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사회투자"(으)로 14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46037328

사회투자국가 (미래한국의 새로운 길)

임채원  | 한울아카데미
10,800원  | 20070420  | 9788946037328
서민중도주의에 기반을 둔 국가운영 모델인 '사회투자국가' 민주화 세력이 서민중도주의의 구체적 국가운영 모델로 제기한 '사회투자국가'. 사회투자국가는 우리 사회의 문제를 서민과 중산층의 관점에서 해결해 보려고 제안된 것으로, 서민이 중심이 되어 중산층이 결합한 형태의 정치노선이다. 그렇다면 이 사회투자국가의 철학은 무엇이며,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가운영 모델로 적합한 것일까? 이 책은 더 나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국가운영 모델로 '사회투자국가'를 제시하며, 이와 관련된 각종 배경 지식 및 이론을 자세히 설명한다. 저자는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투자국가론이 해석의 단계가 아니라 제안의 단계라는 점을 강조하며, 사회투자국가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에서부터 이야기를 출발한다. 그리고 사회투자국가론이 화두가 된 사회적 배경, 87년 민주화와 사회정의, 사회투자국가의 전개,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의 선순환을 핵심으로 하는 사회투자 전략 등을 서술한다. 또한 사회투자국가의 주요 정책들을 하나하나 살펴본 다음, 한국에서 사회투자국가가 제도적으로 실현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깊이 분석한다. [양장본]
9788958101611

사회투자와 한국 사회정책의 미래 (사회투자담론이 한국 사회의 복지발전과 사회발전에 유용한 전략인가)

김연명  | 나눔의집
20,700원  | 20091127  | 9788958101611
이 책은 참여정부의 핵심적 복지담론이었던 사회투자에 대한 학계의 평가와 논쟁을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2002년에 펴냈던「한국복지국가성격논쟁Ⅰ」은 김대중 정부에서 실제 시행된 복지정책들을 복지국가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이 담겨져 있는 반면 이 책은 노무현 정부가 내세운 사회투자담론이 한국 사회의 복지발전과 사회발전에 유용한 전략인가에 대한 학계의 논쟁을 담아내고 있다.
9788973274185

사회정책의 제3의 길: 한국형 사회투자정책의 모색 (한국형 사회투자정책의 모색)

양재진, 정형선, 김혜원, 이종태  | 백산서당
23,400원  | 20080610  | 9788973274185
좌와 우, 진보와 보수, 그리고 선과 악의 대립구도를 넘어서는 '제3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시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복지·노동·교육의 영역에서 무엇을 해야하는지 고민하고 있다. 그 결과, 저자들은 사회정책에 대해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면서도, 국가의 책무 못지않게 개인의 책임도 강조하고, 결과의 평등 이전에 기회의 평등을 강조하고 있다.
9788946036390

신자유주의를 넘어 사회투자국가로

임채원  | 한울아카데미
20,700원  | 20061210  | 9788946036390
현재 민주화 세대에게 가장 절실한 것은 과거 민주화 담론에 갇힌 상황을 반성하고 신자유주의를 넘어설 수 있는 중도개혁 담론을 생산해 내는 일이다.『신자유주의를 넘어 사회투자국가로』는 이와 같은 중도개혁 세력의 철학과 정책의 갈증에 해답을 제시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신자유주의에 맞서는 '사회투자국가' 모델을 제안한다. 저자는 신자유주의의 가치가 '자유'이고 사회주의의 가치가 '평등'이라면 중도개혁이 추구하는 가치는 공정과 사회적 최소한을 보장하는 '사회정의'라고 강조한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사회정의를 가치로 삼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교육, 일자리, 복지와 지역공동체 정책을 구현하는 사회투자국가에 대한 미래를 꿈꾼다. 먼저 신자유주의에 대해 살펴본 다음 사회투자국가의 철학과 정책을 자세하게 소개한다. 그리고 보수 세력들의 이념으로 제시되고 있는 '공동체자유주의'를 시론적으로 비판하여 이 철학이 갖는 약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한국 보수가 중도우파로 나아가기 위해 분명히 밝혀야 할 전제들에 대해 충고한다. [양장본]
9788958102076

동아시아 사회복지와 사회투자전략 (사회투자전략의 비전과 가능성에 대한 모색)

