 196
6장 고려 시대 전기
1. 왕건은 고려를 어떻게 다스렸을까? 200
2. 고려 역사의 기초를 다진 광종 203
3. 불교의 나라, 고려 206
4. 성종과 최승로의 <시무 28조> 208
5. 고려의 대외 관계 210
6. 거란의 1차 침입과 서희의 담판 212
7. 거란의 2차 침입과 양규 장군 215
8. 거란의 3차 침입과 귀주 대첩 218
9. 전쟁 후에 찾아온 평화 220
10. 천년의 아름다움, 고려청자 222
11. 고려 시대에는 남녀가 평등했을까? 226
12. 윤관, 여진족을 정벌하다 228
13.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231
7장 고려 시대 후기
1. 무신 정변이 일어나다 236
2. 민란이 발생하다 239
3. 몽골, 고려를 침략하다 242
4. 스님이 몽골군을 물리치다 244
5. 위대한 유산, 팔만대장경 246
6.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 249
7. 고려의 항복과 삼별초의 난 252
8. 원나라, 고려에 간섭하다 254
9. 기황후와 기씨 가문 257
10. 고려양과 몽골풍 260
11. 공민왕과 신돈의 개혁 262
12. 이인임과 세도 정치 264
13. 신흥 무인 세력과 신진 사대부 267
14.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린 이성계 270
15. 신진 사대부가 나뉘었다고? 272
16.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 274
책속에서
초기 인류는 주변에 흔히 있는 돌들을 그대로 사용했을 거야. 하지만 그런 돌은 사용할 때 불편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후 보다 예리한 돌, 손에 잡기 편한 돌을 찾기 시작했겠지. 물론 그들이 원하는 돌을 찾기란 쉽지 않았을 거야. 그래서 사용하기 편한 돌을 운 좋게 발견할 때까지 기다리며 한참 동안은 불편하더라도 그냥 사용했겠지? 그러다가 점차 인류는 돌과 돌을 서로 부딪쳐 깨뜨리면 훨씬 예리하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잡기 편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걸 깨달았어. 인류가 사용하던 석기가 한 단계 발전하는 순간이었지. 이렇게 돌을 깨뜨려 만든 석기를 돌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떼어 냈다는 의미로 ‘뗀석기’, 혹은 때려서 만든 석기라는 의미로 ‘타제 석기’라고 해.
그래서 장수왕은 한 가지 꾀를 생각해 냈어. 당시 백제의 왕이었던 개로왕이 바둑을 몹시 좋아한다는 소문을 듣고 바둑을 잘 두는 도림 스님을 백제에 간첩으로 보낸 거야. 뛰어난 바둑 실력을 뽐내며 금세 개로왕 의 마음을 얻은 도림은 함께 바둑을 두면서 개로왕에게 여러 가지 조언을 했어. 겉으로는 백제와 개로왕을 위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 백제에 큰 해를 끼치려는 속뜻이 숨어 있는 조언이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