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사랑하는 사람과 저녁"(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32474113

사랑하는 사람과 저녁 식탁에서 죽음을 이야기합시다 (삶의 가장 소중한 대화로 이끄는 22가지 질문)

마이클 헵  | 을유문화사
13,500원  | 20191225  | 9788932474113
“죽음을 말하는 것은 삶을 말하는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죽음을 다루는 책들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 미국 아마존에는 ‘죽음 사회학’이라는 세분화된 카테고리가 있을 정도다. 요즘 나오는 죽음 관련 책들의 경향은 죽음을 무겁지 않게 다뤘다는 것인데, 『어떻게 죽을 것인가』(아툴 가완디), 『우리는 왜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 없는가』(정현채), 『죽음의 에티켓』(롤란트 슐츠) 등의 인문서부터 『숨결이 바람 될 때』(폴 칼라니티),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서』(샐리 티스데일), 『만약은 없다』(남궁인) 같은 에세이까지 그 관점과 접근 방식도 다양하다. 이 책들을 사랑했던 독자라면 반길 만한, 마음에 와닿으면서도 실용적인 가이드북이 을유문화사에서 출간됐다. 이 책의 저자 마이클 헵은 데스오버디너(Death over Dinner)의 창립자로, 테드메드(TEDMED)에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만찬에 관한 강연을 한 후, 미국 전역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는 이 책에서 수천 번의 저녁 만찬회를 직접 주최하면서 배운, 삶에서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대화 주제인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편안하게 나눌 수 있는 방법(‘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때 꺼내기 좋은 질문’ 스물두 가지)을 소개하면서 저녁 만찬회와 데스오버디너 활동을 통해 만난 사람들의 다양한 일화도 함께 들려준다. 죽음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불편하고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더 이상 피해선 안 된다.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죽음은 곧 삶과 연결되고, 관계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9791193412206

죽은 사람과 사랑하는 겨울

임주아  | 걷는사람
10,800원  | 20231220  | 9791193412206
“우리는 숲에서 종종 피크닉을 열었다 서로의 온몸을 파먹으며 긴 잠에 빠져들기 전까지” 이상하리만큼 아름다운 물성의 향연 물결과 꿈결을 닮은 로맨틱한 세계 2015년 광주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임주아 시인의 첫 시집 『죽은 사람과 사랑하는 겨울』이 걷는사람 시인선 106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전주에서 책방을 운영하며 문화와 개인을 연결하는 문화 기획을 다채롭게 선보여 온 임주아 시인은 “겨울의 한가운데서 도망치지 않고, 깊고 깊은 어둠을 오래 바라보고 품다가 마침내 어둠에서 눈의 흰빛을 발견하는”(안미옥, 추천사) 사람이다. 시인 임주아가 골몰해 온 하나의 치열하고 아름다운 세계가 마침내 우리에게로 당도했다. 임주아의 시 세계는 물결을 닮아 있다. 몽환적이고도 환상적인 감각에 기인한 작법은 자아와 세계를 연결 짓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물속은 꿈결 꿈속은 물결”을 닮은 이 세계는 “사랑하는 것과 망가진 것 무너진 것과 돌아선 것”들로 가득하다. 이상하리만큼 아름다운 물성을 빚어내는 마음과 사건이 시집 곳곳에서 눈을 반짝이는 것이다. “이곳의 기묘한 환대 넓고 깊은 밤의 무한한 짙음 느슨한 사랑과 늘어난 마음”을 살피다 보면, 끝내 “잠깐 바람결에 사랑을”(「백행」) 두는 법을 깨닫는 순간에 이르고, 그 방법론이 임주아의 시 세계를 아우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사랑은 언제나 절망과 가까운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많은 것을 함께하려 했던 마음이 순식간에 어두워”(「물속에 빠뜨리면 투명해진다」)지는 순간을 대면하는 일은 도무지 익숙해지지 않기에, 임주아의 화자들은 불안을 느끼면서도 “몰래 울다 나올 수 있는 길”(「두 귀는 조금 떨어져」)을 염두에 둔다. 인물들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 태어나지 않는다”(「죽은 사람과 사랑하는 겨울」)라는 의미심장한 진실을 곁에 둔 채 “살고 싶지도 죽고 싶지도 않아 좋다고”(「피크닉」) 생각하면서도 “눈 감으면 엎질러진 빛이 있”(「징조」)다는 사실을 되새기며 “다만 덜 절망하고 덜 미워하며”(「울며 살아난」) 살고 싶다는 소망을 놓지 않는다. 그러니 불안을 꼭 껴안은 채로 울면서도 달려 나가고자 하는 움직임이 곧 사랑의 다른 이름이며, 시인 임주아가 일러 주는 “살아남아 사랑을 돌보”(「폐업」)는 방식인지도 모른다. 인물들이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시 세계에서는 다채로운 마찰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유년기에 겪은 애증의 감정과 그에 기인한 이별의 서사는 “비명인지 환호성인지 모를”(「지각」) 얼굴을 하고 있으며, 사랑은 결국 “서로의 온몸을 파먹”(「피크닉」)는 일과 다름없을지 모른다. 파도에 부서지는 햇살만큼이나 반짝거리는 아름다운 풍경들, 잔혹한 동화 같은 장면이 겹겹이 쌓여 이 세계를 일구어낸다. 이로부터 시작되는 파동이 임주아의 시가 가진 아름다운 힘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해설을 쓴 양재훈 문학평론가는 “이 시집은 고통 속에 머물고자 하는 마음과 그것을 피하고자 하는 마음, 고통을 즐기는 자신에 대한 두려움 등이 뒤섞여 있는 상황에서 고통 속에 머물기를 선택한 주체 내면의 드라마를 담고 있”음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또한 이 시집을 “불안한 사랑에서 불안을 위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여정의 기록”이라고 정의한다. 이 책을 펼친다면, “성실하게 빛나고/홀로 가라앉”(「산책」)는 자리에 기꺼이 가서 “치열하게 애도하”(안미옥, 추천사)는 한 시인의 마음에 당신도 같이 깃들게 될 것이다.
9791158582883

물리를 사랑하는 사람과 빛 따라 산책

고동섭  | 밥북
0원  | 20170630  | 9791158582883
빛을 설명하기보다는 빛이 있는 곳을 찾아가 그와 관련된 물리 현상을 소개하고 알려준다. 이를 통해 빛의 정체를 알지 못하더라도 책의 제목처럼 빛과 관련된 물리현상을 산책하듯 따라가며 빛의 실체에 조금이나마 다가설 수 있다. 특히 잘못된 정보가 넘쳐나는 인터넷 등의 오류를 바로잡도록 논문이나 관련 사진을 첨부하여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 아인슈타인은 빛이 아주 특수한 위치에 있음을 알아보았다. 우주의 모든 물질은 상대 운동에 따라 속도가 다르게 보이지만, 빛은 아무도 달리 구분하지 않고 항상 같은 속도로 다가온다. 그야말로 평등을 몸소 실천하는 우주 유일의 물질이다. 물리 밑바탕에는 이처럼 빛이 자리하고 있으나 빛의 정체를 알기란 쉽지 않다. 책은 이러한 문제 인식으로 물리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어려운 빛보다 빛과 관련된 물리 현상의 관찰과 이해를 먼저 하게 함으로써 물리에 접근성을 쉽게 하고 있다.
검색어 "사랑하는 사람과 저녁"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