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능엄"(으)로 1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30636032

능엄경 강해 1

한자경  | 서광사
31,500원  | 20231130  | 9788930636032
이 책의 특징과 내용 이 책은 불교 경전 『능엄경』을 철학자 한자경 교수가 우리말로 옮기고 내용을 설명한 책이다. 한문역 원문과 우리말 번역문, 해설, 도표를 포함한 방대한 분량을 두 권으로 나누어 한자경 교수의 해제와 『능엄경』 서분부터 정종분의 사마타(견도분)까지를 Ⅰ권에, 삼마제(수도분)부터 유통분까지는 Ⅱ권에 실어 출간하였다. 이 경이 설해지게 된 배경, 참여한 인물들, 그리고 경전의 주된 가르침과 목적 등이 소개되는 도입부인 서분에 이어 정종분에서는 인간 마음의 실상을 논하고(사마타/견도분), 그에 입각한 수행의 기본 방법을 밝히며(삼마제/수도분), 나아가 수행을 단계적으로 완성해 가는 과정(선나/증과분)을 제시한다. 이 3단계를 거쳐 『능엄경』은 우리의 본래 마음이 단지 견문각지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묘하게 맑고 밝은 영지의 마음이라는 것, 우리의 마음이 표층의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주 전체를 포괄하는 심층의 한마음이라는 것을 밝히고, 그 본래의 마음자리로 우리가 어떤 수행 방편을 통해 나아갈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수행 단계를 따라 궁극의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지를 논한다. 이어 제4부 결경분에서 경의 제목을 설명하고, 제5부 조도분에서는 우리가 윤회하는 세계인 3계(界)와 그 안에서 윤회하는 중생 부류인 7취(趣)를 설명한다. 그리고 수행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을 색·수·상·행·식 5음의 각 단계에서 일어나는 마사(魔事)로 설명한다. 유통분은 본 글을 찬탄하고 이 글을 수지독송하고 전파하는 복덕이 말할 수 없이 큼을 간단하게 언급하며 끝맺는, 책의 결론 부분이다. 『능엄경』은 붓다의 가르침을 완성하기 위해, 보여진 현상세계 전체를 넘어서는 마음 한자리를 확고하게 붙잡기 위해 쓰여진 경전이다. 수행하는 불자라면 놓쳐서는 안 되는 그 마음을 ‘신묘하고 맑고 밝은 마음’인 묘정명심(妙淨明心), ‘원만하며 묘하고 밝은 마음’인 원묘명심(圓妙明心)으로 밝히면서 그 존재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그 마음에 입각해서 우리가 경험하는 자아와 세계의 실상을 해명한다. 일체 존재의 방대한 범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수행 과정에서 드러나는 신비한 내용들도 논리적으로 해명해 주는 통합적 불교 이론서 내지 수행 안내서라고 할 수 있다. 한자경 교수는 오랜 시간을 들여 『능엄경』 역본들과 여러 주석서들을 대조하며 번역과 해설을 완성했다. 반라밀제(Paramiti)의 한문역본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원문을 기초로 하여 가능한 한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고, 그 내용을 철학적으로 설명하였다. 『능엄경』의 원래 내용이 붓다가 아난, 파사익왕, 관세음보살 등과 나눈 대화체의 글이기 때문에 생생한 분위기를 살리고자 대화체의 대본 형식으로 풀어 구성하고, 모든 대화를 존댓말로 번역한 점이 큰 특징이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왕에게도 제자에게도 공대말을 쓰는 붓다를 만나볼 수 있다. 내용 중심으로 장과 절을 나누고 소제목을 붙여, 차례만으로도 큰 줄기를 알아볼 수 있게 했다. 구절마다 해설 앞에 간략하게 내용을 도표화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도록 했고, 핵심적인 도표들은 각 권 뒤에 별도로 묶었다. 중요한 개념과 수(數), 인명, 비유 등은 색인에서 찾을 수 있게 했다. 오랜 세월 동안 불교인뿐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온 이 경전이 이제 현대적 번역과 해석을 통해 오늘날과 미래 세대의 많은 독자들에게 삶의 의미와 사유의 깊이를 더해 줄 것이다.
9788930636049