김교성, 김연명, 최영, 김성원, 김병철  | 나눔의집
16,200원  | 20100730  | 9788958102076
『동아시아 사회복지와 사회투자전략』은 사회투자전략이 '후기산업사회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한 대응전략'이라는 정의에 주목하면서 한ㆍ중ㆍ일 3국의 최근 사회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9788963371078

근로빈곤층을 위한 연기금의 사회투자 방안: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연구총서 2012-8)

김남주, 조혜경, 주은선  | 한국노총중앙연구원
0원  | 20121231  | 9788963371078
『근로빈곤층을 위한 연기금의 사회투자 방안: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는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근로빈곤층을 위한 연기금 사회투자의 방안을 살펴보는 책이다. 공공임대주택 제도 및 민자방식에 의한 임대주택 공급,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민자 활용방안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9788976965790

투자 권하는 사회 (투자에서 투기까지, 대중투자사회의 역사)

김승우, 박진빈, 최은진, 이명휘, 송은영  | 역사비평사
16,200원  | 20230331  | 9788976965790
우리는 지금 대중투자사회에서 살고 있다 - 투자 권하는 사회에서 2002년 초 “여러분, 모두 부자되세요~”라는 광고 카피 하나가 대한민국의 모든 사람들의 속마음을 뒤흔들었다. 이전까지 차마 입에 담지 못했던 그 금기의 말 한마디를 통해 모두가 ‘부자 되기’의 유행에 올라타 자신들의 갈망을 당당히 드러냈다. 20년이 지난 오늘날 양적완화의 시대를 끝내고 미국발 금리인상의 도저한 공습이 시작되자, 전 세계가 발작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심각한 경제위기 및 경제침체의 와중에서도 우리는 부자 되기의 환영을 결코 놓치지 않는다. 한마디로 오늘날 우리는 완전히 대중투자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금융투자로 주식은 기본이고 채권과 선물과 각종 펀드에 너무나 쉽게 진입할 뿐만 아니라, 가히 전 국토의 부동산 투기 및 투자 광풍 속에서 모두가 극심한 부침의 삶을 견디고 있다. 행여나 눈먼 바보나 벼락거지가 되는 치욕과 불안을 벗어나기 위해 혹은 그런 심리를 이용하기 위해 서로가 서로에게 ‘투자를 권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과 미디어는 의연하게도 이 ‘투자 권하는 사회’의 운동장이자 프로모터를 자임하며 날마다 열일 중이다. 대중투자사회가 등장한 역사를 재구성하다 - 투자 권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투자를 통해 ‘부자 되는 법’을 찾는 책이 아니다. 그래서 책을 열어본 투자자들은 실망할 것이다. 하지만 대중투자사회에 대한 역사적 지식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각 시대의 투자 시장을 이해하는 데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대중투자사회의 지속적인 확장을 지켜보면서, 20세기 후반부터 서구 학계는 금융이 사회의 권력관계에 매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금융화’ 현상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역사학자들은 자유시장 이념과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산, 그리고 전쟁과 같은 역사적 사건 등을 통해서 과연 대중이 어떻게 금융시장으로 포섭되었는지, 혹은 일상 속에서 얼마나 다양한 금융상품을 전유하고 있는지 주목했다. 그런 작업을 통해 오늘날 경제적 인간 혹은 투자하는 인간으로 자리매김한 우리의 모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했다. 그런 점에서 대중투자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대중투자의 역사, 투기와 투자의 변별성, 현재 진행 중인 각 지역의 투자환경의 변화에 대해 이 책이 상당히 유용한 지적 성찰과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투자와 투기의 기원 1부는 20세기 초에 전개된 대중투자의 기원에 대한 역사를 다루었다. 김승우는 20세기 초부터 대중투자사회로 진입했던 미국 주식시장을 배경으로, 지금도 시장에 적용되고 있는 주요 투자 전략들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를 살폈다. 박진빈은 1920년대 광적으로 등장한 미국 플로리다의 부동산 개발과 투기 열풍, 그리고 이후 극적인 몰락의 여파와 그 과정에서 발생한 부패와 무책임을 분석했다. 최은진은 1904년경부터 1910년대까지의 조선에 대한 일본인 토지 투기 양상과 일제 식민 당국의 정책 지원을 분석하며 한국 토지 투기의 식민지적 원형을 탐구했다. 이명휘는 조선의 개항부터 1950년대까지 이르는 주식거래의 역사적 변화와 성격을 분석하며, 일제 식민지기 주식시장의 특징과 그것이 해방 이후까지 연속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짚었다. 투자의 대중화와 저변화 2부는 한국과 일본에서 투자의 대중화와 저변화가 진행되었던 시기의 양상을 보여주는 글들이다. 송은영은 1970년대 이후 한국에서 중산층이 나서면서 ‘대중화’된 부동산 투기를 살피며, 그것이 한국 사회에 끼친 공간적 위계화의 영향과 의미를 묻고 있다. 이정은은 한국의 대중적 주식투자가 시작된 시기를 1980년대 중후반으로 주목하고, 갑자기 몰아친 주식 열풍 아래 처음으로 등장한 ‘개미군단’의 등장과 몰락을 분석했다. 여인만은 1980~90년대 초 일본에서 지가와 주가가 동반 상승하면서 등장한 버블 경제기 일본 사회의 투기 열풍과 사회적 심리 상태, 기업과 가계의 대응, 그리고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버블 붕괴 이후의 충격을 다뤘다. 확장하는, 투자 권하는 사회 3부는 최근까지 투자가 진행·확장 중인 각 국가의 사례를 살폈다. 조성찬은 홍콩의 사례를 통해 토지, 주택, 교통, 전기, 가스 등 시민의 일상을 좌우하는 ‘도시 커먼즈’가 소수 대자본에 의해 지배될 때 어떤 결과가 발생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오도영은 자가소유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영국의 사례를 통해 부동산에 기반한 자산 복지 정책의 실태와 한계를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현대 중국 서민층의 투자 열풍을 살핀 박철현은 그 근간으로 증시 부양을 통해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국가와 인터넷 고리대금업자인 핀테크 기업의 활동을 지목해서 분석했다.
9791187093336

