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보철과
· ISBN : 9791199274907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5-06-02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공간에 따른 임플란트 선택 및 식립 개수
1. 한 개 치아 상실 공간
2. 두 개 치아 상실 공간 : 좁은 공간에서 임플란트 개수와 직경 욕심을 버리자
3. 3개의 연속된 치아 상실 시
4. 구치부 4개의 연속된 치아 상실 시
5. 전치부 4개의 연속된 치아 상실 시
6. 5~6개 이상 연속된 치아 상실 시
Chapter 02 부위별 & 조건에 따른 Implant 본체의 선택
1. 임플란트 길이의 선택
2. 임플란트 직경의 선택
3. 구치부 수복 시 부위별 임플란트 선택
Chapter 03 지대주 디자인
1. 좋은 지대주 Vs 나쁜 지대주
2. 적절한 지대주 디자인
Chapter 04 Embrasure & Interocclusal space
1. Embrasure(치간공극)의 형성
2. Interocclusal space
Chapter 05 Hex or non-hex
1. Abutment, hex or non-hex, 그것이 문제로다
Chapter 06 구치부 보철물의 적절한 외형
1. Occlusal table
2. 뺨씹힘, 혀물림
Chapter 07 기성 & CAD-CAM 지대주를 활용한 SCRP 방식 보철
1. 기성지대주를 활용한 SCRP (2 piece type)
Chapter 08 인상채득
1. 기성지대주의 선택, 인상채득 및 scanning
2. Impression coping 및 scanbody (Implant level impression)
3. 두 번의 인상채득으로 완성하는, CAD-CAM abutment를 활용한 SCRP 보철
Chapter 09 Screw 체결 및 전하중(preload) 유지를 위한 노하우
1. 올바른 전하중 부여 방법
2. 나사 풀림의 원인과 예방책 (주기적 재조임)
3. 나사 풀림의 결정적 순간 (정품 지대주의 사용)
Chapter 10 전치부 임플란트
1.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 시 고려사항 (1)
2.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 시 고려사항 (2)
3. 전치부 임플란트의 이상적인 식립 위치
4. 전치부 인상채득 및 보철물 제작
5. 비구개관(nasopalatine canal), 임플란트가 침범해도 괜찮을까요?
Chapter 11 하악 전치부 수복
(일체형 임플란트 또는 일체형 기성지대주를 활용한 cementation type 보철)
Chapter 12 점점 사라져 가는 Screw type 보철
1. 주조 지대주
2. 정품 환봉을 활용한 Screw type 보철물
3. 이것만은 하지말자
(internal conical connection implant에서 implant level
splinting screw type)
Chapter 13 적절한 인접면 접촉 형성 - 인접면 접촉 소실로 인한 식편압입
1. 적절한 인접면 접촉 형성
2. 적절한 인접면 접촉 형성을 위한 인접 치아의 수정
3. 임플란트–임플란트 인접면 접촉
4. 인접면 접촉 강도
5. 변연융선과 인접면 접촉
6. 인접면 접촉 소실의 해결
Chapter 14 Pontic(가공치) design options
1. Saddle (Ridge lap) type pontic
2. Modified ridge lap
3. Hygienic type or sanitary type
4. Ovate pon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