능엄경 강해 2

한자경  | 서광사
38,700원  | 20231130  | 9788930636049
이 책의 특징과 내용 이 책은 불교 경전 『능엄경』을 철학자 한자경 교수가 우리말로 옮기고 내용을 설명한 책이다. 한문역 원문과 우리말 번역문, 해설, 도표를 포함한 방대한 분량을 두 권으로 나누어 한자경 교수의 해제와 『능엄경』 서분부터 정종분의 사마타(견도분)까지를 Ⅰ권에, 삼마제(수도분)부터 유통분까지는 Ⅱ권에 실어 출간하였다. 이 경이 설해지게 된 배경, 참여한 인물들, 그리고 경전의 주된 가르침과 목적 등이 소개되는 도입부인 서분에 이어 정종분에서는 인간 마음의 실상을 논하고(사마타/견도분), 그에 입각한 수행의 기본 방법을 밝히며(삼마제/수도분), 나아가 수행을 단계적으로 완성해 가는 과정(선나/증과분)을 제시한다. 이 3단계를 거쳐 『능엄경』은 우리의 본래 마음이 단지 견문각지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묘하게 맑고 밝은 영지의 마음이라는 것, 우리의 마음이 표층의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주 전체를 포괄하는 심층의 한마음이라는 것을 밝히고, 그 본래의 마음자리로 우리가 어떤 수행 방편을 통해 나아갈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수행 단계를 따라 궁극의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지를 논한다. 이어 제4부 결경분에서 경의 제목을 설명하고, 제5부 조도분에서는 우리가 윤회하는 세계인 3계(界)와 그 안에서 윤회하는 중생 부류인 7취(趣)를 설명한다. 그리고 수행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을 색·수·상·행·식 5음의 각 단계에서 일어나는 마사(魔事)로 설명한다. 유통분은 본 글을 찬탄하고 이 글을 수지독송하고 전파하는 복덕이 말할 수 없이 큼을 간단하게 언급하며 끝맺는, 책의 결론 부분이다. 『능엄경』은 붓다의 가르침을 완성하기 위해, 보여진 현상세계 전체를 넘어서는 마음 한자리를 확고하게 붙잡기 위해 쓰여진 경전이다. 수행하는 불자라면 놓쳐서는 안 되는 그 마음을 ‘신묘하고 맑고 밝은 마음’인 묘정명심(妙淨明心), ‘원만하며 묘하고 밝은 마음’인 원묘명심(圓妙明心)으로 밝히면서 그 존재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그 마음에 입각해서 우리가 경험하는 자아와 세계의 실상을 해명한다. 일체 존재의 방대한 범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수행 과정에서 드러나는 신비한 내용들도 논리적으로 해명해 주는 통합적 불교 이론서 내지 수행 안내서라고 할 수 있다. 한자경 교수는 오랜 시간을 들여 『능엄경』 역본들과 여러 주석서들을 대조하며 번역과 해설을 완성했다. 반라밀제(Paramiti)의 한문역본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원문을 기초로 하여 가능한 한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고, 그 내용을 철학적으로 설명하였다. 『능엄경』의 원래 내용이 붓다가 아난, 파사익왕, 관세음보살 등과 나눈 대화체의 글이기 때문에 생생한 분위기를 살리고자 대화체의 대본 형식으로 풀어 구성하고, 모든 대화를 존댓말로 번역한 점이 큰 특징이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왕에게도 제자에게도 공대말을 쓰는 붓다를 만나볼 수 있다. 내용 중심으로 장과 절을 나누고 소제목을 붙여, 차례만으로도 큰 줄기를 알아볼 수 있게 했다. 구절마다 해설 앞에 간략하게 내용을 도표화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도록 했고, 핵심적인 도표들은 각 권 뒤에 별도로 묶었다. 중요한 개념과 수(數), 인명, 비유 등은 색인에서 찾을 수 있게 했다. 오랜 세월 동안 불교인뿐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온 이 경전이 이제 현대적 번역과 해석을 통해 오늘날과 미래 세대의 많은 독자들에게 삶의 의미와 사유의 깊이를 더해 줄 것이다.
9788955903720

