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대조언어학"(으)로 29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93454819

대조언어학 (개정판)

허용  | 소통
19,800원  | 20180325  | 9788993454819
[대조언어학]은 단순한 상호 대조보다는 보편성과 유형론의 관점에서 언어를 기술한 책이다. 앞부분에서 대조 언어학에 대한 개괄과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를 살피며 도입부분을 할애하고, 뒷부분에서는 대조언어학의 실제적인 내용, 음운 대조, 형태 대조, 통사 대조, 어휘, 표현 및 담화 대조에 대해 설명한다. 각 장은 세 부분으로 나뉘며 해당 주제에 대한 자연언어의 일반적인 모습, 한국어 교육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오류, 해당 주제에 대한 언어별 특징을 기술했다.
9788993454734

대조언어학

허용, 김선정  | 소통
0원  | 20130425  | 9788993454734
『대조언어학』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제1장과 제2장으로 일종의 도입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 번째는 나머지로 대조언어학의 실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3장부터 6장은 음운 대조를 다루고, 7장과 8장은 형태 대조를 다룬다. 9장부터 11장은 통사 대조를 다루고, 12장은 어휘, 13장은 표현 및 담화 대조를 다룬다. 각 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제1장에 간략히 기술되어 있다.
9791169191906

한·중 대조 언어학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 중국어 음운학

김태은  | 한국문화사
16,200원  | 20240223  | 9791169191906
음운학은 말소리를 연구한다는 점에서 우리의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음운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의 경우 그 기초개념 자체를 매우 낯설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개념이나 이론의 난이도가 높아서가 아니라 낯선느낌이 곧 어렵다는 느낌으로 이어지는 듯이 보입니다. 그런 상황 속에서 이 책은 음운학이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여주고자 하는 것에 생각의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어가 모어인 학생들이 중국어 음운 체계를공부하기 위해, 혹은 중국어가 모어인 학생들이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체계를 대조하고자 할 때 중국어의 음운 체계와 현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에도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때문에 필요하다면 양국의 학생들에게 모두 익숙한 영어의 예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책의 부록에는 음운학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용어가 한국어, 영어, 중국어 순으로 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어병음으로 표현되는 중국어 음절의 실제 음가를 IPA로 제시한 표도 첨부되어 있어 연구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필요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9788972732280

음식과 언어 (식문화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

이성범  | 서강대학교출판부
14,250원  | 20130227  | 9788972732280
언어학자가 들려주는 음식과 언어에 대한 맛있고 재밌는 이야기『음식과 언어』. 식문화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를 담은 책이다. 이 책은 '음식과 언어'라는 인간 존재의 가장 기본적인 두 측면을 대조언어학 및 화용론, 문화인류언어학 등의 관점에서 조명한다. 음식 문화와 언어, 요리하기 어휘, 맛의 어휘, 음식과 추론, 식사와 언어 행위, 음식과 속담 등 총 6장으로 구성했다.
9791166850226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한국어 연어 연구

범기혜  | 한국문화사
19,800원  | 20210320  | 9791166850226
본서에서는 연어의 언어 간 대조가 한국어 교육의 실용적인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한국어 연어의 이론적 연구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방법론이라는 것을 강조하려고 한다. 한국어학 연구에 있어서 연어는 일반적인 존재에 불과하지만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최우선 학습 대상으로 여겨져 온 어휘와 문법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응용언어학적인 범주로는 충분히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본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서 한국어 연어를 다시 고찰함으로써 연어를 새롭게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집필되었다.
9788957266489

인지적 대조언어학의 방법론 연구 (한국어와 영어를 대상으로)

김미형  | 한국문화사
17,100원  | 20090220  | 9788957266489
[표지글] 응용적 관점에서 분석한 대조언어학이 주로 언어 양상에 대한 기술적인 비교·대조였다면, 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하려고 하는 대조언어학은 언어양상에 대한 설명적인 비교·대조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대한 기술은 그 사실이 어떠하다는 데에 대한 것을 드러내는 데서 그치지만, 설명은 그 어떠한 사실이 왜 그렇게 형성되었으며 인지적 상관성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규명하기 때문이다. -본문중에서
9788926805459

영어와 독일어의 역사비교언어학과 대조언어학

서정목  | 한국학술정보
18,000원  | 20091130  | 9788926805459
이 책은 역사비교언어학을 토대로 인구어족 중 게르만어 계통인 영어와 독어자음의 음운형태를 역사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이들 양 언어 간 언어적 특성과 계통적인 연관관계를 이해하고 음운론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시대별로 비교하여 규명한 내용을 담았다.
9788955063899

