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기획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을 함께한 어떤 음악 레이블에 대하여)
이소진 | 나무연필
15,750원 | 20250421 | 9791187890690
믿고 사던 그 음반, 아껴 듣던 그 노래
동아기획이 만들어낸 한국 대중음악의 골든타임을 복기하다
1980~90년대에 청춘을 보낸 이들이라면 그 이름을 기억할 것이다. 젊은이들을 사로잡았던 음반 기획사, 동아기획. 이 책은 동아기획이 왜 그리고 어떻게 그토록 사람들의 마음을 파고들었는지를 살펴보면서 당대 대중음악계의 유산으로서 동아기획의 활약상을 촘촘하게 기록한 작업이다. 당시에 이보다 규모가 크고 인기 있는 가수를 거느린 음반사는 여럿 있었다. 대표적인 가요 순위 프로그램이었던 「가요톱10」에서 1위곡을 엄청나게 배출했던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동아기획은 ‘뭔가 달랐다’는 느낌으로 여전히 대중에게 각인되어 있다.
개성 넘치는 뮤지션들이 ‘따로 또 같이’ 벌인 활약상
김현식, 들국화, 장필순, 봄여름가을겨울, 빛과 소금, 김현철, 이소라…
다양한 장르와 참신한 사운드로 당대 대중음악 씬을 빛낸 뮤지션들의 음악 공동체
풋풋하면서 세련된 노래들로 사랑받았던 동아기획의 뮤지션들은 개별적으로도 주목할 만하지만, 모아 보더라도 그들만의 특징이 있었다. 가령 1980년대 초반에 가요계를 평정했던 조용필, 이용, 전영록은 모두 지구레코드 소속 가수였다. 그런데 이들을 떠올릴 때 한 음반사의 가수라는 인상보다는 경쟁 상대였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이에 비해 동아기획 소속 가수들은 응집력이 강했고, 동아기획이라는 레이블을 경유해 세상에 알려지는 일이 잦았다.
외부적으로 보기에만 그랬던 게 아니다. 동아기획 뮤지션들은 서로가 서로를 도우며 소속 뮤지션의 앨범에 기꺼이 목소리와 연주를 더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자원이 부족한 언더그라운드 출신들이 많았기에 모두들 힘을 모았고, 특히 초창기에 언더그라운드의 대부로 불렸던 조동진이 이러한 분위기를 만드는 데 구심점 역할을 했다. 장필순의 코러스를 두고 “곡의 완성도를 높이고 흥행에도 큰 도움이 되는 보증수표와 같았다”고들 했는데, 이는 동아기획 내부의 협업을 보여주는 사례의 일부일 뿐이다. 가령 동아기획의 초창기를 견인했던 그룹 들국화가 해체되고서 멤버들이 개별적으로 솔로 음반 작업을 할 때도 전 멤버들은 모여들어 손길을 보탰다.
이러한 사례는 정말 너무나도 많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뮤지션들은 새롭고 신선한 이들을 추천하여 동아기획으로 영입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많은 이들이 오디션을 거쳐 가수로 데뷔했는데, 동아기획은 오디션이나 데모 테이프도 없이 내부 뮤지션의 추천만으로 음반을 제작했다. 김현식은 봄여름가을겨울과 빛과 소금 멤버들을, 전인권은 하덕규를, 하덕규는 장필순을, 최성원은 박학기를, 조동익은 김현철을, 김현철은 이소라를 추천하는 식이었다. 인연으로 만들어진 이 ‘알음알음’의 생태계, 이는 함께 호흡을 맞춰 음악을 할 이들을 그러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뮤지션들에게 있었다는 증거다. 이를 뒷받침해준 것은 동아기획을 이끈 김영 대표의 뮤지션을 존중하는 태도 덕분이었고 말이다.
이러한 기세는 앨범 제작으로도 이어져 1993년 동아기획은 자신을 대표할 만한 컴필레이션 앨범 《우리 모두 여기에》 시리즈를 론칭했다. 1988년부터 동아기획 뮤지션들이 함께 열어온 콘서트의 이름을 딴 앨범으로, 커버는 참여 뮤지션들을 담은 사진을 사용하여 동아기획의 음악 공동체적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 시기에 대중음악을 즐겨 듣던 이들이라면 기억할 만한 곡들이 다수 수록된, 동아기획의 음악적 일대기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준 작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