능엄경 주해

이운허  | 동국대역경원
13,500원  | 20040330  | 9788955903720
불교경전. 불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편집되어 있다.
9788987237145

능엄경 - 전3권

탄허  | 교림
193,200원  | 20101031  | 9788987237145
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으로서 선종, 교종에서 모두 중시할 뿐만 아니라 타종에서도 필독의 경으로 손꼽힌다. 반자밀제가 당의 제상 방융과 함께 한역하였는데 제가의 주소(註疏)가 많이 있다. 그 중에도 우리나라에서는 고래로 계환소를 많이 보았지만 이 경의 주석에는 진감선사의 정맥소가 가장 으뜸이다. 이 책에는 계환해와 정맥소를 모두 종합하고 탄허선사의 해석까지 함께 수록하였다.
9788987237141

능엄경 - 전3권

김탄허  | 교림
162,000원  | 20101031  | 9788987237141
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으로서 선종, 교종에서 모두 중시할 뿐만 아니라 타종에서도 필독의 경으로 손꼽힌다. 반자밀제가 당의 제상 방융과 함께 한역하였는데 제가의 주소(註疏)가 많이 있다. 그 중에도 우리나라에서는 고래로 계환소를 많이 보았지만 이 경의 주석에는 진감선사의 정맥소가 가장 으뜸이다. 이 책에는 계환해와 정맥소를 모두 종합하고 탄허선사의 해석까지 함께 수록하였다.
9791127209124

[POD] 능엄경 - 상

무각  | 부크크(bookk)
19,500원  | 20170123  | 9791127209124
" 일 러 두 기 생각한다는 것은 사물에 의하여 보고 들은 것들을 인식하고 분별하는 작용이다. 그것은 생각의 모양을 짓는 것이며 생각이란 보고 듣고 맛보는 자체가 생각이다. 즉 눈에 사물이 비치는 것이 생각이며 귀에 소리가 들려오며, 그것을 깨닫고, 과거의 기억들이 떠오르며 알게 되는 것이 견문각지(見聞覺知)하는 것이며 의지가 닿지 않을 수 없는 영역이 생각이다. 우리가 생각과 생각의 모양을 구별치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생각과 마음을 엇비슷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마음을 이루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생각의 모양을 짓기 때문에 아상이 생겨난 것이다. 생각은 지금 현재 보이고 들려오는 자체인 까닭에 의도된 바가 없다. 반면에 생각의 모양에는 과거의 기억과 언어적 관념이 달라붙어 있다. 그렇기에 언어적 관념을 통해 생각을 틀 잡을 수 있다. 생각을 틀 잡는다는 것은 보이고 들리는 것을 과거와 비교하면서 좋고 나쁜 양변을 취하려는 것이다. 양변을 나누게 되면 취하고 버리려는 의도를 지니게 된다. 이처럼 의도된 바를 지녔기에 그것이 세상에 의해 좌절되면 고통을 겪게 된다. 그렇기에 고통을 일으키고 문제가 나타나는 것은 생각에 모양을 지으려는 의도된 바를 일으키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아상이 나타나면서 인간은 길흉화복을 겪게 되었다. 고통을 벗어나기 위해 평생 동안 안간힘을 쓰지만 아상이 고통을 잉태하고 있음을 알지 못하면 오히려 세상과 부딪히기만 할 것이다. 아상의 재료가 되는 생각이란 우주적 본성인 견문각지로 행해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행하는 모든 것들은 우주적인 성품인 견문각지로 하여금 보고 듣고 느끼는 작용이 일어난 것이다. 그것을 여래장이라고도 한다. 모든 생명체는 여래장의 현현이기에 과거의 업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마치 과거 업에 의해 현생의 삶이 강물에 비친 달처럼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인간은 두 가지를 힘쓰며 살아야 한다고 붓다는 말씀하였다. 첫째는 일체의 모든 것이 여래장으로 비추어진 것을 분명히 알아서 마음의 집착을 벗어나야 하며, 둘째는 후대 사람들을 자비로 감싸야 한다고 하였다. 모든 것이 과거의 업으로 나타나는 운명론에 빠져 불편한 현실을 벗어나려는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는다면 지금 행해지는 모습이 다음 생에 그대로 비추임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지금 우리가 열심히 노력하여 일구는 모습이 후대의 사람들을 자비로 감싸는 것이며, 후대의 사람들이란 다름 아닌 우리 자신이기도 하다. 우리가 맞이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지금 현재뿐이다. 그것이 실존이며 견문각지이다. 지금 보고 듣고 깨닫고 아는 것이지 이미 지나간 과거나 미래의 것을 보고 들으며 깨닫고 알 수는 없다. 번뇌를 영원히 벗어난 마음의 평화를 원치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것은 모든 인류의 숙원이며 인간이 풀어야 할 신비의 수수께끼이다. 그것을 풀기 위한 길을 걷는 사람들은 보이고 들리는 생각에 대하여 모양을 만들지 않는다. 단순히 보고 듣고 알면 그만이다. 붓다는 그것을 일컬어 보고 들음에 앎이 없으면 해탈이고, 보고 들음에 앎이 있으면 곧 번뇌라며 길을 일러 주고 있다. "
9791127209391