대조 언어학과 번역학의 코퍼스 기반 방법론 연구

SYLVIANE GRANGER  | 동인
18,000원  | 20090228  | 9788955063899
순수 언어학적 관찰과 대조 분석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온 역자의 관심이 번역학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책이다. 세계화시대를 맞아 문화간 의사소통 필요성의 증대에 따라 번역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번역학에 관한 저술을 번역하게 되어 번역학 이론의 발전에 조그마한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은 번역 철학보다는 번역 실제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어 이론보다는 실제 지향성을 지니고 있으며, 각 학자들이 자기 분야에서의 성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9791192365435

한국어 ‘있다’와 중국어 ‘在’, ‘有’의 인지언어학적 대조 연구

이림용  | 박문사
14,400원  | 20230831  | 9791192365435
한국어 ‘있다’와 중국어 ‘在’, ‘有’는 공통적으로 ‘존재’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 ‘있다’와 중국어 ‘在’, ‘有’의 의미 양상을 분석하고 인지적 특징을 밝혀 각각 의미들 간에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들의 대응 관계를 고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9788997255320

한국어와 일본어의 인지언어학적 대조 연구

조은숙  | 인문사
0원  | 20120126  | 9788997255320
『한국어와 일본어의 인지언어학적 대조 연구』는 저자 조은숙의 석사 연구 테마를 확장시켜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 구조를 대조연구한 내용을 엮은 책이다. 유사하다고 여겨지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 중에서 서로 다른 표현구조를 갖는 것은 무엇이며, 그 연유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9791173961717

한중 2가 형용사의 대조연구

이화자  | 역락
12,600원  | 20250930  | 9791173961717
형용사는 동사와 같이 서술어로 쓰이면서 문장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한국어에서의 형용사는 인구어와 달리 서술어의 일종으로서 동사와 매우 흡사한 성질을 갖고 있다. 기존의 연구를 보면 한국어 형용사에 대한 본체론적인 연구나 대조의 측면에서 진행한 연구가 있다. 하지만 결합가 이론의 측면에서 진행된 연구, 특히 대조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한국어 문장에서 동사와 형용사는 서술어로서 문장의 핵심이 되고 있다. 특히 한국어에서의 형용사는 인구어와 달리 서술어의 일종으로서 동사와 매우 흡사한 성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동사에 뒤지지 않을 만큼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와 통사구조를 가진다고 했다. 중국어의 경우에도 형용사가 서술어의 일종으로 쓰이고 있다는 면에서는 한국어 형용사와 같으며 중국어 형용사도 형태적 구조나 통사적 기능 등의 면에서 한국어 형용사와 비슷한 점을 갖고 있다. 때문에 형용사의 대조연구는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나 한국인을 위한 중국어 교육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를 살펴보면 서술어로 쓰이는 형용사에 대한 본체연구는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지만 형용사를 결합가 이론의 측면에서 진행한 연구, 특히 대조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 책에서는 결합가 이론을 형용사 연구와 결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2가 형용사에 대하여 대조연구를 하고 이를 통하여 한중 2가 형용사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현재 대학교 교재를 살펴보면 형용사의 출현순서를 사용빈도에 따라 배치하였는데 이보다 형용사들의 통사적 측면까지 고려하여 결합가 이론에 따른 배치를 고려하면 형용사 학습이 더 쉽게 될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대조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 책에서는 한중 양국의 형용사에서 결합가 이론에 근거하여 찾아낸 2가 형용사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2가 형용사란 서술어 기본구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명사항이 2개일 경우를 말한다. 우선 이 책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부분은 결합가의 성질 또는 층위문제, 즉 결합가 이론이 통사적 측면에 관한 연구인가 아니면 의미적 측면에 관한 연구인가 혹은 통사・의미적 측면에 관한 연구인가이다. 다음 결합가 자릿수의 확정에 대하여 학자들마다 자기의 의견을 갖고 있는데 여기에서도 본 연구에 맞는 규칙을 찾아내야 한다. 이것을 규정한 전제 하에 한국의 ≪표준국어대사전≫과 중국의 ≪중국어 형용사 용법 사전≫에서 2가 형용사를 찾아내어 그것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결합가 이론, 대조연구 이론, Fillmore의 격 이론 그리고 논항구조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대조연구 이론을 바탕으로 삼아 결합가 이론에 따라 한중 형용사 중의 2가 형용사를 찾아낼 것이며 찾아낸 2가 형용사의 통사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에 대하여 대조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통사적 측면에서는 2가 형용사의 기본 문형을 귀납하여 대조할 것이고 의미적인 측면에서는 필수논항의 의미역 및 논항구조를 대조연구할 것이다.
979116919305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구성 대조 연구

