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맑스주의와 이데올로기"(으)로 북프라이스의 도서 검색결과 입니다.
9788980260409

맑스주의와 이데올로기

호르헤 라라인 (지은이), 신희영 (옮긴이)  | 백의
12,000원  | 1998-12-15  | 9788980260409
9791158589554

맑스주의와 현대제국주의

전국노동자정치협회 (지은이)  | 밥북
20,000원  | 2023-08-17  | 9791158589554
신냉전, 가치동맹을 전파하는 제국주의 신종 이데올로기, 제국주의 변호론이 진보진영은 물론, 심지어 공산주의자임을 자처하는 세력들에까지 파고들었다고 진단한다. 이를 아주 중대한 사태로 규정하는 책은 각종 제국주의 프로파간다와 여기에 영향받은 진보진영 내부와의 사상전 차원에서 펴냈음을 밝히고 있다.
9788977287235

맑스주의와 인식론

도미니크 르쿠르 (지은이), 박기순 (옮긴이)  | 중원문화
28,000원  | 2023-03-20  | 9788977287235
현대 프랑스 철학의 원천을 형성하고 있는 프랑스 인식론의 3명의 거장 바슐라르, 캉기헴, 푸코가 등장한다. 현대 과학의 인식론적 성과에 의지하면서 인식론과 과학사에 대한 새로운 실천을 보여 두고 있는 바슐라르의 ‘인식론적 단절’ 개념이 현대 철학에 미친 영향은 절대적이다.
9791197041815

맑스주의와 무정부주의

전국노동자정치협회 (지은이)  | 어깨걸고
20,000원  | 2020-11-13  | 9791197041815
맑스주의 관점으로 무정부주의와 유사 무정부주의에 대한 최고의, 다방면에 걸친 치열한 논쟁서다. 이 책이 자본주의를 변혁하고 새로운 사회를 위해 싸우는 동지들에게 굳센 사상의 무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9788976827807

맑스주의와 근대성

이진경 (지은이)  | 그린비
20,000원  | 2014-01-25  | 9788976827807
1997년에 출간되었던 <맑스주의와 근대성>의 개정판이다. 저자 이진경이 ‘사회주의자’로 수감되어 맞닥뜨린 사회주의의 붕괴라는 암담한 경험 이후 7~8년간, 맑스주의와 근대성, 이행과 주체라는 문제를 두고 치열하게 천착했던 내용들을 담고 있다.
9788936483395

맑스주의와 형식

프레드릭 제임슨 (지은이), 여홍상, 김영희 (옮긴이)  | 창비
30,000원  | 2014-01-10  | 9788936483395
현존하는 가장 탁월한 문학·문화비평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맑스주의와 형식』이 1984년 한국에 처음 소개된 이래 30년 만에 개정판이 나왔다. 기존 판본의 오류를 바로잡고 옮긴이 주를 보충하였다.
9788977284692

맑스주의와 유로코뮤니즘

산티아고 까리요 (지은이), 김유향 (옮긴이)  | 중원문화
22,000원  | 2012-07-16  | 9788977284692
맑스주의의 위기에 맞서 일어난 1970년대 서유럽 공산주의 운동의 한 조류인 유로코뮤니즘의 역사적 뿌리와 특징, 국가에의 적용양상을 연구 비판한 책이다.
9788986598872

맑스주의와 정치

맑스코뮤날레 조직위원회 (엮은이)  | 문화과학사
20,000원  | 2009-06-24  | 9788986598872
9788986598001

맑스주의와 근대성

이진경 (지은이)  | 문화과학사
15,000원  | 1997-12-20  | 9788986598001
니체의 ‘사회적 무의식’론에 기대어 마르크스주의를 ‘탈근대사상’으로 확장하려 한다. 여전히 자신을 마르크스주의자라 말하는 그가 사상사적으로 마르크스주의와 전혀 관계없는 니체를 끌어들인 것은, ‘자본주의를 극복했다’던 현실사회주 의의 붕괴라는 ‘역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다....
9788979860689

맑스주의와 민주주의

윤근식 (지은이)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2,000원  | 1996-08-10  | 9788979860689
9788936485856