[POD] 능엄경 - 하

무각  | 부크크(bookk)
15,200원  | 20170112  | 9791127209391
"그때 아난이 대중 중에 있다가 부처님 발에 정례하고 일어서서 불께 사뢰었다. 세존께서 지금 말씀하시기를 ‘살생하는 것, 도적질하는 것, 음행하는 것‘의 세 가지 연유가 끊어지면 세 가지 원인이 생기지 아니하여 심중에 있는 연야달다의 미친 증세가 스스로 쉬게 될 것이며, 쉰 즉 보리가 다른 사람을 좇아 얻을 바가 아니라 하시니 이것은 인연인 것이 분명하옵거늘 어찌하여 여래께서는 인연을 모두 버리시나이까, 저도 인연으로 말미암아 마음이 열리었나이다. 세존이시여, 이 이치는 저 뿐만이 아닌 어린 성문뿐이오리까, 이 회중에 있는 대목건련, 사리불, 수보리, 등도 본래 바라문으로서 부처님의 모든 법은 인연을 따라 생하고 인연을 따라 멸한다는 인연법을 듣고 마음이 열려 무루를 이루었거늘, 지금 말씀하시되 보리는 인연을 좇지 않는다 하시니 그렇다면 왕사성의 외도인 구사리 등이 말하는 자연이 올바른 제일의가 되겠나이다. 바라건데 자비하신 마음으로 나의 아득한 소견을 열어주소서. "
9791192915043

대승기신론 공부 (능엄경과 유식론을 통합한 쉽고 명쾌한 강의)

황정원  | 고려원북스
37,800원  | 20250502  | 9791192915043
★ 능엄경과의 상보적 통합 강의로 대승기신론 공부가 쉬워진다! ★ 불교 공부하는 사람이 가장 어려워하는 경전이 대승기신론이라 한다. 분량이 적고 문체가 간결하지만 광대한 불법의 핵심을 요약해놓은 조감도와 같아 불교 공부를 제대로 해보겠다는 불자라면 피해갈 수 없다. 이 책은 오랫동안 대승기신론과 능엄경 강의를 해온 야청 황정원 선생의 강의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쉬우면서 체계적이고 자상하면서 집요하게 파고드는 것이 특징이다. 대승기신론에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은 능엄경과 유식이론을 적절히 끌어와 전체적인 이해를 도와준다. 대승기신론 책을 몇 번이나 펼쳤다 덮었다 했던 분들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길 권한다.
9788974793807