돈 나올 데가 월급밖에 없는 당신을 위한 진짜 쉬운 재테크 (사회 초년생과 초보를 위한 월급 투자 시나리오)

우용표  | 이데일리
16,830원  | 20250307  | 9791187093336
모은 돈? 0원! 재테크? 1도 몰라! 그래도 OK~ 월급만 받으면 바로 시작할 수 있는 투자 플랜! 돈 관리의 길에 갓 들어선 사회 초년생, 투자 초보를 위한 진짜 쉬운 재테크 100세까지 이어질 돈 관리를 위해 읽어야 할 인생 첫 책 취직만 하면 모든 것이 해결될 줄 알았건만, 웬걸? 어지간한 ‘탯줄’을 붙들고 태어난 것이 아니고야 취직을 했다는 것,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것은 100세까지 이어질 길고 긴 ‘내가 벌어 먹고살기 - 자가 양육’의 시작임을 깨닫게 되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당연히 ‘월급을 모으자! 그리고 굴리자!’ 하지만 월급 받기 위해 배워야 할 것도, 챙겨야 할 것도 많은데 지금 당장 재테크까지 공부할 시간이 없어 한 번 미룬다. 이제 돈 벌기 시작했는데 조금 놀고 쓰다가 해도 괜찮지 않을까, 라는 생각으로 두 번 미룬다. 초보라고 봐주지 않는 냉혹한 재테크의 세계, 공부 없이 투자했다가 큰 손해를 입게 될까 걱정돼 또 차일피일 미루다 보면 재테크에 있어 사회 초년생과 초보의 가장 큰 무기, 시간을 잃게 된다.
9788968502972

사회책임투자 SRI

김창수  |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11,700원  | 20190710  | 9788968502972
▶ 사회 책임 투자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72186908