문화적 맑스주의와 제임슨

프레드릭 제임슨 (지은이), 신현욱 (옮긴이)  | 창비
25,000원  | 2014-01-10  | 9788936485856
프레드릭 제임슨이 세계적 지식인 16인과 진행한 10개의 인터뷰를 시기순으로 엮은 책으로, 20세기의 온갖 문화적 산물에 대한 제임슨의 왕성한 탐구와 ‘문화적 맑스주의자’로서 그가 열정적으로 수행해온 지적 작업의 면모를 생생하게 확인해볼 수 있다.
9788977284708

맑스주의와 프랑스 인식론

도미니크 르쿠르 (지은이), 박기순 (옮긴이)  | 중원문화
28,000원  | 2012-06-12  | 9788977284708
현대 프랑스 철학의 원천을 형성하고 있는 프랑스 인식론의 세 거장이 등장한다. 현대 과학의 인식론적 성과에 의지하면서 인식론과 과학사에 대한 새로운 실천을 보여 두고 있는 바슐라르. 그의 '인식론적 단절'개념이 현대 철학에 미친 영향은 절대적이다.
5000118213

이탈리아 맑스주의와 국가이론

카린 프리스터 (지은이)  | 새길아카데미
7,000원  | 1993-03-01  | 5000118213
9788932916248

이데올로기

김광현 (지은이)  | 열린책들
22,000원  | 2014-01-10  | 9788932916248
이 책이 다루고 있는 것은 미와 성, 종교, 학교, 소비, 여성성, 대중음악, TV 등으로, 살면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문화적 구성 요소들이다. 말하자면, 저자는 일상적 삶의 단편들 하나하나가 이데올로기의 지배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는 셈이다.
9788980382910

이데올로기

데이비드 호크스 (지은이), 고길환 (옮긴이)  | 동문선
16,000원  | 2003-03-10  | 9788980382910
9788988105467

이데올로기

데이비드 맥렐런 (지은이), 구승회 (옮긴이)  | 이후
7,500원  | 2002-02-28  | 9788988105467
영국 오픈 유니버시티 교재로 쓰이는 concepts in Social Science 시리즈 중 한 권으로 영국의 '맑스학자'인 데이비드 맥렐런의 저서. 그는 여기서 이데올로기 개념의 기원을 살펴보고, 이 용어가 맑스주의와 맑스주의 이외의 전통에서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간명하게 고찰한다.
9788951121562

구약성서와 이데올로기

김영호 (지은이)  | 대한기독교서회
22,000원  | 2024-09-01  | 9788951121562
이데올로기 해체비평을 통해 지금 우리가 읽고 있는 히브리 성서 본문을 ‘누가, 언제, 왜, 어떻게’ 집필하고 편집하고 보존했는가를 논한다. 이데올로기 해체비평이란 오늘날의 독자에게 성서 이면의 저작/편집 의도를 밝히고 해체하여 재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성서를 보다 다면적이며 풍부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된다.
9791172130732

불평등 이데올로기

조돈문 (지은이)  | 한겨레출판
23,000원  | 2024-06-27  | 9791172130732
오랫동안 불평등 문제에 천착해온 사회학자 조돈문 교수의 <불평등 이데올로기>는 우리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특별히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과학적 자료를 근거로 본격 해부한 책이다. 20가지 질문을 던지며 현재 우리 사회가 처한 불평등의 현실을 파악하고 해법 모색에 나선다.
9788963249834

예술교육과 이데올로기

전지영 (지은이)  | 북코리아
17,000원  | 2023-01-31  | 9788963249834
예술교육에 관한 내용이지만 음악교육에 대한 논의가 중심을 이룬다. 예술교육에서 학교예술교육과 전문가양성교육은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차이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양자 모두 이데올로기교육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9788976828743

근대화라는 이데올로기

마이클 레이섬 (지은이), 권혁은, 김도민, 류기현, 신재준, 정무용, 최혜린 (옮긴이)  | 그린비
25,000원  | 2021-08-03  | 9788976828743
트랜스 소시올로지 29권. 이 책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비견할 이데올로기로서 미국이 내세운 ‘근대화론’의 이면을 살피며, 세상을 개혁하겠다는 희망과 신념이 어떻게 폭력과 억압의 형태를 띠게 되었는지를 드러내고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