능엄경정맥소 세트 - 전4권

교광진감  | 불광출판사
216,000원  | 20180112  | 9788974793807
선방 수좌의 원력이 빚은 10년 대작불사! 우리나라 최초의 『대불정수능엄경정맥소』 완역, 한국불교의 수행 정체성을 확립하다! 선방 수좌로서 오로지 화두참구에 매진하던 진명 스님이 10년에 걸쳐 『대불정수능엄경정맥소』(이하 정맥소)를 국내 최초로 완역하였다. 스님이 처음 『정맥소』를 접하게 된 것은 2009년 망월사 선원에서 안거할 때였다. 방선 중에 각성(覺性) 스님이 강설한 『능엄경 정해』를 가까이했다. 그때 『능엄경』을 풀이한 여러 소(疏) 중에 『정맥소』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겨울 안거를 마치고 부산 화엄사를 방문해 각성 스님에게서 『정맥소』 한 질을 얻었다. 다음 철 ‘개심사 선원’에 방부를 드리고 상?하권으로 된 『정맥소』 원본과 자전 그리고 허사사전을 들고 입방했다. 방선 때마다 『정맥소』를 펼쳐 보았는데, 한문의 울타리에 갇힌 내용이 하나둘 드러나자 환희심이 솟구쳤다.
9791160160536

능엄경 염불원통장 소초대의 강기 (대세지보살의 염불원통법문 강설)

관정대사  | 비움과소통
10,800원  | 20190626  | 9791160160536
쉽고 빠르게 윤회 벗어나 극락에서 성불하는 대세지보살의 능엄경 염불원통장 법문 해설 이 책은 정토오부경의 하나인 《능엄경 대세지보살염불원통장》(약칭 염불원통장)을 청나라 때 관정灌頂대사가 주석하고 지구촌 정토행자들의 정신적 지도자인 정공淨空 스님이 다시 풀이하고 강의한 책이다. 원문은 대정장大正藏 No. 311 《능엄경세지염불원통장소초楞嚴經勢至念佛圓通章疏?》 중 경전해석 이전, 대의 부분을 번역하였다. 정공 큰스님의 강기講記는 1988년 7월 대만台灣 화장도서관華藏圖書館에서 강설한 총 26강좌 중 10강좌까지 번역하였다. 국내에서 《능엄경 염불원통장》의 해설서가 발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염불수행에 대한 가장 권위 있고 상세한 지침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9788982756436

능엄경언해(한글문헌자료 3) (영인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0원  | 20030930  | 9788982756436
불교경전. 불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편집되어 있다.
9791160160550

정토오경일론 (불설아미타경ㆍ불설무량수경ㆍ불설관무량수경ㆍ화엄경보현행원품ㆍ능엄경염불원통장ㆍ왕생론)

무량수여래회  | 비움과소통
16,200원  | 20190930  | 9791160160550
대만 타이베이 화장정종학회에서 출간된 『정토오경독본』(2012년)을 저본으로 하되, 하련거 거사의 『정수첩요』(부록)의 가르침에 따라 편집하였다. 『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화엄경 보현행원품』 『능엄경 염불원통장』 『왕생론』을 한 권에 묶은 정토종의 소의경전이자 염불 수행자들의 기본 교과서나 마찬가지이다. 경문의 앞부분에는 해제격으로 서상을 보이며 왕생한 한국 자윤 율사(1911-1992)의 정토삼부경 서문, 중국 근대의 선지식인 황념조 거사의 ‘정종 심요’, 세계 정종학회의 지도자인 정공 법사의 ‘화엄경 보현행원품 서문’, 중국의 선지식 정권 법사의 ‘능엄경 대세지보살염불원통장 서문’ 등이 각 경문의 핵심 가르침과 함께 염불수행의 요체를 일러주고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