사회적 가치 임팩트 투자

주성수  | 한양대학교출판부
20,680원  | 20200810  | 9788972186908
코로나 팬데믹 이전의 세계로 돌아가기 어려운 현실이 되어 가고 있다. 정부의 강력한 리더십이 중요해지고 있지만 정부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시대 상황이 ‘뉴 노말’이 되고 있다. 정부와 기업과 시민사회가 ‘콜렉티브 임팩트’ 파트너로 협력해야 하는 시대적 요청이 강력하다. 문제해결과 예방에 필요한 재정과 인력 등 하드웨어뿐 아니라 지혜와 기술 등 소프트웨어 모두가 전략기획부터 시행과 평가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필요하다. 경제적 위기와 함께 사회적 위기와 환경적 위기가 복합되며, 생계 위협에 내몰린 취약층이 크게 늘고 있다. 인권, 안전, 일자리 등 사회적 가치 항목들 모두가 해당될 정도로 심각하다. 장기에 걸쳐 일자리를 잃은 노동층의 생계, 취약층의 사회안전망에 정부의 재원이나 역량만으로는 절대 부족하다. 기업들도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해 투자에 나설 여유조차 없다. 시민사회 또한 외부 지원이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프로그램 운영조차 어렵다. 이를 해결하는 전략적 방안이 이 책에 소개된 결과지불, SIB 등 사회적 가치 임팩트 투자이다. 실질적인 결과를 창출하는 ‘임팩트 문화’로 전환하는 기회가 위기와 함께 찾아온 것이다. 정부, 기업, 시민사회뿐 아니라 시민참여도 중요하다. 시민들이 봉사자나 기부자 등 참여자 또는 소비자 차원을 넘어 투자자, 소유자, 생산자로 동참해야 한다. 그래서 팬데믹 이후의 일상생활의 정상화 복구에 힘을 보태야 한다. 시민들 각자의 집시일반이 뭉친 거대한 투자금으로 생계위협에 처한 취약층을 보호하고 가정, 직장, 학교, 노후 생활이 정상화로 복구하는 데 잘 쓰여지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 ‘사회적 가치’ 논의가 한창 활성화되고 있지만, 사회적 임팩트와 투자 차원까지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 책이 논의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촉매가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은 시민사회와 사회적경제 전공 분야뿐 아니라 사회적가치 경영평가를 준비하는 공공기관들도 정책 기획과 시행과 평가에 두루 참고하길 기대한다.
9788997927104

사회적 투자 매뉴얼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소개서, 사회적기업 연구총서 2012-7)

사회적투자대책위원회 (편저)  | 시그마프레스
9,000원  | 20120725  | 9788997927104
(사)사회적기업연구원(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Enterprise : RISE)은‘참여와 나눔을 위한 행복한 연구’를 비전으로 하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와 국제교 류, 그리고 교육기회의 제공으로 한국의 사회적기 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익연구기관으 로서 2006년 9월 설립되었다. 연구원의 부설기관 으로는 SROI-Korea Center, 사회적기업지원센 터, 사회적기업연구네트워크센터, 사회적기업미디 어·커뮤니케이션센터가 있다. 본 연구원은 학술지인「사회적기업연구」, 일반인을 위한「사회적기업 매거진」과 웹진, 그리고 청년들 을 위한「Rainbow Bridge」를 정기적으로 발간하 고 있다.
9788936508432

한국형 사회책임투자

류영재  | 홍성사
11,700원  | 20101223  | 9788936508432
사회책임투자가 세상을 바꾼다! 증권 전문가로 오랫동안 일해 온 저자가 영국에서 경험한 사회책임투자에 대한 이론과 사례들을 정리한『한국형 사회책임투자』. 투자 원칙에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측면을 반영하는 사회책임투자의 가치와 필요성을 잘 설명해 준다. 이 책은 사회책임투자는 투자 대상 기업의 재무적 측면만을 살피는 것이 아니라 친환경성ㆍ다양한 이해관계자 대응ㆍ경영의 투명성 등을 고려함을써 자본시장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이끌어 내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말한다. 사회책임투자의 개념과 실천가들 그리고 국내외 경제 이슈와 구체적인 사례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실용의 중요성,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밝히는 윤리 투자법, 금융위기의 해결책 등을 체계적인 자료와 함께 다루고 있다.
9791126005451

사회적 경제의 임팩트 투자 모델 탐구 (정책연구 21-21)

이상준, 신현상, 김윤정, 김하은  | 한국노동연구원
5,400원  | 20211230  | 9791126005451
이 책은 한국노동연구원의 사회적 경제의 임팩트 투자 모델 탐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이다.
9791163843498

철도 투자의 사회적 가치 추정과 활용방안

김경택  | 한국교통연구원
9,500원  | 20221031  | 9791163843498
이 책은 한국교통연구원의 철도 투자의 사회적 가치 추정과 활용 방안을 다룬 정부간행물이다.
9791173500251

기후안전사회를 위한 수자원시설 투자 의사결정 합리화 방안 연구 (기본 25-04)

조만석, 김승기, 표희진  | 국토연구원
7,200원  | 20250331  | 9791173500251
최근 본 책