유문명  | 한국문화사
22,500원  | 20250325  | 9791169193054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연어 사용에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는 두 언어 간의 구조적 차이와 모국어 간섭에서 비롯된 것으로,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실수 중 하나입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의 대응 양상을 비교하고, 학습자들이 실제로 범하는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연어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연구 결과, 주술관계 연어를 비롯한 여러 유형에서 특히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한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어 교육에서 구체적인 대응 유형별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조사와 용언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단순히 어휘 교육을 넘어 통사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습니다. 이 책이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과 이를 지도하는 교육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과 교육 방안이 연어 교육의 개선과 교재 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9791169192750

한일 금기어 대조 연구

서영  | 한국문화사
21,600원  | 20241223  | 9791169192750
한일 두 나라의 금기어에 대한 선행 연구는 지금까지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오기는 하였으나 주로 민속학적 관점에서 연구된 문헌들이 많고 언어학적 관점에서 진행한 연구는 그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현 단계에서 아직 완전한 체계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또한 금기어에 대한 대조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어와 한국어의 대조, 중국어와 일본어의 대조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왔지만 한국과 일본의 금기어 대조 연구는 아주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인들의 연구와 문헌들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일본어에 있어서의 금기어의 개념을 먼저 명확히 하고 그 발생 요인과 특성을 분석하며 한일 금기어의 유형 및 대용 방식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한일 금기어의 전반적인 양상에 어떤 같은 점과 차이점이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일반언어학과 대조언어학, 수사학의 이론을 토대로 한일 양 언어의 금기어를 대조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서의 금기어는 한국의 경우 《한국의 금기어》에서, 일본의 경우는 《日本の忌み言葉》에서 각각 발췌하고 또한 《국어 대사전》, 《大辞 林》 및 그 외의 연구 성과물들에서 예로 든 금기어도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
9791159172458

중 일 한 자음어 대조연구 (中·日·韓の字音語の?照?究)

한증덕  | 제이앤씨
40,500원  | 20240629  | 9791159172458
자음어는 중국어에 있어서는 말할 것도 없고,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서도 어휘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언어·문학·사상 등 인류의 문화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 왔다. 자음어의 선행연구에는 훌륭한 성과도 있지만, 중·일·한삼국어의 대조연구의 시점에서 자음어의 정의, 범위의 설정, 어구성의 분류 등을 폭넓게 다루면서 전면적으로 논하고 있는 연구는 반드시 많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9791167424341

한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의 대조연구

이화자  | 역락
24,300원  | 20221222  | 9791167424341
계사란 논리학에서는 주사와 빈사를 연결하여 긍정이나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을 일컫는다. 한국어의 경우에는 ‘이다’가 계사에 속하고 중국어의 경우에는 ‘是’가 계사에 속한다. 현재까지 한국어 ‘이다’와 중국어 ‘是’의 품사 설정을 살펴보면 한국어 ‘이다’의 경우에는 크게 독립 품사설과 비독립 품사설로 나눌 수 있고 중국어 ‘是’의 경우에는 계사, 동사/판단동사, 부사설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품사 설정에 논의의 중점을 두지 않고 한국어 ‘이다’와 중국어 ‘是’의 구문유형, 통사적 특징 및 의미적 특징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의미지도이론은 언어유형론 즉 의미유형론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 ‘이다’ 구문과 중국어 ‘是’ 구문의 의미적 특징에 따라 의미지도를 그려내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더욱 직관적으로 그려내었다. 한국어 ‘의존명사+이다’ 구문과 중국어 ‘是……的’ 구문에 있어서는 이들의 양태적 의미를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의존명사+이다’ 구문에서 의존명사의 자리에는 명사가 직접 오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명사와 의존명사의 기능을 병행하는 단어, 의존명사의 기능만 하는 단어들도 있다. 이 부분에서는 문법화이론에 근거하여 이들의 문법화 정도를 살펴보았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